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환율외화 1단위를 얻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자국통화의 양. 외환의 가격 자국통화와 외국통화의 교환비율을 의미하며, 한 나라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정부의 개입없이 순수한 시장원리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환율변천사 •고정환율제도(1...
-
-
-
환율 換率자기 나라 통화와 다른 나라 통화의 교환비율. 내용 물품을 교류할 때 국내 교류와 국외 교류의 차이는, 전자가 한 개의 통화로 이루어지는 데 비하여 후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통화로 이루어진다는 데 있다. 국내 상행위(商行爲)에서는 모든 상품의 가격이 자국 통화로 표시되고, 자국 통화는 무제한의 통용력을 ...
- 시대 :
- 현대
- 성격 :
- 경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환율조작국 심층분석 대상국1988년에 제정된 미국의 종합무역법에서 규정된 개념으로 동 법은 현저한 대미 무역흑자 및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를 보인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2015년에 제정된 교역촉진법에 의거 미 재무부는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 초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흑자 비율 3% 초과, 정책당국이 연간GDP...
-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fixed exchange rate system..환율제도는 고정환율제도(fixed exchange rate system)와 자유변동환율제도(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를 양 극단으로 하여 이를 절충하는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고정환율제도는 외환의 시세 변동을 반영하지 않고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환율제도이다. 반면 자유변동환율제도는 환율이 외환...
-
기준환율기준환율이란 일반적으로 “자국 통화와 여러 외국 통화간의 환율결정에서 다른 외국 통화 환율 결정의 기준이 되는 환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바로 기준환율이며 원/엔, 원/유로, 원/파운드 등 여타 각국의 통화의 환율은 원/달러 환율을 기초로 하여 자동적으로 산출(재정환율)된다. 또한...
-
재정환율자국통화와 여타 외국 통화가 국내외환시장에서 직접적으로 거래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을 이용해 산출하는 환율을 말한다. 원/달러 환율이 1,100원이고, 일본 동경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10엔이라면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은 100엔당 1,000원이 된다. 또 유로의 경우 기축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