항목
-
중종실록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中宗實錄명단이 있다. 현황 1920년대 이후 조선 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몇 차례 영인될 때, 이 실록도 함께 간행되었다. 1976년부터 1986년까지 52권의 번역본 『중종실록』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http://sillok.history.go.kr/)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은산군읍지 殷山郡邑誌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자·편년 미상의 『은산읍지』 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71년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 때 편사된 『은산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내용 구성은 상편은 강역(疆域)·연혁(沿革)·읍명(邑名)·성지(城池)·방리(坊里)·풍속(風俗)·산천(山川)·영애(嶺阨...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안세록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권상로 퇴경(退耕), 權相老1949년 5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됐으나 기소유예처분을 받았다. 1952년 동국대학교 학장을 거쳐 1953년 2월 초대 총장직을 맡았다.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1962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8월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았다. 이외에도 불교포교사시험 검정위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영암군읍지 전라남도영암군읍지여지도책(全羅南道靈巖郡邑誌輿地圖冊), 靈巖郡邑誌冊(전라남도영암군읍지여지도책)’으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연대 미상의 『영암군읍지』가 장서각 도서에 있고, 1895년에 편찬된 『영암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방리(坊里)·도로(道路)·성지(城池)·산천(山川)·성씨...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인조실록 인조대왕실록(仁祖大王實錄), 仁祖實錄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여러 차례 영인되었는데, 당시 『인조실록』도 다른 왕의 실록과 함께 영인본이 간행되었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1권의 번역본 『인조실록』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http://sillok.history.go.kr/)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정평군읍지 定平郡邑誌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고종연간에 편찬된 『정평부읍지』가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894년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 때 편사된 『정평부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아사(衙舍)·건치연혁(建置沿革)·방사(坊社)·호구(戶口)·도리(道里)·산천(山川)·형승(形勝)·풍속(風俗)·물산(物産...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웅천군읍지 熊川郡邑誌와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영남읍지(嶺南邑誌)』에 수록된 것이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95년에 편찬되어 일제강점기에 필사한 『웅천현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읍명(邑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영가지 永嘉誌항목만 있고 내용이 기재되지 않은 것이 아쉽다. 이 읍지는 권기의 사후 오랫동안 초고본으로 전하여 오다가 그 후손 상학(相鶴)·상택(相宅) 등에 의하여 1899년에야 간행되었다. 권말에 간행 당시에 쓴 김도화(金道和)·유도헌(柳道獻)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권기(權紀), 권행가(權行可)
- 창작/발표시기 :
- 1608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
인동읍지 仁同邑誌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인동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편찬연대 미상의 『인동읍지』가 국립중앙도서관에, 1895년에 편찬된 『인동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책머리에 인동부선생안이 10면 정도 있으며 거주지·부임연월일·해임사유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다음에...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78년(고종 15)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문종실록 文宗實錄명단을 수록하였다. 권두 서명은 '문종공순대왕실록(文宗恭順大王實錄)'으로 되어 있다. 조선 초기 다른 실록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많이 담겨 있다. 현황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http://silok.history.go.kr)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함산지통기 함산지(咸山誌), 咸山誌通記내용 6권 3책. 필사본. 장서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4년에 편찬된 『함산지통기(咸山誌通記)』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표지에는 ‘함산지(咸山誌)’로 되어 있다. 1679년(숙종 5) 주여정(朱汝井)이 『함산지』를 찬술하였고, 1731년(영조 7) 그의 아들 기(杞)가 4권으로 증수, 편찬하였다. 그 뒤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반린(李攀鱗)
- 창작/발표시기 :
- 1859년(철종 10)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