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자강도 북부 |
---|---|
인구 | 50,939 (2008) |
면적 | 887.40㎢ |
행정구역 | 1개읍 1개구 15개리 |
요약 자강도 북부에 있는 군.
압록강과 자성강 연안에 자리잡고 있다. 동쪽은 화평군과 양강도 김형직군, 서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있으며, 남쪽은 만포시와 장강군, 북쪽은 중강군과 접해 있다. 행정구역은 자성읍 1개읍과 운봉노동자구 1개구, 관평리·구중영리·귀인리·대남리·양덕리·유삼리·법동리·삼거리·상평리·송암리·신풍리·역수리·연풍리·자작리·호례리 등 15개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소재지는 자성읍이다(2003). 면적 887.40㎢, 인구 50,939(2008).
연혁
고구려와 발해가 멸망한 후 여진족이 할거하던 지역이다. 조선시대에 여진족이 이곳을 자주 침범하자 1433년(세종 15)에 이를 물리친 후 성을 축성하고 자성군을 만들어 강계부에 속하게 했다. 1459년(세조 5)에는 자성군을 폐지했다가 1683년(숙종 9)에 자성진을 두었다.
그러나 1823년(순조 23)에 자성진을 폐지하고 강계방영별중군이라 칭하고 독립시켰다가 1896년(건양 1)에 자성군이 되었다. 8·15해방 당시에는 자성면·이평면·삼풍면·자하면·장토면·중강면 등 6개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49년에 자강도가 신설되면서 평안북도에서 자강도로 편입되었으며, 1952년 12월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중강군과 화평군이 분리되어 나갔다.
1959년 9월에는 운봉리가 자성읍으로, 자성읍이 동부리로 바뀌었으나, 1963년 11월에 다시 본래 이름으로 환원되었다. 1967년 10월에는 운봉리가 운봉노동자구로 바뀌었으며, 화전리의 일부가 호례리·상평리로 각각 편입되었다. 1972년 7월에는 서해리의 일부가 법동리로 편입되었으며, 나머지 일부와 조아리를 화전리에 통합시킨 후 서해리와 조아리는 폐지되었다.
자연환경
압록강의 운봉호 연안에 있는 산간지대로서 북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지세가 점차 낮아진다. 북부에는 학성산맥이 뻗어내려 학성산(1,276m)·산두산(1,275m)·백설봉(1,222m)이, 동부에는 전가봉(1,227m)·판자봉(1,069m)이, 남부에는 월기봉(1,254m)·무선동산(1,252m)·신원봉(1,335m)·딸기봉(1,161m) 등이 솟아 있다. 그외 운봉산(815m)·천재봉(960m)·준동산(721m) 등이 있다.
압록강·자성강·삼풍천·호례천·관동천 등이 군내를 흐르며 하천연안을 따라 중·소규모의 평야가 전개된다. 기반암은 석영·현무암·응회암 등이며 토양은 대부분 포드졸성갈색삼림토이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지역으로 연평균기온 4.8℃ 내외, 1월평균기온 -17.5℃ 내외, 8월평균기온 22.3℃ 내외, 연평균강수량 972㎜ 정도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90%를 차지하며, 주요수종은 참나무·소나무·피나무·잎갈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젓나무 등이다.
산업과 교통
경지면적은 군면적의 6.5%로서 밭이 대부분이다. 주요농산물은 옥수수·쌀·갓·무·배추 등이며, 소규모의 과수원을 중심으로 포도·사과·배 등이 생산된다. 소·양·돼지·토끼·닭·오리 등의 가축이 사육된다. 풍부한 임산자원의 개발을 위한 자성강벌채사업소와 악기제작용 특수목재를 생산하는 양덕임산사업소가 있으며, 산삼을 비롯한 약재와 산나물이 생산된다.
운봉호에서는 잉어·붕어·빙어·쏘가리 등이 양식된다. 또한 주요 전력공급지인 운봉노동자구의 운봉수력발전소는 압록강 상류를 막아 조성했으며, 발전된 전력을 중국과 반씩 배전하고 있다. 자성읍에 피복·합판·마대 공장이 있다. 만포에서 운봉을 지나 양강도 혜산시로 이어지는 북부내륙선이 지나며, 운봉-만포, 강계-자성-중강진을 연결하는 도로와 자성-운봉을 연결하는 군내 도로가 있다. 그밖에 자성강과 그 지류들이 뗏목수송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압록강을 이용하여 운봉과 중강 간에 여객선·화물선이 운항되고 있다.
문화와 관광
옛 성터인 여연성지와 우예성지가 있으며 판자봉 등이 명소로 알려져 있다. 오수산 일대에는 장대한 고원경관이 펼쳐지며, 이곳에서 압록강 건너 만주 일대를 바라볼 수 있다. 운봉호는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뗏목의 집산지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 유삼약수와 호례약수가 있다.
자성고등중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와 유치원·탁아소·군중문화회관·도서관 등이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