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풍호 水豊湖둘레는 1,074.7km, 길이는 138.3km, 너비는 약 2.2km이다. 유효 저수량은 76억㎥에 달한다. 자연환경 남창천ㆍ영주천ㆍ남천ㆍ동천ㆍ충만강ㆍ조산천ㆍ훈강 등 압록강의 크고 작은 많은 지류들이 흘러드는 수풍호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 발전시설 용량 70만㎾의 수력발전소 건립을 위해 길이 900m의 수풍댐이 건설됨으로써...
- 성격 :
- 호수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298.16㎢, 둘레 1,074.7km, 길이 138.3km, 너비 약 2.2km, 유효저수량 76억㎥
- 소재지 :
- 평안북도 삭주군, 평안북도 창선군, 평안북도 벽동군, 자강도 우시군, 자강도 초산군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
현도군 玄菟郡玄菟郡)을 설치하였다. 그로부터 25년 뒤인 서기전 82년에 임둔군 · 진번군이 폐지될 때 진번군의 일부를 흡수하였다. 형성 및 변천 서기전 75년에는 압록강 중류 지방에 있던 군치(郡治)가 요동(遼東) 혼하(渾河) 상류인 흥경(興京) · 노성(老城) 부근으로 옮겨갔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에는 군치를...
- 시대 :
- 고대/초기국가/고조선
- 유형 :
- 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00′36″(함북 온성군 풍서리)에 해당한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서해에 면해 있으며, 남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남한)과 분리되어 있고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만주 지방과 러시아 연방의 극동부지방에 인접해 있다. 총면적은 한반도의 약 55%를 차지한다. 8·15해방 당시 행정구역은 6개 도...
- 위치 :
- 아시아 한반도
- 인구 :
- 26,244,582명 (2024)
- 면적 :
- 120,540㎢
- 공식명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기후 :
- 대륙한랭성기후
- 민족 구성 :
- 한민족
- 언어 :
- 한국어
- 정부/의회형태 :
- 중앙집권공화제 / 일당제&단원제
- 국가원수/정부수반 :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위원장
- 화폐 :
- 북한 원 (W)
- 대륙 :
- 아시아
-
수풍댐 水豊─내용 압록강 하구의 신의주 동북동쪽 80㎞ 지점에 위치해 있다. 댐의 규모는 길이 900m, 낙차 106.4m, 용적 330만㎥이다. 댐에 의하여 조성된 인공호수의 면적은 345㎢, 유효 저수량 76억㎥에 달한다. 1937년 10월에 압록강수력발전주식회사와 당시 만주국과의 공동출자로 발전소 건설을 위한 댐공사가 시작되었다...
- 시대 :
- 근대
- 성격 :
- 댐
- 유형 :
- 지명
- 면적 :
- 길이 900m, 낙차 106.4m
- 소재지 :
- 평안북도 삭주군 수풍면 수풍동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사군 四郡내용 여연(閭延)·자성(慈城)·무창(茂昌)·우예(虞芮)의 네 군을 말한다. 압록강 방면의 개척은 고려 말에 상당히 진척을 보였다. 그 결과 강 하류인 서북 방면은 거의 다 고려의 영역으로 편입되었으며, 강 상류인 동북 방면으로도 공민왕 때에 강계만호부(江界萬戶府), 1391년(공양왕 3)에 갑주만호부(甲州萬戶府)가...
- 시대 :
- 조선
- 성격 :
- 고지명, 군사요충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 세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최석순 崔碩淳발생 이후 박장호·채상덕 등 복벽계가 이탈하여 의군부를 조직하였는데 이탈에 참여하지 않고 잔류하였다. 1923년 12월 초, 2중대 소속 20여 명을 지휘하여 압록강을 건너 평북 초산과 벽동군에 진입하여 군자금 모금활동을 벌이고 귀환하였다. 다시 국내진공을 준비하던 2중대는 압록강을 건너 추격해 온 일본군 80...
- 출생 :
- 평북 삭주(朔州)
- 사망 :
- 1925년 2월 25일
- 관련 사건 :
- 고마령참변
- 주요활동 :
- 3 ・ 1운동 이후 망명하여 대한독립단 집서지단장으로 활동, 1922년 8월 대한통의부 의용군 제2중대장, 1924년 참의부 참의장겸 제2중대장으로 활동
- 포상훈격 :
-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독립단, 대한통의부, 참의부
-
북진정책 北進政策명목으로 거란으로 하여금 강동(江東)지역에 대한 고려의 영유를 승인하게 하였다. 이리하여 구축된 것이 강동육주의 성보(城堡)인데, 이를 계기로 국경은 압록강 연안까지 뻗어나가게 되었다. 그 뒤 거란은 앞서 고려가 축성의 명분으로 약속한 통교를 실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차 침입(1010) 때에 약속한 현종의...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