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초의 국문 소설은 설공찬전인가 홍길동전인가?
    뒤를 바로 잇는 전기 소설로 초기 고소설사 80여 년의 공백을 메우는 중요한 작품이 될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은 우리가 알고 있는 허균의 〈홍길동전〉인가? 최소한 네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앞에서 조심스럽게 밝힌 바처럼 어디까지나 〈홍길동전〉이 허균의 작품이라는 ‘전제를...
  • 홍간 자운(子雲), 운부(雲夫), 洪侃
    어진 사람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이나 모두 그 시를 좋아하여 서로 전해가며 외웠다.”고 하였다. 그의 시가 뛰어나서 당시에 널리 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허균(許筠)도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그의 시가 “아름다우면서도 맑고 곱다.”고 평하였고, 홍만종(洪萬宗)도 『소화시평(小華詩評)』에서 명나라 사신...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304년(충렬왕 30)
    경력 :
    원주의 주관(州官), 동래현령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문신
    대표작 :
    홍애집
    성별 :
    분야 :
    문학/한문학
    본관 :
    풍산(豊山)
  • 도문대작 屠門大嚼
    내용 1권 1책. 필사본. 허균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형조판서와 의정부참판을 지냈다. 이 책은 허균이 바닷가로 귀양갔을 때에 쓴 책이다. 귀양지에서 귀양지의 거친 음식을 먹게 되자 전에 먹었던 좋은 음식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도문대작』의 서술 내용에는 병이류 11종목, 채소와 해조류 21종목...
    시대 :
    조선
    저작자 :
    허균
    창작/발표시기 :
    1611년(광해군 3), 1961(영인본)
    성격 :
    개설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영인)
    분야 :
    생활/식생활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 장생전 蔣生傳
    그 구체적 내용이나 길이가 약간씩 다를 뿐이다. 그 당시에 「장생전」과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유포되고 있었던 듯 하다. 의의와 평가 「장생전」은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에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 「엄처사전(嚴處士傳)」 ·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 「장산인전(張山人傳)」 등과 함께 실려...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남궁선생전 南宮先生傳
    내용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소설,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제8권 문부(文部) 제5의 전(傳) 속에 있는데 5편의 작품 중에서 가장 길다. 「홍길동전」과 더불어 허균소설의 쌍벽을 이룬 「남궁선생전」은 전기체소설이 갖는 하나의 전형(典型)과 같이, 실재하였던 남궁 두(南宮斗)라는 인물을 대상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허난설헌 솔숲
    허난설헌 생가터 주위에 있는 울창한 소나무 군락이다. 허난설헌은 27세에 요절한 조선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이다. 허난설헌이 7살 때까지 동생 허균과 뛰어놀았던 깨끗한 앞마당이 너른 소나무 숲에 바로 맞닿아있다. 사시사철 시원하고 향긋한 솔바람이 불어 가족단위 여행객이 많이...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16 (초당동)
  • 신사임당길
    어린 율곡을 데리고 서울로 갈 때 죽헌저수지의 물길을 따라 이 마을을 지나 대관령을 넘었다. 신사임당길은 송양초등학교에서 오죽헌, 선교장을 지나 허균, 허난설헌 생가터에 이르는 역사길로서, 죽헌 저수지와 넓은 들, 농촌마을의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길이다. 관광 포인트로는 신사임당과 율곡이이가 태어난 집이자...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위촌길 198
  • 황진이 아름답고 다재다능한 저항의 여인상
    남겼다는 정도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들 이야기는 다분히 남성적 흥미로 엮어진 것들이다. 전혀 틀린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녀의 참모습이 이것만은 아니다. 허균은 “황진이는 개성 맹녀(盲女, 눈먼 여자)의 딸이다”라고 기록했다. 허균의 아버지 허엽은 서경덕의 제자였다. 허균은 황진이와 서경덕의 관계를 아버지...
  • 양사언 응빙, 楊士彦
    안변군수로 나갔으나 다음해 번호(蕃胡) 변란을 당해 수사(守士)의 책임을 지고 해서에 귀양가서 1584년 68세로 죽었다. 그는 문명을 날리면서 허균·이달 등과 교유했다. 허균은 〈성수시화 性叟詩話〉에서 금강산에 관한 그의 시를 유선지흥(游仙之興)에 젖어 있다고 평했다. 점복(占卜)에 능하여 임진왜란을 예고...
    출생 :
    1517(중종 12)
    사망 :
    1584(선조 17)
    국적 :
    조선, 한국
  • 고문진보 古文眞寶
    於于野談)』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들의 배움은 대개 『십구사략』 · 『고문진보』를 익히는 것으로 학문에 들어서는 문으로 삼았다.”라고 기록되었다.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성옹지소록하(惺翁識小錄下)」에서는 “국초의 제공이 모두 『고문진보』 전후집을 읽어 문장을 지었으므로...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한문학
  • 이정 李楨
    朱之藩)이 그린 불화첩(佛畵帖)을 보고 칭찬하며 제문을 써주었다.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연경(燕京)에 다녀오기도 했다. 최립(崔岦)으로부터 시문을 배웠고, 허균(許筠)을 비롯하여 심우영(沈友英)·이경준(李耕俊) 등과 가깝게 지냈으며, 이춘영(李春英)·신흠(申欽)과도 교유했다. 가난하여 남에게 기식(寄食...
    출생 :
    1578(선조 11)
    사망 :
    1607(선조 40)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조선의 양명학
    주자학의 무력함을 자각하여 실용적인 실학과 함께 역동적인 양명학이 일부 학자에 의하여 연구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실학파의 선구인 이수광·허균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양명학설이 수용되고 심학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셋째, 양명좌파의 이탁오(李卓吾) 등의 문학이론이 허균·박지원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저자1건

멀티미디어2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