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영창 高永昌
    병사 8천으로 요양부를 점령하고 나라를 세웠다. 국호와 관련해 『거란국지(契丹國志)』와 『대금국지(大金國志)』에는 ‘대발해(大渤海)’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대원(大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짧은 시간이지만 국호의 개정 가능성을 말해주는 기록으로 볼 수 있으며, ‘대발해’라는...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헌애왕태후 응천계성정덕왕태후(應天啓聖靜德王太后), 獻哀王太后
    사서에 의하면 대량원군을 꺼려 승려로 만들고, 누차 해를 끼치려 했다고 한다. 1009년(목종 12)에 천추전이 불타면서 정변이 발생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김치양이 난을 일으킨 것처럼 기술되어 있지만 수주(水州, 수원) 출신 최사위(崔士威)를 중심으로 한 대량원군 세력이 정변을 일으킨 것으로...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상서도성 어사도성, 尙書都省
    개설 995년(성종 14) 이전의 어사도성(御史都省)이 개칭된 것이다. 어사도성의 전신에 대해서는 『삼국사기』가 고려 초의 내봉성(內奉省)으로, 『고려사』·『고려사절요』가 광평성(廣評省)으로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학계에서는 대체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따르고 있다. 내용 관원으로는...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995년(성종 14)
    폐지일 :
    1362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윤빈 윤경(尹卿), 尹邠
    내용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에는 윤빈(尹邠)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윤경(尹卿)으로 기록되어 있다. 927년(경애왕 4) 11월 후백제왕 견훤이 갑자기 신라 왕도로 쳐들어가 신라의 경애왕을 죽였다. 그리고 신라를 도우러 온 고려 태조의 군대를 크게 패퇴시킨 뒤, 후백제왕...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장군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김통정 金通精
    자살한 것인지, 남에 의해 목이 졸려 죽임을 당한 것인지 애매하다. 원 측의 기록에는 몽골군이 김통정을 사로잡아 죽인 것으로 되어 있다. 『고려사』 세가와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원종14년(1273) 윤6월에 탐라주둔 장군 송보연(宋甫演)이 ‘적괴(賊魁)’ 김통정의 시체를 얻어 아뢰었고, 또한 ‘적장(賊將...
    시대 :
    고려 후기
    사망 :
    1273년(원종 14)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삼별초의 항쟁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발해 대원(大元), 大渤海
    위치 대발해는 발해 멸망 후 190년이 지난 1116년(예종 11)에 거란(契丹)에 협조하던 발해 지배층 유민인 고영창(高永昌)에 의해 건국되었다.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대원(大元)’이라고 전한다. 요(遼)나라에 반기를 들고 세워진 대발해(大渤海)는 융기(隆基, 또는 응순(應順))로 원년...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선불교통사 朝鮮佛敎通史
    보충·설명했다. 저자의 독자적인 서술은 없으나 해당 자료를 충실하게 수록하여 자료집으로서 기능하게 했다. 〈삼국사기〉·〈삼국유사〉·〈고려사〉·〈고려사절요〉·〈고승전 高僧傳〉·〈동사강목〉 등 기존 사서뿐만 아니라 각종 문집·족보·금석문을 광범위하게 활용했고, 〈송고승전 宋高僧傳〉·〈양고승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계백료서 誡百寮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8편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그당시 같이 만들어진 〈정계 政誡〉 등 주변기록으로 보아 신하로서 지킬 예의·대의명분·상경하순의 도리를 가르친 것으로 보인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갖추는 과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태평곡 太平曲
    가사는 전하지 않고 제작동기에 관한 것이 〈고려사〉 권 125, 〈고려사절요〉 권 21, 〈동국통감〉 권 40에 전한다. 적선이라는 기생이 충렬왕의 총애를 받았는데 김원상과 내시 박윤재가 그 기생과 한마을에 살아서 서로 왕래했다. 김원상이 새노래인 〈태평곡〉을 지어 적선에게 연습시켰다. 어느날 잔치에서 적선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문종 조선 5대왕, 文宗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문종시대의 정치의 방법과 분위기는 세종 후반기와 큰 변화가 없었다. 문종조에 편찬된 서적으로는 《동국병감》, 《고려사》, 《고려사절요》, 《대학연의주석》 등이 있다. 군사제도에 있어서도 세종 27년(1445)에 10사에서 12사로 개정되었던 것을 문종 1년(1451)에 5사로 개편하였다...
    출생 :
    1414년
    사망 :
    1452년
    재위 :
    1450년 2월~1452년 5월, 2년 3개월
  • 강국승 위사보좌공신(衛社輔佐功臣), 康國升
    가계 및 인적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관련 기록이 없고, 『문화유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에 실려 있는 「상서도관첩(尙書都官貼)」에서만 강국승의 이름이 등장한다. 주요 활동 최씨 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시대 군인으로 입신(立身)하여 낭장(郎將)에...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소화집 小華集
    을 수록하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적 사항 현전하지 않아 서지사항을 알 수가 없다. 『소화집』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권95 「박인량열전」,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권6 「박인량졸기」(숙종원년),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등에 보인다. 내용 박인량과 김근의 대표적...
    시대 :
    고려
    저작자 :
    박인량, 김근
    창작/발표시기 :
    고려 문종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송나라 사람
    분야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갑인자본)
고려사절요(갑인자본)
고려사절요(갑인자본)
고려사절요보간
고려사절요보간
고려사절요보간
고려사절요보간
고려사절요(갑인자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