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관련 공사기록 및 전라도·충청도 양도의 개인 소장 기록과 문서를 발굴하여 편집한 자료집.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펴낸 동학농민혁명 관련 자료집. 27종의 사료가 상·하 2책으로 편집되어 있다. 인쇄본으로 1959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료총서 10번째 권으로 간행했다.
(1) 〈갑오실기 甲午實記〉(2책)는 작자 미상의 책으로 1894년 3월부터 12월까지의 중요 사실을 기록한 것이며 농민전쟁과 청일전쟁 및 갑오개혁 관련기사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2) 〈갑오약력 甲午略歷〉(1책)은 정석모(鄭碩謨)가 동학선유문(東學宣諭文)을 가지고 남원에 갔다가 김개남(金開南)에게 억류된 2개월 동안의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농민전쟁의 기인(起因)과 호남지방 동학의 상황·조직 등이 수록되어 있다.
(3) 〈금영래찰 錦營來札〉(2책, 고려대학교 소장)은 김홍집(金弘集)과 김윤식(金允植)이 충청감사 박제순(朴齊純)에게 보낸 서한을 각각 1책씩 수록한 것이다. (4) 〈곡성군수보장 谷城郡守報狀〉(1책, 丁鳳泰)은 곡성군수가 곡성을 고수한 김명국(金明局)과 신정열(申正悅) 등의 공을 보고한 것이다. (5) 〈취어 聚語〉는 보은취회에 대한 보은군수의 탐보장(探報狀)과 양호선무사(兩湖宣撫使) 어윤중(魚允中)의 장계(狀啓), 충청감사 조병식(趙秉式)의 탐학상 등이 수록되어 있다.
(6) 〈동도문변 東徒問辨〉(1책)은 전라감사 김문현(金文鉉)의 군사마(軍司馬)로 종군한 최영년(崔永年)이 전쟁의 원인과 홍계훈(洪啓薰)의 패인을 기술한 것이다. (7) 〈양호초토사등록 兩湖招討使謄錄〉(1책)은 양호초토사 홍계훈이 농민군을 진압할 때의 장계 및 이문(移文), 감결(甘結), 효유문(曉諭文) 등을 수록하고 있다.
(8)~(16) 〈선봉진일기 先鋒陣日記〉(1책, 고려대학교 소장)부터 〈선봉진각읍료발관급감결 先鋒陣各邑了發關及甘結〉(1책)까지는 순무사(巡撫使) 신정희(申正熙), 순무선봉장(巡撫先鋒將) 이규태(李圭泰), 우선봉장 이두황(李斗璜) 등이 농민군을 완전 진압할 때까지의 전투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17) 〈선유방문병동대상서소지등록 宣諭榜文竝東待上書所志謄錄〉(1책)은 국왕이 농민군의 귀순을 권고하는 선전방문과 농민군창의소에서 일본을 치기 위한 고시, 전봉준의 편지 및 체포된 농민군의 고초 등을 수록한 것이다. (18) 〈일본사관함등 日本士官函謄〉(1책)은 일본군 대대장들이 이규태에게 보낸 작전 내용을 담은 글이다.
(19) 〈이규태왕복서병묘지명 李圭泰往復書竝墓誌銘〉(1책)은 이규태의 묘지명과, 이규태와 가족간의 편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 (20) 〈박봉양경력서 朴鳳陽經歷書〉(1책)는 운봉을 고수하고 김개남군을 격파한 박봉양의 공적을 수록한 것이다.
(21) 〈전봉준공초 全琫準供草〉(1책)는 5차례에 걸친 일본영사의 문초에 대한 전봉준의 재판기록이다. (22) 〈중범공초 重犯供草〉(4책)는 황해도 농민군 백낙희(白樂喜) 등 27명의 공초기록이다. (23)~(26) 〈동학당정토인록 東學黨征討人錄〉(1책)부터 〈갑오군공록 甲午軍功錄〉(1책)은 농민군 토벌에 종사한 사람의 군공, 각 부대의 비용, 창의인명록, 죄인록 등을 기록한 것이다.
(27) 〈갑오해영비요전말 甲午海營匪擾顚末〉(1책)은 황해도 농민군을 토벌한 황해도감사 정현석(鄭顯奭)의 수기이다. 이상 27종의 기록문서는 동학농민혁명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에는 틀림없으나, 대부분 관변측 자료이므로 농민군 입장을 살필 수 없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