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명절, 비공휴일 |
---|---|
날짜 | 음력 12월 30일 |
요약 제야라고도 불리는 1년 가운데 마지막 날인 섣달 그믐날 밤. 매년 음력 12월 30일이다. ‘작은 설’이라고도 한다. 한 해를 마치는 날로,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며 생활 주변을 정리하고 악귀를 쫓는 등의 민간 의식과 풍습이 있었다.
유래
한 해를 잘 마무리하기 위해 예로부터 조상들이 지내던 기념일 중 하나이며, ‘작은 설’이라 해서 묵은 세배를 올리는 날이기도 하다. 현재는 거의 전해지지 않으며, 오래된 전통 명절 중 하나로 그 이름과 풍습만 문헌으로 남아 있다. 한 해를 마치는 ‘덜리는 밤’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이 날에는 한 해 동안의 거래관계를 청산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 새해 준비와 함께 1년 동안의 거래 청산에 바빠지고, 밤중까지 빚을 받으러 다니기도 했다. 그러나 자정이 지나면 정월 보름까지는 빚을 독촉하지 않는 것이 상례였다.
각 집마다 부뚜막이 헐었으면 고치고, 여자들은 세찬과 차례를 위한 음식을 준비했으며, 남자들은 집 안팎을 깨끗이 청소했다. 쓰레기를 모아 모닥불을 피우기도 했는데, 이 모든 것은 잡귀를 불사른다는 민간신앙 때문이었다. 현재는 이런 풍습이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관련 행사
예로부터 이 날에 궁궐이나 민간에서는 여러 행사와 의식을 치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악귀를 쫓기 위한 의식으로 가면을 쓰고 제금과 북을 울리며 궁궐 안을 돌아다니는 나례가 치러졌고, 2품 이상의 관원들은 왕에게 ‘묵은 해 문안’을 올렸으며, 민간에서는 손위 어른이나 가묘에 ‘묵은세배’를 드렸다. 또 민간에는 곳곳마다 등불을 밝히고 밤샘을 하는 수세라는 풍속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매년 12월 31일 밤 보신각에서 33번 울리는 ‘제야의 종소리’ 등으로 지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기념행사 등으로 그 잔해가 남아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