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환율관찰대상국 monitoring list
    환율관찰대상국은 미국과의 교역 조건을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국가가 환율에 개입하는지를 미국의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국가를 뜻한다. 미 재무장관은 종합무역법, 교역촉진법에 의해 반기별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경제 및 환율 정책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한다. 미국은 2015년 무역촉진법에 ...
  • 환율조작국 심층분석 대상국
    인하 등 간접적인 정책을 통해 환율에 개입한다. 미국이 2009년부터 시행했던 ‘양적완화’ 나 2012년 일본의 아베노믹스 역시 자국의 통화가치를 낮춰 경쟁...환율조작"으로 비난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한국 등 5개국 '관찰대상국' 분류 미 재무부는 2016년 4월 29일 발간한 환율보고서에서 한국과 함께 독일,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시사용어 , 사회 , 경제
  • 환율조작국 심층분석 대상국
    체결 제한, 국제통화기금(IMF)에 추가적인 감시 요청 등의 구체적인 제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 가지 요건 중 두 가지 요건에 해당된 국가는 관찰대상국(monitoring list)으로 분류된다. 한국은 지속적 시장 개입 요건을 제외한 나머지가 해당되어 2016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환율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된 바...
  • 환율조작국 심층분석 대상국, 換率造作國
    200억달러 이상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 ▲환율 시장의 한 방향 개입 여부 이상 등 3개 요건에 모두 해당하면 지정된다. 한국은 ‘환율 시장의 한 방향 개입’을 제외한 2개 요건에 해당돼 2016년 4월 ・ 10월과 2017년 4월 ・ 10월, 2018년 4월 등 다섯 차례에 걸쳐 환율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됐다...
  • 환율조작국 Currency manipulator, 為替操作国
    순매수가 12개월 중 8개월간 GDP의 2% 초과할 경우. 어떤 국가가 이 두 가지 특정 기준을 모두 충족할 때, 미국은 이를 환율 조작국이 아닌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다. 환율 관찰대상국환율 조작국과 달리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는다. 미국은 1988년 일본, 1988년 한국, 1992년 대만,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중국...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