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변형문법 變形文法, transformational grammar
    연관된다. 이런 능동태와 수동태 문장은 단어배열 순서에서 차이를 보이는 등 겉으로는 전혀 다르게 보이지만, 변형문법에서는 이 문장들이 '기저구조', 즉 심층적으로 의미적 상호 관련성에서는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런 문장들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심층구조'와 '표층구조'를 설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변형생성문법 變形生成文法
    것은 촘스키의 ≪통사구조 Syntactic Structures≫(1957)에서인데, 이를 초기이론이라 한다. 이 모델은 구절구조문법(句節構造文法)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심층구조와 표층구조라는 두 통사구조를 설정하고, 이 두 통사구조 사이에 변형(變形)의 기제를 설정하고 있다. 이후 카츠-포더(Katz-Foder)의 의미해석에 관한...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확대표준이론 extended standard theory
    생성문법이론의 하나인 표준이론의 수정으로서 제안된 이론. 표준이론에서는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는 심층구조에 의미해석의 규칙이 적용되어 결정되며, 심층구조 이외에는 의미 해석의 입력이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확대표준이론에서는 심층구조만이 아니라, 표층구조나 중간의 파생구조도 의미해석의 입력이 된다...
    분야 :
    계산언어학
  • 용화산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일어난다. 이는 화학적 풍화작용(암석을 구성하는 광물들의 결합이 풀려 부스러지는 현상)의 일종으로 지하에서 일어난다고 하여 심층풍화(또는 화학적 심층풍화)라고 부른다. 이처럼 심층풍화작용이 가속화되면 단단한 바위도 사람 손의 힘으로도 쉽게 부서질 만큼 약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하남면 삼화리
  • 애스펙트 aspect
    aspect)라고 한다. 여기에 대해서 동사와 표층 애스펙트에 의해서 표현되는 동작의 형태나 성질을, 의미표현의 레벨로 표시한 것을 심층 애스펙트(deep aspect)라고 한다. 심층 애스펙트는 표층 애스펙트와 동사로 거의 정해진다. 예를 들면, 표층 애스펙트의 ‘고 있다’는 “그는 울고 있다.”에서는 계속형(durative...
    분야 :
    계산언어학
  • 격구조 case structure
    문장 중의 각 명사구가 그 동사에 대하여 어떠한 구문적·의미적 역할을 맡고 있는가를 격(case)으로서 기술한 구조. 격은 다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심층격(deep case)··· 행위자격, 도구격, 장소격 등이 있다. 행위자격과 같은, 동사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격을 필수격(obligatory case), 장소격과 같이...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格, case
    관계를 짓는 문법적 절차인 것이다. 격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구조주의 언어학 시기의 문법 체계에서도 계속 이어졌다. 변형생성문법에서는 언어 표현을 심층 구조에서 변형을 거쳐 표면 구조로 유도된 것으로 보아, 격에 대해서도 심층 구조에서 존재하는 심층격과 표면 구조로 나타나는 표면격을 설정하였다. 변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지하수의 수질
    통로주변의 물질이 이미 과거에 통로를 통과한 물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의 수질은 강수의 수질과 비슷한 양상을 띤다. 지하 수백m 깊이에 있는 심층지하수는 흔히 염분이 매우 높은 염수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심층지하수의 성인은 2가지로 해석된다. 과거에는 심층지하수가 해수의 특성과 비슷한 것...
    도서 다음백과
  • 양상 법, modal
    격구조로 표시되는 명제 카테고리와 함께 문장의 의미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법카테고리(modality)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심층의 법카테고리는 심층시제, 심층 애스펙트 및 법조동사의 심층의 의미로 이루어진다. 좁은 뜻으로는 can, must, may, shall, will, could, might, should, would, ought 등의 법조동사...
    분야 :
    계산언어학
  • 신경망 처리 장치 NPU, 神經網處理裝置
    연산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개발한 장치(unit). 수천 개 이상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대규모 병렬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장치(unit)로 심층 기계 학습(deep learning)에 주로 활용한다.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는 기존 컴퓨터에 있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 표층구조 surface structure
    실제의 문장이나 발화의 배후에 있는 추상적인 구조의 하나. 심층구조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이동, 생략 등의 변형조작으로 애매성이 없는 정합된 심층구조의 레벨과 관련된다. 표층구조는 심층구조와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언어 레벨이며, 구어나 문어의 문자 그대로 표층에 나타나 있는 구조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내러티브 저널리즘 Narrative Journalism
    소설을 쓰듯 이야기체로 사건이나 인물의 심층적인 리얼리티를 그려 내는 저널리즘을 말한다. 내러티브 리포트(narrative report)라고도 한다. 내러티브(narrative)는 '알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그나루스(gnarus)에서 온 말로 스토리텔링(storytelling)과는 다소 다르다. 내러티브 저널리즘은 언론을 멀리 하는 대중과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심층 신경망
심층 신경망
심층방어
심층 기계 학습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
대서양의 심층 순환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참여 문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문학의 효용성을 주장한 조동일
심층 순환 모형 : 적도 지방의 가열과 극지방의 냉각으로 커다란 순환이 나타난다. (그림 VII-20)
내면 의식의 흐름을 추적해 심층 심리를 묘사한 단편 소설 〈감정이 있는 심연〉을 표제로 내세운 창작집
떠돌이 유랑 예인 집단의 삶과 비애를 정확한 관찰과 심층적인 접근을 통해 조명한 장편 소설 〈부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