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문사사천왕석주
    광목천상, 제4석주는 양손으로 칼을 받치고 있는 동방의 지국천상으로 추정된다. 이 사천왕상은 모두 원형의 두광에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는 무인형으로 악귀를 밟고 천의자락을 날리면서 서 있으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또한 신체는 장대하지만 대체로 조각적인 양감이 줄어들었고, 서 있는 다리의 자세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바라춤
    천수바라·명바라·사다라니바라·관욕게바라·막바라·내림게바라 등 6가지가 있고 명바라는 규모가 큰 재가 아니면 잘 추지 않는다. 복장은 장삼에 붉은 가사를 두른다. 음악은 징·북·호적 등에 맞추어 추며 천수바라·사다라니바라는 범패에 맞추어 춘다. 악귀를 쫓고 도량을 청정하며 마음을 정화하려는 뜻에서 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요정 妖精, fairy
    요정에 대한 뛰어난 설명은 캐서린 브리그의 〈요정백과 An Encyclopedia of Fairies〉(1976)에서 찾아볼 수 있다. 쿠르트 랑케가 총편집을 맡아 1977년부터 출간되기 시작한 〈동화백과 Enzyklopädie des Märchens〉는 세계 각지의 요정들을 망라한 학술적 저서이다.→ 난쟁이, 동화, 메르헨, 브라우니, 악귀, 엘프, 픽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가래떡 흰떡
    또는 연박탁이라고 했다." 이것으로 보아 적어도 조선 후기부터는 가래떡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새해를 맞이해 새로운 정신과 몸가짐으로 한해 동안 악귀를 물리치고, 복이 오는 것을 기대하면서 차례도 지내고 세배를 하는데 반드시 떡국을 쓰는 풍습이 생겼다. 한국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떡으로 가래떡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북청사자놀음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집마당을 돈 후 사자는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넋두리춤'을 추며 격조 높은 북장단에 '검모루춤'을 춘다. 마지막으로 사자는 부엌으로 들어가 집안에 숨은 악귀를 몰아내는 시늉을 한다. 북청지방에서는 사자놀음 벌이는 것을 일러 '사자놀린다'고 하는데, 집안에서 풍물을 치고 사자를 놀리면 잡귀가 물러나 액을 막고...
    문화재 지정 :
    1967.03.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갓파 河童, Kappa
    악귀인 오니보다 영리하나 사람에 대한 해악은 덜하며 인간에게 접골술을 가르쳤다고 한다. 민간 전설이나 그림에 묘사되어 있는 바에 따르면 10세 된 어린이 정도의 몸집에 황록색을 띠며, 원숭이를 닮았지만 피부 대신 물고기 비늘과 거북이 등딱지로 덮여 있다. 머리 꼭대기는 움푹 들어가 있고 물로 가득차 있는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신화/전설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다소 도식적으로 처리되어 있어 시대가 내려가는 것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면에는 문비·향완·사천왕상이 배치되어 있는데, 특히 향완은 동부도와는 달리 악귀가 삼족의 향완을 떠받치고 있다. 옥개석에는 이중의 서까래·기왓골·막새가 모각되어 있고, 그 아랫면에는 비천이 조각되어 있다. 상륜부는 앙화 위에 날개...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학연화대합설무 鶴蓮花臺合設舞, 학무
    개요 조선시대 궁중에서 악귀를 쫓기 위해 행해진 의식에서 학무와 연화대무를 연달아 공연한 무대. 변천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연화대가 〈고려사〉 악지에 들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학무는 이미 고려 때부터 전래된 춤인 것으로 추측된다. 2마리의 학이 부리로 쪼아 연꽃을 터뜨려서 2명의 동녀가 나오게 되는...
    문화재 지정 :
    1971.01.08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 덕흥리벽화고분 德興里壁畵古墳
    가 그려져 있다. 인면조는 사람 얼굴을 한 새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로 알려졌다.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의 칼라빈카(Kalavinka)를 음역한 것으로, 악귀를 물리치고 무덤의 주인을 극락정토로 안내하는 의미로 그려진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 벽화고분은 명문에 나와 있는 대로 5세기초의 것이며, 당시 고구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 제석 제야, 除夕
    때문이었다. 현재는 이런 풍습이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관련 행사 예로부터 이 날에 궁궐이나 민간에서는 여러 행사와 의식을 치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악귀를 쫓기 위한 의식으로 가면을 쓰고 제금과 북을 울리며 궁궐 안을 돌아다니는 나례가 치러졌고, 2품 이상의 관원들은 왕에게 ‘묵은 해 문안’을 올렸으며...
    분류 :
    명절, 비공휴일
    날짜 :
    음력 12월 30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강하면 江下面
    하천들이 북쪽으로 흘러 남한강에 합류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채소류 등이며, 특용작물로 잎담배가 재배된다. 이 지역 성덕3리 마을 중앙에는 악귀를 쫓는다는 400년 된 가시나무와 국수당(돌탑)이 있다. 성덕리 주민들은 약 750년 동안 2년에 한번씩 이 국수당에서 제를 지내왔다. 또한 300년 전통의 정월...
    인구 :
    4,679 (2019)
    면적 :
    41.4㎢
    행정구역 :
    15개리 40개반 (법정리 6개리)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사이트 :
    http://www.yp21.net/index.yangpyeong?menuCd=DOM_000000122000000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곡우
    볍씨를 담그는데 볍씨를 담은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둡니다. 예전에는 밖에 나가 부정한 일을 당했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 집 안에 들어오게 하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볼 수 없게 하였지요.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악귀(gobl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