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양지아문 지계아문, 量地衙門
    전까지는 관찰사나 지방관이 선정하도록 하였다. 각 도의 양무감리는 해당 도내의 현직군수이거나, 군수가 아니더라도 양무에 밝은 자를 군직에 있더라도 차출하여 임명할 수 있었다. 양무위원은 군단위로 임명하여 처음에는 총재관의 관할 아래 있었으나 1900년부터는 양무감리의 감독하에 두었다. 조사위원은 양무위원...
    시대 :
    근대
    성격 :
    관서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8년
    폐지일 :
    1902년
    분야 :
    역사/근대사
  • 구전 口傳
    완전히 없애지는 못했다. 이로 인해 16세기 이후 이전 폐단이 되풀이되었다. 〈속대전〉에서 정경(正卿:2품직인 의정부의 좌우참찬·육조판서·한성부판윤)은 구전차출할 수 없다는 조문을 수록했고, 〈대전통편〉에는 삼사, 세자시강원, 강서원(講書院), 판의금부, 이조의 참판·참의, 팔도감사로 대상을 확대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태억 대년(大年), 趙泰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08년 이조정랑을 거쳐 우부승지를 지내고, 다음 해 철원부사로 나갔다가 1710년 대사성에 오르고, 1711년 일본에 통신사로 차출되어 일본에 다녀 왔는데 이 때에도 막부의 어용화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가 그린 조태억의 초상화가 전해진다. 그 뒤 이조참의 · 호조참의가 되었다가...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백정 白丁
    살았으며 일반민과 통혼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착한 집단일지라도 일반인과 구별해 국역과 조세부담은 지지 않았다. 다만 사옹원에 소속되어 1호당 1정씩 차출되어 수유(酥油) 제조의 역을 졌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역은 일반민보다 가벼운 편이어서 빈민들이 투탁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생업이 곤란한 경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피니 Walter Braden Finney
    1955:1961년 〈시체탈취자들의 침입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이라는 책으로 재출판됨)은 3차례나 영화화되었고, 시간 여행과 관계된 정부계획에 차출된 광고 기술자를 묘사한 〈반복되는 시간 Time and Again〉(1970)은 컬트 고전이 되었다. 그밖에 피니의 작품 중 유명한 것으로 〈우드로 윌슨 다임 The...
    출생 :
    1911, . 미국 위스콘신 밀워키
    사망 :
    1995. 11. 14, 캘리포니아 그린브래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군교 軍校
    鏞)의 〈목민심서〉에 의하면, 조선 후기 군교라고 지칭하는 무리에는 세 종류가 있다. 첫째는 장관으로 천총·파총류이다. 이들의 주요임무는 군역담당자를 차출하고, 선상시킬 자를 선정하는 일이었다. 이 권한을 이용하여 부농들을 침탈하는 일이 많았다. 둘째는 군관으로 병방장무 등이다. 각종 조세수취와 수송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검인관 검인관(檢印官), 鈐印官
    官) 또는 타인관(打印官)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예조좌랑이 당연직으로 임명되었으나, 후기에는 예문관·성균관·교서관·승문원의 4관 관원 중에서 차출, 임명하였다. 시권의 날인은 시권을 넣은 겉봉투에 하는 외타인(外打印)과 시폭(試幅 : 답안지)에 하는 내타인(內打印)이 있었는데, 전자는 시험 치르기...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간사승 幹事僧
    임명하여 함께 일을 주관하게 했다. 활인서와 한증소는 전염병 치료, 진휼 등 의료업무에, 나머지 관청은 목공·인쇄·제지 등의 업무에 전국에서 승도를 차출하여 사역했다. 간사승은 〈경국대전〉에 정식으로 법제화되지는 않았지만, 간사승이 주목되기 시작한 것은 이들이 공물대납과 연결되면서부터이다. 각종 건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무위소 무위영(武衛營), 武衛所
    이의 책임자를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라고 하고, 조영하(趙寧夏)를 이에 임명하여 숙위군을 지휘, 감독하게 하였다. 그 뒤 각 군영에서 가장 우수한 군병을 차출하여 무위소는 1,200여 명의 강군(强軍)이 되었다. 무위도통사는 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훈련도감 등 3영의 제조(提調)를 겸하였고, 용호영(龍虎...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73년 6월 20일
    분야 :
    역사/근대사
  • 에퀴테스 equites
    원래는 기병대 병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가 이후에 정치적·행정적 계급으로서 기사신분을 나타내게 되었다. 초기 로마에서 에퀴테스는 원로원 계급에서 차출되었으며 '에퀴테스 에쿠오 푸블리코'(공공비용으로 말을 타는 기사)라고 불렀다. 이들은 코미티아 켄투리아타라고 하는 의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세력이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관령 管領
    방 내의 모든 행정사무를 책임졌으며, 성저십리의 관령은 권농의 임무까지 담당했다. 즉 도로관리·호적작성·호구관리·도적체포·무당축출에서부터 부역차출·환자[還上] 분배 등의 일까지 담당했다. 이외 노비살해자를 신고하거나, 가사법을 어긴 관원의 집을 신고해야 하는 임무도 있었다. 이들은 죄를 저질러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선전관 宣箋官
    내용 예문관의 4품 이상 관원 중에서 차출하였다. 국왕의 탄일과 정조(正朝)·동지의 하례식에서 전전관(展箋官 : 전문의 출납 담당자)·선전목관(宣箋目官 : 전문의 목록을 읽는 관원)과 함께 일을 보았다. 하례식 후반에 산호(山呼 : 만세 혹은 천세 삼창)가 끝나면 전전관 2인이 백관의 전문을 담은 전안(箋案)을...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