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노봉집

다른 표기 언어 老奉集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민정중의 시문집.

12권 6책. 목판본. 1734년(영조 10) 조카 진원이 편집·간행했다. 권두에 이재(李宰)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사·부·시, 권2~5에 소·차, 권6~7에 서(書), 권8에 행장, 권9에 묘지명·제문, 권10에 잡저, 권11에 서계, 권12에 부록으로 되어 있다. 이중 소에서 〈인천재진계소 因天災陳戒疏〉는 천재는 하늘의 노여움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앞으로 다가올 재앙을 예고한다고 주장했다. 〈진폐소 陳弊疏〉는 진휼을 실시해 백성을 구제하고, 부역을 줄이자는 것이었으며, 편지는 송시열·송준길 등과 함께 주자학의 문제와 당시 당쟁의 핵심이었던 예론에 대해서 주고받은 것이 많다.

잡저의 〈임진유문 壬辰遺文〉은 임진왜란 때 부산진 첨사 정발과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의 활약상을 기록하여 그들의 충절을 기린 것이다. 〈연행일기 燕行日記〉는 청나라에 다녀온 일기로서 중국의 풍속·문화·제도·생활상을 자세히 그렸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熱河日記〉와 쌍벽을 이루는 저술이다.

서계 중 〈영남암행어사복명승합서계 嶺南暗行御使復命承合書啓〉는 영남의 군정과 세정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어 당시의 세제운영 연구에 도움이 된다. 〈북백시진폐장계 北伯時陳弊狀啓〉와 〈북백시응지장계 北伯時應旨狀啓〉는 함경도 지방의 공물과 인징·족징의 폐단을 보고하고 대책을 강구한 것이다.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민정중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노봉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