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선군의 유물·유적·관광
    정선읍 봉양리 뽕나무(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호)·은행나무 등은 수령이 500년 이상 된 거목이다. 그밖에도 정선읍 신월리에 정선읍성, 애산리에 애산성·기우산성 등의 성터가 남아 있고, 북평면 남평리에는 왜군과 격전을 벌이다 전사한 군사들을 합장한 의총이 있다. 산세가 수려하고 지형상 개발이 늦어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한국의 가면
    지내거나 얼굴에 쓰고 잡귀를 내쫓는 등 종교적인 의식에 사용된다. 신앙가면으로는 벽사·의술·영혼·신성 가면 등이 있고, 죽은 사람을 본뜬 추억이나 기우 또는 토템 가면 등도 신앙가면에 속한다. 이밖에 수렵·전쟁 가면도 원래는 실용적 동기에서 사용된 것이지만 역시 주술성을 지니기 때문에 신앙가면 속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조위한 현곡, 趙緯韓
    가사 작품 〈유민탄 流民歎〉을 지었다고 하나 전하지는 않는다. 저서로 〈현곡집〉·〈기행록 紀行錄〉·〈최척전 崔陟傳〉이 있다. 한문소설 〈최척전〉(〈기우록 奇遇錄〉이라고도 함)은 임진왜란으로 인한 민족 수난의 현실을 한 가족의 이산과 만남을 통해 그린 것이다. 부분적으로 보이는 초현실적 요소에도 불구...
    출생 :
    1567(명종 22)
    사망 :
    1649(인조 27)
    국적 :
    조선, 한국
  • 환구단 圜丘祭
    건국된 이후 성리학적인 명분론에 따라 제후국가인 조선에서 '천자의 제천의례'인 원구제를 거행할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큰 가뭄이나 비상 사태에 최후의 기우 대상으로 방편적으로만 거행되었다. 원구단이 다시 건립된 것은 1897년(광무 1) 조선이 국호를 대한제국이라고 고친 이후로 이 곳에서 고종이 황제 즉위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원구단 사적 제 157호, 圜丘壇
    명분론에 따라 제후국가인 조선에서 '천자의 제천의례'인 원구제를 거행할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큰 가뭄이나 비상의 사태를 당했을 때는 최후의 기우 대상으로 방편적으로만 거행되었다. 이는 당시 독자적 실재의 확립이라는 현실과 성리학적 명분론 사이의 갈등에서 빚어진 제천의례였다. 이러한 가운데 1457년(세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농경 무용
    행해진다. 또한 한국, 중국, 인도 등에서 성행하는 사자춤은 원래 가뭄과 장마 등의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불(神佛)에 기우제를 지내는 데에서 비롯하였는데 기우 행사에서 청색의 사자 머리춤을 추게 하여 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농경 민족으로 모내기제나 수확제에 추는 무용과 농악을 통해...
  • 칠성각 七星閣
    칠성은 본래 도교에서 신앙하던 것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기우·장수·재물을 비는 민간신앙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칠성신에 대한 제사는 조정과 민간에서 계속되었으며, 이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어 사찰 안에 칠성각을 짓고 칠성신을 모시게 되었다. 칠성각은 조선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해 지금도 대부분의 사찰에...
  • 신석정 석정(夕汀), 辛夕汀
    1967년에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전라북도지부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그의 시작활동은 1924년 4월 19일자 『조선일보』에 소적이라는 필명으로 「기우는 해」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뒤 1931년『시문학』지에 시「선물」을 발표하여 그 잡지의 동인이 되면서부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로부터...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단원화첩 보물 제782호, 檀園畵帖
    화첩으로 분리되어 꾸며져 있다. 산수화는 〈사인암〉·〈옥순봉〉·〈소림명월〉과 같은 명승지 또는 주변의 전원풍경을 그린 진경산수와 〈계류도강〉·〈기우도강 騎牛渡江〉·〈한계조사 閑溪釣士〉처럼 산수경관을 배경으로 전개된 실경풍속을 다룬 것이다. 화조화는 꿩·물오리·까치·매 등을 당시의 자연경관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정만조 鄭萬朝
    본관은 동래. 자는 대경(大卿), 호는 무정(茂亭). 아버지는 기우(基雨)이다. 강위(姜瑋)의 문인이다. 1883년(고종 20)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가 되고, 1889년 알성문과에 급제해 예조참의·승지·내부참의·궁내부참의관 등을 지냈다. 1895년 을미사변에 관련되었다 하여 15년 유형을 받고 전라도 진도에 유배되었다...
    출생 :
    1858(철종 9)
    사망 :
    1936
    국적 :
    한말·일제강점기,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조운흘 趙云흘
    직강을 거쳐 전라·서해·양광 3도의 안렴사를 역임했다. 1374년 전법총랑으로 있다가 사직하고 상주 노음산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석간서하옹이라 칭하며 〈기우도찬 騎牛圖贊〉·〈석간가 石磵歌〉 등을 짓고, 자은사의 중과 교제하며 지냈다. 1377년(우왕 3) 좌간의대부로 재등용되었는데, 이때 왕에게 다시 서연을...
    출생 :
    1332년(충숙왕 복위 1)
    사망 :
    1404년(태종 4)
    국적 :
    고려·조선, 한국
  • 금강경도량 金剛經道場
    내용 고려시대에 자주 열렸던 호국불교 의식의 하나로, 수명장수나 기우(祈雨), 천재지변의 예방을 목적으로 열렸다. 『고려사』에 의하면, 이 도량은 1096년(숙종 1) 5월을 비롯하여 1122년 7월과 1129년 4월, 1140년 6월, 1152년 9월, 1352년 6월 등 총 7회에 걸쳐서 개설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이 비...
    시대 :
    고려
    성격 :
    종교의례, 불교의식, 법회의식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기우도강도 / 한선국
심우도 / 기우귀가
기우취적도(이경윤 작)
허유세이(한선국 작, 기우도강)
달이 차고 기우는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