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어수리 으너리, Heracleum moellendorffii
    식물이다. 3~5월에 채취해 생채, 나물, 묵나물, 전, 국거리, 나물밥 등으로 먹는다. 봄이나 가을에 채취한 뿌리는 약재로 사용한다. 뿌리에는 쿠마린,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중풍, 신경통, 요통, 두통, 진정, 진통, 미용 등에 약재로 사용되며, 혈압을 내리고 햇볕에 의한...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미나리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숲속의 그늘진 곳
    크기 :
    약 70cm ~ 1.5m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꽃말 :
    구세주
    용도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 Sapindales
    지역에서 자라는 종들 가운데 여지·람부탄·용안·아키와 멜리코쿠스 비유구스 등은 열매를 사람들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귀중히 여기고, 무환자나무속(Sapindus)·아파니아속·파울리니아속(Paullinia) 등의 식물은 비누거품을 만드는 화학물질인 사포닌을 지니고 있어 비누 대용품으로 쓰이는 중요한 식물들이기도...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무환자나무목 > 무환자나무과 > 무환자나무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
    크기 :
    약 20m
    학명 :
    Sapindus mukorossi Gaertn.
  • 검은콩 흑대두, Black beans
    있다. 떡에 넣어 먹을 때에는 물에 3~4시간 불린 후 물기를 빼고 삶아서 넣는다. 음식 궁합 검은콩과 해조류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검은콩에 들어있는 사포닌은 체내에서 아이오딘을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데, 김이나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함께 섭취하면 부족한 아이오딘을 보충할 수 있다. 반면 검은콩...
    분류 :
    농산물 > 곡류
    용도 :
    조미용, 주식용, 약용
    영양 성분 :
    단백질, 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 불포화지방산, 레시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식재료
  • 감초 licorice, réglisss officinale〈프랑스어〉
    감초(光果甘草) 또는 창과감초(脹果甘草)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한약명으로 감초(甘草)라 부른다. 감미성분 감초의 감미성분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의 사포닌 화합물로서 뿌리에 3~7%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분해되어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과 해독, 소염작용을 가지는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을...
    분류 :
    콩과(Fabaceae, Leguminosae)
    학명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식물명: 감초) Glycyrrhiza glabra L.(식물명: 광과감초, 光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식물명: 창과감초, 脹果甘草)
    본초명 :
    감초(甘草)
    종류 :
    천연 향신료
    활용부위 :
    뿌리 및 뿌리줄기
    외국어명 :
    liquorice〈영어〉, liquirizia〈이탈리아어〉
    도서 향신료백과 | 태그 식물
  • 홍삼설기떡 맛도 좋고 예쁜 건강떡
    홍삼은 다른 인삼보다 사포닌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 피로회복, 항염증작용과 함께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여줍니다. 일교차가 큰 계절에 보송보송하고 쫀득한 홍삼설기떡 먹고 감기예방하세요. 재료 • 멥쌀가루 400g, 홍삼액 3큰술, 물 9큰술, 꿀 2큰술, 소금 4g(1~2인분 기준) • 고명 : 채 썬 대추...
    조리시간 :
    30분
    난이도 :
    도서 간식 노트 | 태그 음식 , 레시피
  • 산양삼
    씹어서 섭취하되 일정기간 조금씩 나눠서 먹는 것이 산양삼 성분의 흡수를 좋게 한다. 한편 산양삼의 뇌두는 생으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뇌두에는 사포닌 성분 중에서도 강한 성분이 몰려있기 때문에 그냥 먹게 되면 체질에 따라 설사나 구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뇌두는 말려서 차로 먹거나 달여서 먹는...
    원산지 :
    대한민국, 중국 등
    크기 :
    뿌리 10~15cm
    학명 :
    Panax ginseng C.A. Meyer
    영양 성분 :
    탄수화물, 함질소 화합물, 사포닌
    도서 식재의 재발견 | 태그 식재료
  • 조상의 지혜가 담긴 정월대보름 음식
    나는 나물이지만 단백질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여주는 식품이다. 맛이 달고 성질은 차서 열을 내리고 장을 윤택하게 한다. 도라지나물 작은 인삼으로 불리고 사포닌 성분이 기관지의 천식 예방과 치료에 효능, 해열작용, 염증, 궤양억제, 활성화산소를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취나물 취나물은 호흡기 질환에...
    도서 추천식단 | 태그 음식 , 문화 일반
  • 별꽃 자초(滋草), Chickweed
    과 비슷하나 별꽃은 쇠별꽃보다 크기가 작으며 암술대가 3개로 암술대가 5개인 쇠별꽃과 뚜렷이 구분된다. 어린순은 식용으로 쓴다. 본 분류군 식물의 잎에는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어 있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섭취하였을 경우 몸에 해롭다. 본 분류군의 식물은 외용약으로 피부 가려움증을 치료하는 데 쓴다...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별꽃속
    서식지 :
    길가, 공터, 밭두렁
    학명 :
    Stellaria media (L.) Vil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전 세계
  • 인삼 물김치 영원한 강장식품, 인삼으로 담근
    사포닌이란 대표적인 성분이 두뇌와 성인병 예방 등에 좋은 인삼은 온 국민의 강장식품으로 오랫동안 사랑 받아온 식재료입니다. 맑은 김칫국물에 쌉쌀한 인삼을 넣어 식욕과 건강을 함께 챙길 수 있는 의식동원의 기본정신이 담긴 김치랍니다. 김치재료 재료 : 배추(500g), 수삼(2뿌리), 오이(1개), 쪽파(10줄기), 레드...
    도서 김치비전 | 태그 음식 , 레시피
  • 패랭이꽃 석죽화, Rainbow pink
    아주 얕게 결각이 되어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분류군은 전국의 산과 들 건조한 곳에 흔하게 자라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많은 종류의 재배종이 있다. 이뇨제와 항염제의 효과로 약으로 쓴다. 잎에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쓴맛을 내어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오상훈...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패랭이꽃속
    서식지 :
    숲의 가장자리, 경사 지대, 초지, 바닷가
    학명 :
    Dianthus chinensis 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카자키스탄, 중국, 몽골, 러시아 동북부, 유럽
  • 우슬 牛膝
    식물 줄기에 있는 마디의 형상이 소의 무릎과 유사하다고 하여 쇠무릎이라 호칭되기도 한다. 우슬은 쇠무릎의 뿌리에 해당하는 약재이다.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진통작용을 나타내었다. 또 자궁의 수축을 증강시키며 약한 이뇨작용이 있고, 혈관을 확장시켜 일시적인...
    분류 :
    비름과
    성격 :
    식물, 뿌리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식물
  • 칠엽수 七葉樹
    물결 모양의 무늬가 나타난다. 작은 가지 끝의 겨울눈은 수지(樹脂)로 덮여 있어 끈끈하다. 공업용·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씨는 다량의 녹말과 사포닌·타닌을 함유하고 있어 씨에서 타닌을 제거한 다음에 식용한다. 목재는 조각·가구·세공·건축재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학명 :
    Aesculus turbinat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깊은 산 계곡, 길가
    번식 :
    약효 부위 :
    열매
    생약명 :
    칠엽수(七葉樹)
    키 :
    20~30m
    과 :
    칠엽수과
    채취기간 :
    가을(열매 성숙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달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열매 4~6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사포닌(saponin)
사포닌(sapon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