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제석

다른 표기 언어 除夕 동의어 제야, 除夜
요약 테이블
분류 명절, 비공휴일
날짜 음력 12월 30일

요약 제야라고도 불리는 1년 가운데 마지막 날인 섣달 그믐날 밤. 매년 음력 12월 30일이다. ‘작은 설’이라고도 한다. 한 해를 마치는 날로,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며 생활 주변을 정리하고 악귀를 쫓는 등의 민간 의식과 풍습이 있었다.

유래

한 해를 잘 마무리하기 위해 예로부터 조상들이 지내던 기념일 중 하나이며, ‘작은 설’이라 해서 묵은 세배를 올리는 날이기도 하다. 현재는 거의 전해지지 않으며, 오래된 전통 명절 중 하나로 그 이름과 풍습만 문헌으로 남아 있다. 한 해를 마치는 ‘덜리는 밤’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이 날에는 한 해 동안의 거래관계를 청산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 새해 준비와 함께 1년 동안의 거래 청산에 바빠지고, 밤중까지 빚을 받으러 다니기도 했다. 그러나 자정이 지나면 정월 보름까지는 빚을 독촉하지 않는 것이 상례였다.

각 집마다 부뚜막이 헐었으면 고치고, 여자들은 세찬과 차례를 위한 음식을 준비했으며, 남자들은 집 안팎을 깨끗이 청소했다. 쓰레기를 모아 모닥불을 피우기도 했는데, 이 모든 것은 잡귀를 불사른다는 민간신앙 때문이었다. 현재는 이런 풍습이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관련 행사

예로부터 이 날에 궁궐이나 민간에서는 여러 행사와 의식을 치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악귀를 쫓기 위한 의식으로 가면을 쓰고 제금과 북을 울리며 궁궐 안을 돌아다니는 나례가 치러졌고, 2품 이상의 관원들은 왕에게 ‘묵은 해 문안’을 올렸으며, 민간에서는 손위 어른이나 가묘에 ‘묵은세배’를 드렸다. 또 민간에는 곳곳마다 등불을 밝히고 밤샘을 하는 수세라는 풍속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매년 12월 31일 밤 보신각에서 33번 울리는 ‘제야의 종소리’ 등으로 지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기념행사 등으로 그 잔해가 남아있다.

새해맞이 제야의 종(보신각 타종) 행사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제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