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밑반찬 ─飯饌, Mitbanchan부패를 막을 수 있는 조리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조리방법에 따라 종류를 나누어 보면 장류에 절인 장아찌,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해 염장(鹽藏) 또는 당(糖)을 넣어 절이거나 말린 찬류 및 젓갈, 양념을 하여 불에 조려서 만든 조림류, 건조시켜 만든 포나 건어물을 이용해 만든 마른반찬 그리고 자반, 부각·튀각류...
- 성격 :
- 음식, 저장식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식음
- 분야 :
- 생활/식생활
-
최씨음식법 崔氏飮食法내용을 보면 주식류(主食類)로는 국수와 만두가 각 1종이고, 찬물류(饌物類)로 찜 4종, 젓갈 1종, 침채류(沈菜類) 5종이다. 떡은 4종이고, 과정류(菓飣類)에 당(糖) 2종, 과편이 1종 소개되어 있다. 장류(醬類)로는 즙디히 1종이 있다. 조리법은 ‘조청은 ~’으로 표제어가 바로 서술되었는데, 편, 즙디히, 팀채, 가장법...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