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사 高麗史
    1451년(문종 1)에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관찬의 역사책.|동활자(갑인자)본. 1449년(세종 31)부터 편찬을 시작하여 2년 반 만에 완성을 보고, 1454년(단종 2)에 간행했다. 김종서·정인지·이선제 등의 관료들이 편찬에 참여하였다. 책의 구성은 기전체 방식을 따랐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목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 高麗史
    고려사』는 조선전기 문신 김종서·정인지·이선제 등이 왕명으로 고려시대 전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이다. 세종의 명에 의해 시작되어 문종 원년에 편찬된 기전체의 관찬사서이다. 태조에서 공양왕까지 32명의 왕의 연대기인 세가 46권, 천문지에서 형법지까지 10조목의 지 39권, 연표 2권, 1,008명...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 조선 개국의 정당성이 부각된 사서
    고려사》 139권이 완성되었습니다 1451년 8월 25일은 김종서(金宗瑞, 1390~1453)·정인지(鄭麟趾, 1396~1478) 같은 학자가 세종의 명을 받아 만든 《고려사》 139권이 완성된 날입니다. 고려의 역사를 기록하려는 맨 처음 시도는 태조가 즉위 직후 명을 내려 정도전·정총 등이 1396년에 완성한 《고려국사》입니다. ...
    날짜 :
    1451년 08월 25일
  • 고려사 Goryeosa, 高麗史
    소장본]]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전기에 편찬된 고려 왕조의 역사를 저술한 역사서이며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正史)이다. 1392년부터 1451년까지 60여년에 걸쳐 작성과 수정을 반복하여 편찬되었으며, 34명의 국왕이 다스린 474년의 각종 사건과 각 시대별 인물에 대한 내용을 담았으며, 후세에 지침이 ...
    도서 위키백과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저자 및 편자 1452년(문종 2) 2월 김종서(金宗瑞) 등 모두 28명의 춘추관(春秋館) 수사관(修史官)에 의해 편찬되었다. 이중 정인지(鄭麟趾), 김종서 등 21명은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은 『고려사』가 완성된 시기로부터 약 5개월여 만에 완성되었다. 『고려사』 편찬을 통해서 얻은 경험이 토대가...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의 구성과 내용
    원년으로 삼는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고려시대에는 삼국시대와 마찬가지로 즉위한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고려사〉의 연대가 당시의 금석문과 1년의 차이가 있다. 같은 유년칭원법을 따르더라도 〈고려사절요〉에서는 칭원을 기준으로 하여 원년부터 각 왕들의 사적이 기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
    신석조·신숙주·김례몽·양성지·이예·김지경·김윤복·이극감·윤기무·박윤정·홍우치·이효장·김효우·김용·한서봉·허익·박팽년·유성원(이상 〈고려사〉 편찬에도 참가)·이계전·김맹헌·김질·어익·이윤인·윤자영·김한개 등이다. 편찬과정 조선왕조를 건립한 뒤, 조선은 건국을 기정사실로 하기 위해 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려사절요(갑인자본) 高麗史節要(甲寅字本)
    개설 1452년(문종 2)에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高麗史)』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纂修)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2010년 12월 8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세종이 1449년(세종 31) 2월에 지춘추관사(知春秋官事) 김종서에게 『고려사...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의 역사의식과 사료적 가치
    이 책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역사인식을 따랐다. 정인지가 지은 〈진고려사전 進高麗史箋〉에 역사가 장래의 교훈이 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듯이 유교이념에 입각한 도덕적·교훈적 사관을 따랐다. 비록 찬자들 자신의 주관이 개입된 논찬은 수록하지 않았으나, 이제현(李齊賢)을 비롯한 역대 유교사가들의 논찬을 인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사 高麗寺歌
    훈장 애족장(愛族章)을 서훈하였다. 작자는 항저우[杭州] 도서관에서 『사고전서』를 열람하여 우리나라 역사 기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1922년 8월 항저우 고려사(高麗寺)를 유람하고 관련 역사를 토대로 이 작품을 저술하였다. 작품이 발표된 후 당시 한국과 중국 불교계의 관심을 이끌어 내었는데, 이후의 중창불사...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고려사전문 권초, 高麗史全文
    개설 일명 ‘권초(權草)’ · ‘홍의초(紅衣草)’라고도 하며 현전하지 않는다. 편찬/발간 경위 편찬동기는 1432년 세종이 경연에서 “『고려사』가 종(宗)을 왕으로 고쳐 써서 그 진실을 잃은 것이 많으니 『태종실록』이 끝나는 대로 『고려사』를 개수하고 싶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착수는 1438년...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사의 편찬과정
    개수작업이 이루어진 이후 1419년(세종 1)~21년에는 변계량·유관(柳觀) 등에 의해 개찬되었으며, 다시 1423~24년에는 유관·윤회(尹淮)에 의해 〈수교고려사 讎校高麗史〉가 이루어졌다. 이어 1438~42년에도 〈고려사전문 高麗史全文〉이라는 명칭으로 신개(申槩)·권제·안지(安止) 등에 의해 개찬되었다. 이와 같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100건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목판
고려사 목판
일본 고려사적 전경
《고려사》
고려사 / 경배악
취봉래만 / 고려사
행향자만 / 고려사
고려사 / 자하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