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추인절미식재료 찹쌀 3kg, 대추 630g(9컵), 소금 1 1/2큰술, 파란 콩가루 2컵, 콩가루 2컵, 팥고물 2컵 조리방법 1. 찹쌀은 씻어 5시간 이상 불려 물기를 빼고 소금을 넣어 곱게 간다. 2. 대추는 씻어 물기를 빼고 돌려 깎아 씨를 빼고 곱게 간다. 3. 찹쌀가루와 대추를 잘 섞는다. 4. 김이 오른 찜통에 면포를 깔고 3을 올려 찐...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
인절미찜통에 안쳐 소금물을 뿌려 푹 찐다. 3. 뜨거운 찹쌀밥을 밥알이 으깨지도록 절구에 친다. 4. 칼로 알맞게 잘라 준비한 고물을 묻힌다. 참고사항 인절미를 만들 때 쑥이나 대추, 수리취를 넣으면 색과 맛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고물이 쉬기 쉬운 여름철에는 깨고물이나 콩고물이 좋으며, 팥고물은 봄, 가을, 겨울에...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대추나무 녀초, Jujube한다. 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처녀의 눈물이 비오듯이 쏟아진다. 대추씨 물고 삼십리 간다. 용도 식용 : 민족의 삼색과일중 하나로 생식하거나 대추밥, 대추인절미, 대추전병, 대추약밥, 조란(다과)를 만든다. 약용 : (열매) 불면증과 신경과민에 진정효과와 항종양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근력강화와 간보호기능이...
- 분류 :
- 갈매나무과(Rhamnaceae)
- 서식지 :
- 산지
- 학명 :
- 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unge) Rehder
- 본초명 :
- 대조(大棗)
- 분포지역 :
- 촌락부근이나 밭뚝에 식재
- 근연식물 :
- 묏대추나무
-
구름떡벗기고, 대추는 깨끗이 씻어 돌려깍기하여 씨를 뺀다. 잣은 마른 면포로 깨끗이 닦아 고깔을 뗀다. 밤, 대추, 호두는 3~4등분한다. 4. 2의 찹쌀인절미에 밤, 호두, 잣, 대추를 넣고 골고루 섞이도록 버무린 다음 한 주먹 크기로 떼어 낸다. 5. 편평한 판에 팥가루를 깔고 떼어 낸 떡을 팥고물을 묻힌 다음 4개씩 서로...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속말이인절미소금을 넣어 고루 쳐서 인절미를 만든다. 3. 팥은 씻어 푹 삶아 건진다. 4. 대추는 돌려 깎기 하여 씨를 빼고 곱게 채 썰고, 밤도 곱게 채 썬다. 5. 석이버섯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곱게 채 썬다. 6. 인절미를 넓게 펴서 삶은 팥, 대추채, 밤채, 석이버섯채를 올려 돌돌 말아서 적당한 길이로 썬 다음 콩가루를...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떡밤·대추·곶감을 섞어 만든 떡)·도행병(桃杏餠 : 쌀가루에 살구향기를 가미하여 만든 떡)·율고(栗糕 : 밤설기떡)·도병(桃餠 : 복숭아향기를 섞은 떡)·당귀병(當歸餠 : 당귀가루를 섞은 떡)·상자병(橡子餠 : 도토리가루를 섞은 떡)·산삼병(山蔘餠 : 삼을 섞은 시루떡)·유엽병(楡葉餠 : 어린 느티나뭇잎을 섞은 떡...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
-
송편 설에는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얻어먹는다라는 우리나라 옛 속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가위는 곡식과 과일이 풍성한 때이므로 여러 가지 시절음식이 있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송편,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를 시절음식으로 꼽았는데, 송편에 꿀송편, 밤송편, 깨송편, 콩송편, 대추송편 따위가 있지요. 또 경상도 지방이나 충청도의 어느 산에서는 모시잎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