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2001년~2010년, 2000년대 세계는 금융 위기에 휩쓸리고, 한국은 다양한 정치 ・ 사..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으로 급부상한다. 한국에서는 민주화 이후 다양한 정치, 사회적 갈등이 첨예화된다. 미군 기지 평택 이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한 ・ 미자유무역협정, 용산 재개발 참사, 쌍용자동차 정리 해고 등의 문제를 두고 시민 ・ 노동자와 정부 사이에, 진보와 보수 사이에 치열한 다툼이 계속된다. 남북...
  • 끊음질
    예가 많음을 볼 수 있다. 그러다가, 19세기 말에서 20세기에 걸쳐 나전칠기 붐이 일면서 끊음질 기법이 새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격자무늬 · 귀갑무늬와 미자(米字) · 국화 · 싸리짝 · 회포 등의 일반적인 기하학무늬를 비롯하여 길상문자(吉祥文字)와 십장생도(十長生圖)에도 응용하기에 이르렀고, 심지어는 송곳...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논어혹문 論語或問
    권11∼15는 선진(先進) 25장, 안연(顔淵) 24장, 자로(子路) 29장, 헌문(憲問) 27장, 위령공(衛靈公) 41장, 권16∼20은 계씨(季氏) 14장, 양화(陽貨) 16장, 미자(微子) 17장, 자장(子張) 25장, 요왈(堯曰)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문에 대한 혹문을 기재하고 이어서 ‘답왈(答曰)’을 쓴 뒤 질문에 대한 해석을 하면서...
    저작자 :
    미상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0권 6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경서집설 經書集說
    湯誓)·중훼지고(仲虺之誥)·탕고(湯誥)·이훈(伊訓)·태갑(太甲)·함유일덕(咸有一德)·반경(盤庚)·열명(說命)·고종융일(高宗肜日)·서백감려(西伯戡黎)·미자(微子) 등 11개 편목에 모두 85개 절목, 「주서」는 태서(泰誓)·목서(牧誓)·무성(武成)·홍범(洪範)·여오(旅獒)에서 진서(秦誓)에 이르기까지 총 30...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서전인물유취 書傳人物類聚
    여후(呂侯)·문후(文侯)로 끝난다. 요(堯)·순(舜)·우(禹)·탕(湯)·문(文)·무(武) 등과 훌륭하고 유명한 재상으로 알려진 이윤(伊尹)·부열(傅說)·미자(微子)·주공(周公) 등에 대해서는 풍부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중국 역사에서 가장 포악한 군주로 임금노릇을 제대로 못했다고 하여 맹자가 역성혁명(易姓革命...
    시대 :
    조선
    저작자 :
    박준원, 김조순, 윤행임, 박종보
    창작/발표시기 :
    1801년
    성격 :
    인명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박준원, 김조순, 윤행임, 박종보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논어강설 論語講說
    자세하지 않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의 편차는 『논어』의 순서에 따르지 않고, 태백(泰伯)·선진(先進)·안연(顔淵)·위령공(衛靈公)·계씨(季氏)·미자(微子)·자장(子張)·요왈(堯曰) 등 8편에 총 227개항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먼저 항목을 제시하여 질문의 형식을 취한 뒤, 그 내용을 분류해...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재
    성격 :
    주석서,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백호독서기 白湖讀書記
    대전(禮記大全)·소기략(小記略)·노론요왈(魯論堯曰)·이아친속기(爾雅親屬記)·관씨제자직(管氏弟子職)·명기편(名器篇)·고요모(皐陶謨)·만장문(萬章問)·미자(微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6은 고시경고(古詩經攷)·상서수필(尙書隨筆)·홍범경전통의(洪範經傳通義), 권7은 주례(周禮)·예기(禮記)·독춘추(讀春...
    시대 :
    조선
    저작자 :
    윤휴
    창작/발표시기 :
    1934년
    성격 :
    비망록, 독서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2책
    간행/발행 :
    윤신환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효령대군 이보 묘역 孝寧大君 李𥙷 墓域
    내외손이 사당 건립에 대한 소청장을 올리자 왕명으로 경기감영에서 짓도록 하였다. 이듬해 완성되어 청권사라 이름하였다. 청권이란 이름은 『논어』 권18 「미자편(微子篇)」에서 연유된 것으로 “신중청폐중권(身中淸廢中權)”의 약어이다. 즉 고대 중국에 있어서 은나라가 쇠하고 주나라가 신흥할 때의 일이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영은 곧 ‘명(命)’과 같은 뜻으로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글을 말한다. 삼대(三代) 때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고(告)한 것을 ‘명’이라 하였다. ‘미자지명(微字之命)’, ‘문후지명(文侯之命)’이라 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후대에는 ‘명’을 폐하고 ‘영’으로 대치하였는데, 진(秦)나라 효공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한문학
  • 쪽도 못 쓰다
    쪽도 못 썼다’라고 한다. 바뀐 뜻 상대해보지도 못한 채 기가 눌려 꼼짝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또는 사람이나 어떤 사물에 혹할 정도로 반하여 꼼짝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보기글 ㆍ야, 난 그래도 미자가 굉장히 잘 웃긴다고 생각했는데 도루묵 여사하고 영자 언니 옆에 가니까 쪽도 못...
    유형 :
    관용구
  • 장만영 張萬榮
    子) 사이에서 태어나 1927년 황해도 배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32년 경성제2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34년 일본으로 건너가 미자키 영어학교[三峻英語學校] 고등과에 입학해 2년 다녔으나 부모의 뜻에 따라 그만두고 귀국했다. 김억과는 두터운 사제관계를 맺었으며, 신석정·오장환...
    출생 :
    1914. 1. 25, 황해 연백
    사망 :
    1977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명이괘 明夷卦
    대해 정면으로 도전해 어둠의 세력을 제거하는 탕왕(湯王), 문왕(文王)과 무왕(武王)과 같은 경우는 3효이고, ‘밝음을 해치는 마음’을 간파하고 떠나가는 미자(微子)와 같은 경우는 4효이다. 이처럼 어둠의 시기에 처신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올바름’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알렉산더, 미자
흑오미자
흑오미자
줄무늬실꽃말미잘
실꽃말미잘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Tuanku Mizan Zainal Abidin Mosqu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