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방추체 Spindle apparatus, 紡錘体
    세포 이하의 구조이며, 유사 분열시 딸세포에 유전적으로 동일한 염색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 유사분열방추(有絲分裂紡錘)라고도 한다. 또한 감수 분열시 친세포의 염색체 절반을 생식 세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방추체를 구성하는 미세소관을 방추사(紡錘絲)라고 한다. 염색체의 이동간에 방추체는...
    도서 위키백과
  • 서턴 Walter S(tanborough) Sutton
    유전에 필요한 단위물질이며, 생식세포의 염색체가 분열하는 감수분열 동안 이들 염색체가 나타내는 행동이 멘델 유전법칙의 물리적 기초가 된다는 가설로 끝맺고 있다. 1903년에 발표한 〈유전에 있어서의 염색체 The Chromosomes in Heredity〉에서는 이 가설을 발전시켜 염색체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감수분열...
    출생 :
    1877, 미국 뉴욕 유티카
    사망 :
    1916. 11. 10, 캔자스 캔자스시티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생식 세포 生殖細胞, reproductive cell
    유성생식이 이루어질 때 생식 세포들은 부모의 염색체들이 골고루 섞여 종의 보존과 다양성이란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감수분열이라는 특별한 핵분열 과정을 거친다. 감수분열을 한 생식 세포는 염색체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줄어든 염색체의 수는 수정을 통해 접합자가 되면 다시 원래 수...
    도서 다음백과
  • 생식기, 난자 구조 몸속에 가장 큰 세포
    큰 것을 2차 난모세포, 작은 것을 1차 극체라고 하는데 어느 세포나 23쌍 46개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2차 난모세포는 염색체의 수가 반으로 주는 감수분열을 하고 생식능력을 갖춘 세포 하나만 난자가 된다. 난자가 되지 않은 세포는 극체가 되어서 퇴화하고 소멸한다. 난자 구조 난자는 인체에서 가장 큰 세포다. 지름...
    참고 :
    사춘기 여성의 난소에는 약 40만 개의 원시난포가 있다. 그러나 여성이 일생 배란하는 개수는 400~500개 정도고, 나머지는 망가져서 폐경기를 맞이할 무렵에는 사라진다.
  • 생식기, 정자 구조 몸속에서 가장 작은 세포
    세포가 분열을 반복해서 1차 정모세포, 이어서 2차 정모세포가 된다. 2차 정모세포는 23쌍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만 염색체의 수를 반으로 줄이는 감수분열로 정자세포가 되고, 정자세포는 모양을 바꿔 정자가 된다. 정조세포에서 정자가 되기까지 약 2개월이 걸린다. 정세관 안에 있는 세르톨리세포는 정자가...
    참고 :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은 난소 정세관의 틈에 있는 레이디히 세포에서 분비된다. 분비된 남성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운반된다.
  • 유성생식의 일반적 특성
    세포적 수준 세포 수준에서 유성생식은 배수체의 핵상이 반감하는 감수분열과 반수체인 성세포가 융합해서 배수체가 되는 2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성세포인 배우자는 결합하여 접합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수배우자인 정자는 운동성이 있는 편모를 가지지만 암배우자인 난세포는 크고 비운동성이다. 그러나 이들 배우자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핵상 배수성, 核相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는, 몸을 구성하는 체세포의 염색체수는 이배체(2n)이고, 성세포 또는 배우자의 염색체수는 반수체(n)이다. 반수체의 염색체는 감수분열 과정에서 생성된다. 수정과정에서 2개의 배우자가 결합해 이배체 염색체를 갖는 단세포인 접합자를 이룬다. 체세포는 유사분열에 의해 분열한다. 세포분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슈트라스부르거 Eduard Adolf Strasburger
    구조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1888년 속씨식물 생식세포의 핵은 원래의 핵에 있던 염색체수의 반만이 새로 형성되는 핵에 남게 되어 그 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감수분열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슈트라스부르거는 수액(樹液)의 상승운동에 관한 후의 연구에서 상승과정은 생리과정이라기보다 물리과정이라는 사실을 증명...
    출생 :
    1844. 2. 1, 와르소(지금의 바르샤바)
    사망 :
    1912. 5. 18, 본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진점균류의 생활사와 분포
    점액은 주로 당단백질인데 피사룸속(Physarum) 당성분은 갈락토오스이다. 유영세포들간의 융합은 유성생식이며 이때부터 배수체 변형체가 시작된다. 감수분열은 포자생성시 포자 안에서 일어난다. 균핵(菌核) 만약 변형체가 갑자기 마르게 되면 생명력이 없는 뿔 같은 모양이 되고, 천천히 마르면 수축되어 밀랍 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균류
  • 양치식물 羊齒植物, pteridophyte
    생활사와 연결지어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고사리는 포자체 시기로 생식할 때가 되면 고사리의 잎 뒷면에 포자가 발생한다. 포자낭에서는 감수분열이 일어난다. 감수분열을 거친 포자가 땅에 떨어지면 식물체로 성장하게 된다. 배우체와 포자체는 독립된 생활을 하나, 포자체가 성장하기 전에는 어린 포자체에 붙어 성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양치식물
  • female pronucleus 자성전핵 난핵, 雌性前核
    감수분열이 끝난 이후 정자에 유래한 웅성전핵과 합일하기까지 다세포동물의 난세포 핵. 난세포 핵은 감수분열이 끝나기 전에는 난핵포라고 하며 크기도 크지만, 감수분열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작아지고 자성전핵으로 불리며 염색체수는 반수가 된다. ( ⇨ germ nucleus)
  • 난세포 시녀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여왕님
    정원세포)가 평생에 걸쳐 계속 분열하지만 여성은 분열능력을 가지고 있는 간세포(난조세포, Oogonia)의 역할이 이미 끝나버린다. 따라서 출생한 이후에는 감수분열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휴면기에 들어간 난모세포(oocyte)가 남을 뿐이다. 난모세포의 활동은 그 후에 사춘기까지 정지된다. 이때 각 난모세포는 주위가 한...
    도서 누구나 세포 | 태그 세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감수분열(meiosis)
감수 분열(생식 세포 분열)
단축감수분열(brachymeiosis)
생식세포의 감수분열
생식세포의 감수분열 구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