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전설 地轉說정조 4)에 연경(燕京)에 갔던 박지원(朴趾源)이 중국 학자들에게 홍대용의 지전설을 소개하면서 특히 그것이 홍대용의 독창적인 생각임을 강조하였다고, ≪열하일기 熱河日記≫에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지전설이 중국에 소개된 것은 17세기로 서양선교사들에 의하여 알려졌으나, 지전설은 옳지 않다는 주장이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
신문관 新文館과거 극히 소수의 사대부에게만 국한되어 읽혔던 서적을 널리 보급함으로써 서적의 대중화를 꾀하였다. 또한, 역사서적뿐만 아니라 『동국세시기』·『열하일기』·『중경지(中京誌)』·『동경잡기(東京雜記)』·『해동소학(海東小學)』·『훈몽자회(訓蒙字會)』·『택리지』·『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동국병감...
- 시대 :
- 근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남부 상려동
- 설립 :
- 1907년
- 성격 :
- 출판사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최남선(崔南善)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이동직 李東稷뒤 수찬이 되었다. 이어 교리가 되어서는 홍국영(洪國榮)과 권세를 같이하려는 무리들을 탄핵하였다. 1792년 부교리로 재직 중 박지원(朴趾源)의 저서 『열하일기』의 문체가 저속함을 상소하였고, 다시 남인 이가환(李家煥)을 서학교도라고 논척하여 충주목사로 좌천시키는 등 주자학적 전통에 입각하여 신학문의 배척...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49년(영조 25)
- 사망 :
- 미상
- 경력 :
- 부교리, 대사간, 대사헌, 관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풍금 風琴 : 리드 오르간(reed organ) : 하모니움(harmonium)홍대용(洪大容)은 『담헌집(湛軒集)』(1762)에서 북경에 설치되었다는 것과 천주교회 내의 풍금에 대한 인상기를 기술하고 있다. 박지원(朴趾源)은 『열하일기』(1778)에서 풍금 등 서양음악을 들은 인상기를 기록하고 있다. 풍금은 대략 1896년경에 선교사에 의해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보는데, 『한국양악 100년사...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허민 운전(芸田), 許珉경남미협전, 경남재건예술제 등에서도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1964년에는 『동의보감』(상중하, 동양종합통신대학 발행)을 완역하여 발간하였고 1965년 『열하일기』를 완역하였다. 1967년 56세로 작고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부산 로타리 다방에서 개최된 유작전에는 「남극노인도」, 「앙견명원도」, 「세한삼우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삼대환공부설 삼환설, 三大丸空浮說밝혔지만, 이 책 자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 주장을 유명하게 만든 사람은 박지원(朴趾源)이다. 1780년(정조 4) 중국을 다녀와 쓴 그의 기행문 『열하일기』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에서 그가 중국 학자들과 담화하는 가운데 김석문의 삼대환공부설을 소개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박지원은 중국...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