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초의 국문 소설은 설공찬전인가 홍길동전인가?뒤를 바로 잇는 전기 소설로 초기 고소설사 80여 년의 공백을 메우는 중요한 작품이 될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은 우리가 알고 있는 허균의 〈홍길동전〉인가? 최소한 네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앞에서 조심스럽게 밝힌 바처럼 어디까지나 〈홍길동전〉이 허균의 작품이라는 ‘전제를...
-
홍간 자운(子雲), 운부(雲夫), 洪侃어진 사람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이나 모두 그 시를 좋아하여 서로 전해가며 외웠다.”고 하였다. 그의 시가 뛰어나서 당시에 널리 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허균(許筠)도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그의 시가 “아름다우면서도 맑고 곱다.”고 평하였고, 홍만종(洪萬宗)도 『소화시평(小華詩評)』에서 명나라 사신...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04년(충렬왕 30)
- 경력 :
- 원주의 주관(州官), 동래현령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대표작 :
- 홍애집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한문학
- 본관 :
- 풍산(豊山)
-
도문대작 屠門大嚼내용 1권 1책. 필사본. 허균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형조판서와 의정부참판을 지냈다. 이 책은 허균이 바닷가로 귀양갔을 때에 쓴 책이다. 귀양지에서 귀양지의 거친 음식을 먹게 되자 전에 먹었던 좋은 음식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도문대작』의 서술 내용에는 병이류 11종목, 채소와 해조류 21종목...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허균
- 창작/발표시기 :
- 1611년(광해군 3), 1961(영인본)
- 성격 :
- 개설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간행/발행 :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영인)
- 분야 :
- 생활/식생활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
장생전 蔣生傳그 구체적 내용이나 길이가 약간씩 다를 뿐이다. 그 당시에 「장생전」과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유포되고 있었던 듯 하다. 의의와 평가 「장생전」은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에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 「엄처사전(嚴處士傳)」 ·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 「장산인전(張山人傳)」 등과 함께 실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남궁선생전 南宮先生傳내용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제8권 문부(文部) 제5의 전(傳) 속에 있는데 5편의 작품 중에서 가장 길다. 「홍길동전」과 더불어 허균소설의 쌍벽을 이룬 「남궁선생전」은 전기체소설이 갖는 하나의 전형(典型)과 같이, 실재하였던 남궁 두(南宮斗)라는 인물을 대상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
황진이 아름답고 다재다능한 저항의 여인상남겼다는 정도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들 이야기는 다분히 남성적 흥미로 엮어진 것들이다. 전혀 틀린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녀의 참모습이 이것만은 아니다. 허균은 “황진이는 개성 맹녀(盲女, 눈먼 여자)의 딸이다”라고 기록했다. 허균의 아버지 허엽은 서경덕의 제자였다. 허균은 황진이와 서경덕의 관계를 아버지...
-
-
고문진보 古文眞寶於于野談)』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들의 배움은 대개 『십구사략』 · 『고문진보』를 익히는 것으로 학문에 들어서는 문으로 삼았다.”라고 기록되었다.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성옹지소록하(惺翁識小錄下)」에서는 “국초의 제공이 모두 『고문진보』 전후집을 읽어 문장을 지었으므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