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백을 받았는데도 무죄가 선고된 까닭?판례가 있다. "형사재판에서 범죄 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검사에게 있는 것이고, 유죄의 인정은 법관으로 하여금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공소사실이 진실한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하는 증명력을 가진 증거에 의해야 하므로, 그와 같은 증거가 없다면 설령 피고인에게 유죄의 의심이 간다고 하더라도...
-
배심재판 ‘판결=판사의 전유물’ 공식 깨지다쓸 줄도 모릅니다. 검사가 제시한 증거라고는 앞뒤가 맞지 않는 피해자의 말뿐입니다. 그렇다면 피고인은 당연히 무죄 아니겠습니까. 재판장:피고인은 검사의 공소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로써 오전 재판을 마치겠습니다. 오후에는 피고인 신문, 증인신문 절차를 진행하겠습니다. 증인으로는...
-
예비적·택일적 기재형사소송법 제254조 5항은 '수개의 범죄사실과 적용법조를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라고 하여 허용하고 있다. 공소사실의 동일성에 관하여 학설이 나뉜다. 공소사실의 동일성 판단기준에 대하여는 소인공통설, 구성요건공통설, 죄질공통설이 존재하고 통설은 기본적 사실공통설이다. 허용범위에 대해서...도서 위키백과
-
3·1민주선언 삼일민주선언, 三一民主宣言받았다. 항소심에서 최고 징역 5년에서 집행유예까지의 선고를 받고 상고했으나, 1977년 3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① 민주구국선언은 사실을 왜곡하고 있고, ② 긴급조치와 헌법을 비방하고 있으며, ③ 원심에 사실오인이 없고 공소사실은 모두 인정된다는 이유를 들어 피고인 전원에 대하여 상고를 기각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76년 3월 1일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판결문의 구성형사사건의 판결은 당사자표시, 주문, 이유 등으로 구성된다. 주문은 피고인이 유죄인 경우 형량을, 무죄인 경우 무죄임을 기재한다. 형사 판결은 검찰의 공소사실에 대한 판단이 주가된다. 유죄를 선고할 때는 이유에 범죄될 사실, 증거의 요지와 법령의 적용을 적어야 한다. 또한 형을 감경하거나 가중할 때는 양형...
-
형사소송법, 알리바이 나는 현장에 없었다니까요혐의를 부인하는 피고인이 자기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서 알리바이를 주장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알리바이는 검사가 유죄를 입증하기 위하여 증명하려는 공소 사실의 존재를 부인하기 위해 피고인 측이 제출하는 증거, 즉 일종의 반대 증거(반증)인 셈이다. 예를 들어 공범자들이 A라는 사람도 공범자로서 현장에 함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