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말레이시아와 한국과의 관계
    체육·문화·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한국에서는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을 시작으로 2005년 노무현 대통령, 2010년 이명박 대통령, 2015년 박근혜 대통령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2001년 살라후딘 11대 국왕, 2011년 미잔 국왕이 한국을 방문해 회담을 가졌다. 경제·통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오미자나무 schisandra fruit
    발견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저항이 약하기 때문에 재배할 때에는 배수에 신경을 써야 한다. 종류 오미자나무와 비슷한 종(種)으로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흑오미자가 있다. 활용 한방과 민간에서는 신맛이 강한 열매를 ‘오미자’라고 해 단독치료에 쓰이고, 해소제·자양제·강장제·수렴제 등으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목련목 > 오미자과 > 오미자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골짜기
    크기 :
    약 6m ~ 9m
    학명 :
    Schizandra chinensis
    꽃말 :
    다시 만납시다
  • 가막살나무속 Viburnum
    나무(V. dilatatum)의 줄기, 잎,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고 어린 잎은 데쳐셔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건조시킨 입과 줄기를 협미라고 부르고, 열매는 협미자라고 한다. 형태 아름다운 잎과 향기 나는 흰색 꽃, 검푸른 열매를 보기 위해 많이 심고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단순하거나 손바닥꼴로 갈라진다. 꽃은 암수한꽃...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
    산허리 아래의 숲속
    크기 :
    약 3m ~ 5m
    학명 :
    Viburnum dilatatum Thunb. ex Murray
    꽃말 :
    사랑은 죽음보다 강하다
  • 말레이시아 사법부 말레이시아 사법을 담당하는 곳, Malaysia Palace of Ju..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강철 모스크) 건너편에 위치한 정부 청사이다. 건축 양식은 정통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건물 전면에는 아치, 건물 중앙 위쪽에는 돔이 있는 무어 양식이 적용되었다. 현재 항소 법원 겸 연방 법원 건물(Court of Appeal & Federal Court)로 쓰이고 있다. 푸트라자야 투어 진행 중...
    소재지 :
    Jalan Persiaran Perdana, Putrajaya(전화: 03-8880-3500)
    가는 법 :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에서 도보 5분
  • 하여 ‘ㅁ’자를 순음의 기본 글자로 삼았으며, 나머지 두 글자는 ‘ㅁ’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훈민정음』(해례본) 본문에서는 “ㅁ은 입술소리니 미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ㅁ 脣音如彌字初發聲).”라고 설명하고, 『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ㅁ 입시울쏘리니 彌밍ㆆ字 처 펴아나 소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오미자 오미자나무, 五味子
    식용 및 약용한다. 해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는 덩굴 식물로서 암꽃과 수꽃이 다른 개체에 달리는 암수딴그루의 특징을 지닌다. 제주도에만 자라는 흑오미자(S. repanda (Siebold et Zucc.) Radlk.)에 비해서 전국에 분포하며,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고, 잎 앞면의 가운데 잎줄이 움푹 들어가므로 구분된다. 늦여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붓순나무목 > 오미자과 > 오미자속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 보어 補語
    이것과 다르다’에서 보듯이 ‘같다, 다르다’의 경우는 조사 ‘과’가, 그리고 ‘철수는 영수를 바보로 여겼다, 철수는 영희를 아내로 삼았다, 철수는 미자를 바보로 알았다, 순자는 물을 얼음으로 만들었다’ 등에서 보듯이 서술어 ‘여기다, 삼다, 알다, 만들다’의 경우에는 조사 ‘로’가 보어 상당의 체언구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달마산 미황사 達磨山 美黃寺
    크게 울고 누웠다 일어난 곳에 통교사(通敎寺)를 창건하고, 마지막 멈춘 곳에 미황사를 지었다. 미황사라 한 것은 소의 울음소리가 지극히 아름다웠다 하여 미자(美字)를 취하고, 금인의 빛깔을 상징한 황자(黃字)를 택한 것이라 한다. 이 창건설화는 <금강산 오십삼불설화>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1264∼1294...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조열 금은(琴隱), 趙悅
    박사 정몽주(鄭夢周), 전서 김성목(金成牧), 대사성(大司成) 이색(李穡) 등과 함께 술을 마시며 회포를 논하였는데, 이색이 말하기를 “비간(比干)은 죽었고 미자(微子)는 떠났으며 기자(箕子)는 종이 되었으니, 우리도 각자 뜻을 따라서 처신하자.”고 하여 결의가 되었다. 그 뒤 홍재지(洪載之)·이오(李午)와 더불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대표작 :
    금은실기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함안(咸安)
  • 은주시대, 성강지치
    한다. 이 난을 진압한 주공 단은 녹보와 관숙선을 사형에 처하고 채숙도를 추방하는 한편 은의 유민들의 세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주왕의 또 다른 아들 미자개(微子開)를 송(宋)에 봉하여 그곳으로 은의 유민을 분산, 이동시켰다. 은의 옛 땅을 위(衛)로 개칭하여 막내 동생인 강숙봉(康叔封)에게 주어 은의 유민을...
  • 사랑과 야망 (1987년 드라마)
    하다 그만 자살을 해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고 태준가족들은 장례식을 치르게 된다. 태준을 위해 그동안 자신을 짝사랑하던 동철을 찾아가 기한을 연기한 미자하고, 동철에게 그동안 모아둔 80만 원을 건넨 태준모의 수고에도 불구하고 고동철은 20만 원이 모자라다는 이유로 방앗간을 엉망으로 만들고 화가 난 태수는...
    도서 위키백과
  • 말레이시아 국립 밀레니엄 기념비 오벨리스크를 닮은 첨탑, Malaysia National..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강철 모스크) 옆에 있는 기념비이다. 높이 68m이고 끝이 뾰족한 첨탑으로 오벨리스크를 닮았다. 저녁에는 기념비 끝에 등불이 켜져 푸트라자야 호수의 등대 역할을 한다. 참고
    소재지 :
    Lebuh Ehsan, Precinct 2, Putrajaya
    가는 법 :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에서 바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알렉산더, 미자
흑오미자
흑오미자
줄무늬실꽃말미잘
실꽃말미잘
툰쿠 미잔 자이날 아비딘 모스크(Tuanku Mizan Zainal Abidin Mosqu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