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두번째묶음) 송편
    풍요를 비는 뜻에서, 집안에서 팥시루떡을 쪄서 고사를 지냈다. 요즘에도 이사를 하면 시루떡을 하여 고사를 지내고 이웃집에 돌리며 정을 나누곤 한다. 인절미 찹쌀이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절구에 찧어 적당한 크기로 잘라 고물을 묻힌 떡이다. 묻혀내는 고물에 따라 맛의 차이가 있는데 보통 볶아놓은 콩을 여러...
    발행일 :
    2002.6.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190원
    디자인 :
    송편
    우표번호 :
    2225
    인면 :
    37×27
    천공 :
    13
    전지구성 :
    5×4 (4종연쇄)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6도
    우표크기 :
    40×30
    디자이너 :
    김현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두번째묶음) 시루떡
    풍요를 비는 뜻에서, 집안에서 팥시루떡을 쪄서 고사를 지냈다. 요즘에도 이사를 하면 시루떡을 하여 고사를 지내고 이웃집에 돌리며 정을 나누곤 한다. 인절미 찹쌀이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절구에 찧어 적당한 크기로 잘라 고물을 묻힌 떡이다. 묻혀내는 고물에 따라 맛의 차이가 있는데 보통 볶아놓은 콩을 여러...
    발행일 :
    2002.6.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190원
    디자인 :
    시루떡
    우표번호 :
    2223
    인면 :
    37×27
    천공 :
    13
    전지구성 :
    5×4 (4종연쇄)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6도
    우표크기 :
    40×30
    디자이너 :
    김현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오성과 한음설화 鰲城─漢陰說話
    초청해서 떡에 똥을 넣어 오성에게 먹이고 거짓말을 하는 입에는 똥이 들어가야 한다고 하였다는 것이다. ③ 오성의 선보기 : 오성은 신붓감을 선보려고 인절미를 해서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고 몽둥이로 자기를 쫓으며 때리라고 시킨 뒤 도망치는 체하며 신부의 치마폭 속으로 들어갔다. 신부는 이에 당황하지 않고 “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떡갈비
    식초를 발라 두면 고기가 달라붙지 않는다. 참고사항 ·갈비살을 떡 모양으로 뭉쳐 숯불에 구운 것으로, 먹기 편할 뿐 아니라 맛도 좋다. 떡갈비라는 명칭은 인절미처럼 네모지게 만들었다 해서 ‘떡'' 갈비살을 사용해서 ''갈비''가 합쳐서 된 것이다. 떡갈비는 섭산적의 원리를 응용, 발전시킨 것이 떡갈비라 할 수...
    분류 :
    부식류 > 구이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굽는 음식
  • 보름 달떡 나누기 정월대보름 풍습
    하는데 가장 오래전부터 만들어 먹던 떡입니다. 여기에는 찰편, 수리치떡, 느티떡, 무시루떡, 물호박떡, 두텁떡 따위가 있습니다. 또 절구에 치는 떡은 인절미, 개피떡, 수리치절편, 꿀편이 있으며, 또 낟알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찌거나 끓는 물에 삶은 다음 고물을 입혀 만드는 떡은 송편, 석이단자, 밤단자, 쑥굴리...
  • 찰밥
    내용 곡식은 찰기에 따라 크게 경(粳)과 나(糯)로 나누어진다. 경미는 멥쌀, 나미는 찹쌀이고, 경속은 메조, 나속은 차조이다. 찹쌀은 끈기가 있어 인절미처럼 늘어지는 성미가 있기에 이러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즐겨 먹지만 멥쌀밥처럼 지속해서 먹기는 어렵다. 또, 찹쌀밥 한 가지만을 단독으로 하얗게 지어서 먹는...
    성격 :
    음식, 밥
    유형 :
    물품
    재질 :
    찹쌀, 팥, 콩, 소금
    용도 :
    주식용
    분야 :
    생활/식생활
  • 산채나물
    끓는 물에 소다를 조금 넣고 데친 다음 찬물로 헹구지 말고 채반에 쏟아 말려 두었다가 망으로 된 봉지나 석작에 보관한다. 끓는 물에 삶아 건져 내어 쑥인절미나 쑥송편에 이용하며, 말린 쑥을 삶을 때는 떡의 종류에 따라 시간을 달리한다. 쑥을 건조시킬 때 한 번 데치면 그냥 말리는 것보다 색이 더욱 진해진다...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할매니얼
    와 밀레니얼 세대의 합성어다. 젊은 세대에 스며든 옛날 감성이나 상품 및 트렌드를 의미한다. 주로 중장년층 입맛에 맞는 것으로 알려진 검은깨와 쑥, 인절미 등을 이용해 만든 음식을 즐기는 ‘할매입맛’, 고풍스러운 느낌의 카디건과 풍성한 긴치마 등을 매치한 ‘할미룩’, ‘졸라맨’ ・ ‘뿌까’ 등 어릴 적 추억...
  • 장국상 醬국床
    상의 장국상차림에는 필수 식품의 균형배합이 잘 이루어져 있다. 장국상에 놓이는 떡은 봄에는 경단이나 개피떡, 여름에는 증편, 가을에는 시루떡, 겨울에는 인절미나 약식 등이 적격이고 꿀을 함께 놓아 떡을 찍어 먹을 수 있게 한다. 유과류로는 강정 · 약과 · 다식과 · 만두과 등이 쓰이고, 화채로는 봄 · 가을...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식생활
  • 수리취떡
    진 떡을 조금씩 떼어 큰 도마 위에 놓고 가래떡 모양으로 만든 후 수레바퀴 모양의 떡살로 눌러 찍어 자른 다음 참기름을 바른다. 참고사항 ·기호에 따라 인절미처럼 만들어 팥고물이나 콩고물을 묻히기도 한다. ·강원도는 산이 많으므로 수리취와 같은 산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오월 단오에는...
    분류 :
    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대추나무 녀초, Jujube
    한다. 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처녀의 눈물이 비오듯이 쏟아진다. 대추씨 물고 삼십리 간다. 용도 식용 : 민족의 삼색과일중 하나로 생식하거나 대추밥, 대추인절미, 대추전병, 대추약밥, 조란(다과)를 만든다. 약용 : (열매) 불면증과 신경과민에 진정효과와 항종양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근력강화와 간보호기능이...
    분류 :
    갈매나무과(Rhamnaceae)
    서식지 :
    산지
    학명 :
    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unge) Rehder
    본초명 :
    대조(大棗)
    분포지역 :
    촌락부근이나 밭뚝에 식재
    근연식물 :
    묏대추나무
  • 라효카페
    라효카페에서는 내 마음대로 그리고 칠하는 Diy 베어브릭 체험도 가능하다. 플루이트 아트베어 체험을 하면서 라효 오트 라떼, 라효 밀크티, 하겐다즈 라떼, 인절미 쑥 티라미수 등의 음료와 디저트를 먹을 수 있다. 가족과 연인, 친구와 함께 커스텀 베어브릭을 만들고 싶다면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문헌 https...
    위치 :
    경기도 평택시 목천로 58 4층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인절미
인절미
인절미
인절미
인절미
인절미 재료
인절미 썰기
인절미 만드는법 1
인절미 만드는법 3
인절미 만드는법 2
콩고물 인절미
대추인절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