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수성 효백(孝伯), 曺守誠
    에 모여 남한산성을 향하던 중, 청주에서 적과 화의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군려(軍旅)를 해산하였다. 그 뒤 참판 김반(金槃)이 이를 듣고 천거, 헌릉참봉(獻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세상일에 뜻을 끊고 일생을 마쳤다. 도내의 사림들이 건의하여 산산(蒜山)의 역정사우(櫟亭祠宇)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70년(선조 3)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병자호란
    직업 :
    의병장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창녕(昌寧)
  • 참령 參領
    職制〉를 공포했는데 이때 참령은 개편된 12계급 중 6번째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부령과 정위의 중간에 위치하며 품계는 3품으로 정해졌다. 1895년 〈군인현역정한연령령 軍人現役定限年齡令〉이 공포되어 정년이 만 54세로 정해졌다. 〈육군무관진급령 陸軍武官進級令〉에 따라 정위에서 참령으로 진급할 때는 3년, 참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하딘 John Wesley Hardin
    일삼았다. 술집 애크미 살롱에서 오랜 원수지간으로 엘패소의 경관이자 도둑인 존 셀먼 1세의 총을 뒷통수에 맞아 죽었다. 셀먼은 무죄로 풀려났다. 하딘의 인생역정과 모험은 사후출판된 자서전 〈존 웨슬리 하딘의 삶, 그가 쓴 이야기 The Life of John Wesley Hardin as Written by Himself〉(1896)에 기록되어 있다...
    출생 :
    1853. 5. 26, 미국 텍사스 본햄
    사망 :
    1895. 8. 19, 텍사스 엘패소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건/사고
  • 고려식목형지안 高麗式目形止案
    또한, 서북계의 군비내용이 전체적으로 초맹(抄猛)·좌맹(左猛)·우맹(右猛)·보창(保昌)과 잡척(雜尺)으로 소정(所丁)·진강정(津江丁)·부곡정(部曲丁)·역정(驛丁) 등이 있고, 백정군(白丁軍)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렇게 볼 때 고려 병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고려사』 병지의 내용을 보충해...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성격 :
    문서, 법안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여우난골족 여우 난 골 族
    우리집개’까지 따라서 줄지어 큰집을 향하는 장면을 그림처럼 보여준다. 2연에서는 큰집에 모인 친척들 모두가 상세하게 묘사된다. 개별 인물의 특징과 삶의 역정에 이어 그 가족 구성원들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가족사와 혈연적 유대관계를 선명하게 드러낸다. 이 ‘여우난골족’의 공동체 분위기는 이들이 함께 나누는...
    시대 :
    현대
    저작자 :
    백석
    창작/발표시기 :
    1935년 12월
    성격 :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농업진흥지역 農業振興地域, agricultural development region
    환경보호 목적에서만 토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지역이다. 1991년 현재 3㏊로 묶여 있는 농지소유상한이 폐지 또는 대폭 완화되는 지역을 농업진흥지역으로 정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69년부터 농업진흥지역정비법에 의해 농업진흥지역을 설정하고 이 지역에서 토지의 비농업적 이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토지
  • 찰방 察訪
    폐단만 일으킨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1535년(중종 30)에 역승을 폐지하고 찰방만 남게 되었다. 그런데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어받아 역정(驛政)보다도 수령감찰·진제(賑濟)·군기점검 등의 감찰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다른 감찰관과 달리 암행감찰을 하기도 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우직 중익(仲益), 李友直
    뒤 예조판서가 되었다. 1589년 다시 형조판서가 되고, 우참찬에 이르렀다. 평소 『근사록』·두시(杜詩) 및『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 등을 탐독했고, 삶의 역정을 술로써 달래면서 세월을 보냈다 한다. 또한 시사(時事)를 물으면 웃으면서 “그것이 나에게 무슨 관계냐.”고 오히려 반문했기 때문에 ‘하관선생(何關...
    시대 :
    조선
    출생 :
    1529년(중종 24)
    사망 :
    1590년(선조 23)
    경력 :
    대사간, 대사헌, 도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거의일기 擧義日記
    3월 7일 남평에서 강진으로 진격한 뒤 벌인 첫 전투에서 다수의 일본군을 사살하는 등의 대승을 거둔 것을 필두로 영암, 장흥, 남평, 나주 등지를 전전한 역정(歷程)과 그동안 벌였던 수차의 접전에 대한 기록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말미의 ‘기미재거’ 부분은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활동을 기술한 것으로 추측되나...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성격 :
    일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0면
    분야 :
    역사/근대사
  • 최규서 문숙(文叔), 崔奎瑞
    1728년 무신난(戊申亂)이 일어날 때, 용인에 있으면서 이 정보를 입수하고는 80세의 노구를 이끌고 제일 먼저 조정으로 달려와 이를 알린 다음, ‘역정포고의(逆情布告議)’라는 토난책(討難策)을 건의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원옥(寃獄)이 없을 것을 당부, 완소계열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일사부정...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백범일지 白凡逸志
    3·1운동의 상해」 · 「기적 장강 만리풍(寄跡長江萬里風)」 등의 제목 아래 광복군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국제연합군의 힘으로 민족해방을 맞게 되기까지의 투쟁역정을 엮고 있는데 하권에서 보이는 임시정부의 환국이나 삼남(三南) 순회 대목의 기술은 1945년 말 또는 1946년 초에 첨가한 것으로 보인다. 상 · 하편...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존슨 미국대통령 내방기념 한미양국 국기와 국가원수의 초상
    마음일 것이다. 체신부는 존슨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한·미 양국 간의 전통적인 유대가 더욱 굳건해질 것은 물론이며 양국의 공동 관심사에 대해 훌륭한 협의가 이루어질 것을 바라면서 온 국민과 함께 이번 방문을 환영하고 존슨 대통령의 체한(滯韓) 역정(歷程)이 즐겁고 평안하기를 기원하면서 기념우표를 발행...
    발행일 :
    1966.10.31
    발행량 :
    5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7원
    디자인 :
    한미양국 국기와 국가원수의 초상
    우표번호 :
    530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10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연청색,적색,암다색,농자청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역정일고
역정일고
역정집
역정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