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심포 주심포 건축, 柱心包보아지 형태로 살미를 일체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같이 내부에 2출목을 만든 사례도 발견할 수 있다. 주두와 소로 주두와 소로는 굽 부분을 원호 모양으로 오목하게 가공하며, 굽 아래에 볼록하게 살짝 튀어나온 굽받침을 두는 것이 특징이다. 비교적 후대에 지어진 건물에서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오이소박이내용 ≪증보산림경제≫에 황과담저법(黃瓜淡菹法)이라 하여 고추와 마늘을 소로 쓰는 오이소박이가 문헌상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고, ≪임원경제지≫와 ≪시의전서 是議全書≫에는 파 ·마늘·고춧가루를 소로 사용하는 지금과 같은 오이소박이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먼저 소금에 절인 오이에 서너개의...
- 성격 :
- 음식, 김치
- 유형 :
- 물품
- 재질 :
- 오이, 파, 마늘, 고춧가루
- 용도 :
- 손님초대용, 주안상
- 분야 :
- 생활/식생활
-
장식미술 裝飾美術몸체를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모습으로 단청을 하여 장식하고 있다. ⑤ 도리, 보, 화반, 대공-굴도리나 납도리의 밑에 장여로 받치는데, 이 장여를 다시 소로받침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웃인방에 늘어놓아 받친다. 이를 특히 소로수장이라 하여 보다 장식적인 것으로 꾸민다. 또 도리와 장여를 화반(花盤)으로 받칠 때...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의미 意味, meaning와 같은 관용구도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어휘소가 의미론적 고찰의 단위가 되는데, ‘살림살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는 말도 하나의 어휘소로 잡아 의미를 살필 수 있다. 따라서 어휘소와 형태소가 반드시 일치한다고는 볼 수 없다. 어휘소는 흔히 어휘 또는 어(語)라고 줄여서 말하기도 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고려시대의 한국 건축극락전(12세기말에서 13세기초),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 수덕사 대웅전(1308) 등이 있다. 이들 건축물의 건축양식을 보면 기둥은 배흘림이며, 주두와 소로는 굽면이 곡면이고 굽받침이 없다. 첨차의 밑면은 연화두형(쌍S자각)으로 초각했으며, 주두와 소로로 굽받침이 없는 것(봉정사 극락전)과 있는 것(부석사...
-
포쌈 脯─내용 잣쌈이라고도 하며, 쇠고기를 얇게 저미거나 다져서 갖은 양념을 하고 실백(實柏)을 소로 넣어 송편모양으로 만들어 말린다. 쇠고기를 얇게 저며서 만든 것은 육포쌈, 쇠고기를 곱게 다져서 만든 것은 편포쌈이라 한다. 만드는 법은 쇠고기의 부위 중 기름기가 없는 대접살을 얇게 저미거나 곱게 다져서 간장·설탕...
- 성격 :
- 음식
- 유형 :
- 물품
- 용도 :
- 안주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샌본 Franklin Benjamin Sanborn여타 사회복지에 관한 법안제정을 위해 일했다. 콩코드에서 지내는 동안 그는 뉴잉글랜드의 기라성같은 문학가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저서로는 〈헨리 D.소로 Henry D.Thoreau〉(1882)·〈존 브라운의 생애와 편지들 The Life and Letters of John Brown〉(1885)·〈A. 브론슨 올콧:그의 생애와 철학 A. Bronson...
- 출생 :
- 1831. 12. 15, 미국 뉴햄프셔 햄프턴폴스
- 사망 :
- 1917. 2. 24, 뉴저지 플레인필드
- 국적 :
- 미국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安東 陶山書院 典敎堂바른층쌓기를 한 높은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방주(方柱)를 세워 굴도리를 받치고 있는 민도리집양식으로, 기둥 위와 주간(柱間)에는 주두(柱枓)나 소로[小累]가 없어 검소한 모습을 이루고 있다. 가구(架構)는 5량으로 대들보를 앞뒤 평주(平柱) 위에 걸고, 그 위에 소로와 장여로 된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수법상 익공식(翼工式) 수법과 다포식(多包式) 수법이 많이 보인다. 즉, 기둥 위에 주두(柱頭)를 놓고, 기둥 윗몸에서 앙서[仰舌] 하나를 내어 이 위에 소로[小累]를 놓아 외일출목(外一出目)에 오는 행공첨차(行工檐遮)를 받고 이 행공첨차와 주두를 제2제공(第二諸工)에 놓인 쇠서[牛舌]로 결구하고 있다. 외출목도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