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호대교 千戶大橋
    광화문에서 천호동까지 20분대(건설 당시 기준)로 단축시켰으나 급속한 인구증가와 더불어 통과 교통량이 급증함에 따라 교량의 하류에 올림픽 대로를 건설했다. 천호대교 북단에서는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가양 방면과 남양주 방면으로, 남단에서는 올림픽대로와 연결되어 개화 방면과 강일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동작대교 銅雀大橋
    강상판 및 강판형이며, 전철교는 국내최초의 랭거아치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하부구조는 기초부분이 우물통이며, 구체는 라멘식이다. 교통 현재 이 교량는 한강대교와 잠수교 사이에 있어서 과중한 통행량을 덜어주고 있다. 정부종합청사·서울대공원·국립미술관이 있는 과천 방면과도 연결된다. 지하철 4호선이 통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부산대교 釜山大橋
    있으며, 하부구조는 영도 쪽이 T형 교각 8기, 중앙동 쪽이 T형교각 4기로 되어 있다. 고도의 건축기술이 요구되는 이 교량은 우리 기술로 건설되었다. 부산대교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1934년 건설된 부산영도대교가 영도와 부산시내를 연결하는 유일한 교량이었으나, 날로 증가하는 영도의 교통량을 분산 처리하기 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산
  • 진도대교 珍島大橋
    내용 너비 11.7m, 길이 484m. 1980년 12월에 착공하여 1984년 10월에 준공된 국내 최초의 사장교(斜長橋)로서, 양교대와 양교각으로 지지되는 3경간 연속강상형(鋼箱形) 들보를 가지고 있으며, 주탑은 A형, 케이블 배치는 방사형으로 되어 있다. 탑의 높이는 69m, 교탑기초는 직사각형 기초슬라브로 지지되는 철근...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너비 11.7m, 길이 484m
    소재지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마포대교 麻浦大橋
    20일 착공하여 2000년 7월 10일 완공되었고, 같은 규모로 2005년 12월 19일 완공되었다. 설계는 제일ENG, 시공은 현대건설이 맡았다. 완공 당시에는 '서울대교'라고 불렸다. 1986년 올림픽 대로가 개통되고, 여의도와 영등포 간의 교통량이 급증함에 따라 이 교량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규모와 구조 길이 1,390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원효대교 元曉大橋
    V형으로 하였다. 서울시의 영등포 및 흑석동 방면에서 한강 이북으로의 교통량이 점증하는 추세에서, 이 방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교·한강대교·반포대교의 단측 7차선으로는 무리가 따르게 되고, 또한 앞으로 교통량의 급속적인 증가를 예상할 때 원효대교의 건설은 과중한 교통량을 흡수하고 분산처리해 주는...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1,470m, 너비 20m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마창대교 Machang Bridge, 馬昌大橋
    초속 78m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으며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설계가 되어 있다. 이 교량으로 마산과 창원의 거리가 16.2㎞에서 9.2㎞로 단축되고 통행시간도 35분대에서 7분대로 줄어든다. 접속도로는 마산시 현동에서 창원시 양곡동까지 이어지며 마창대교의 접속시설물로는 가포터널, 귀산터널, 양곡터널이 있다...
  • 원산안면대교 元山安眠大橋
    고남리간 14.1km)의 일부를 이루어 원산도를 육지와 연결한다. 2010년 12월 착공해 9년 동안 2082억원이 투입되었으며 2019년 12월 26일 개통되었다. 원산안면대교가 포함된 국도77호선은 충남 보령시 신흑동에서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14.1㎞)까지 총사업비 6879억원을 투입, 2021년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교통
  • 부산영도대교 釜山影島大橋
    되었다. 그뒤 영도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다리를 통과하는 차량 및 30t 이상의 컨테이너 트럭이 많아지자 1980년 부산영도대교 바로 옆에 부산대교를 건설했다. 이로써 부산대교와 함께 부산 도심지와 영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및 산업도로의 역할을 했다. 2003년 옛 부산시청 자리에 롯데월드가 조성되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부산
  • 강동대교 江東大橋
    내용 한강상의 4차선 콘크리트 도로교이다. 1991년 12월에 준공된 교량으로 판교∼구리간 고속도로로서의 기능만이 아니고, 중부고속도로 북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경기도 북부, 강원도 춘천 등지와 서울 남쪽 중부권을 연결하는 주요기능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는 현재 건설중인 서울외곽순환도로의 일부가 되기 때문에...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총너비 25.22m, 총연장 1,126m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 ,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미사대교 渼沙大橋
    차로이다. 구조형식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형교(PSC box girder bridge)이며, 최대 경간장은 125m이다. 차량설계하중은 DB24(1등교), 통행기준 40t이다. 교통 동작대교 북단에서는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가양 방면과 남양주 방면으로, 남단에서는 올림픽대로와 연결되어 개화 방면과 강일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교통
  • 강화초지대교 江華草芝大橋
    길이 1.2km, 폭 17.6m의 4차선이다. 1994년 11월 ‘강화제2대교’로 착공되었으나 1997년 12월 외환위기 때 시공사의 부도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99년 6월 인천광역시가 다시 착공하여 2002년 8월 개통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70년에 개통하여 1998년 폐쇄된 강화교와 1998년 개통된 강화대교, 2001년...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39건

대교
(주)대교의 영어듣기 프로그램인 대교 아이리스닝
보스포루스 대교
이순신 대교
장보고 대교
이순신대교
올림픽대교
올림픽 대교
원효대교
반포대교
진도대교
진도대교
진도대교
진도대교
진도대교
성수대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