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생식기, 난자 구조 몸속에 가장 큰 세포큰 것을 2차 난모세포, 작은 것을 1차 극체라고 하는데 어느 세포나 23쌍 46개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2차 난모세포는 염색체의 수가 반으로 주는 감수분열을 하고 생식능력을 갖춘 세포 하나만 난자가 된다. 난자가 되지 않은 세포는 극체가 되어서 퇴화하고 소멸한다. 난자 구조 난자는 인체에서 가장 큰 세포다. 지름...
- 참고 :
- 사춘기 여성의 난소에는 약 40만 개의 원시난포가 있다. 그러나 여성이 일생 배란하는 개수는 400~500개 정도고, 나머지는 망가져서 폐경기를 맞이할 무렵에는 사라진다.
-
생식기, 정자 구조 몸속에서 가장 작은 세포세포가 분열을 반복해서 1차 정모세포, 이어서 2차 정모세포가 된다. 2차 정모세포는 23쌍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만 염색체의 수를 반으로 줄이는 감수분열로 정자세포가 되고, 정자세포는 모양을 바꿔 정자가 된다. 정조세포에서 정자가 되기까지 약 2개월이 걸린다. 정세관 안에 있는 세르톨리세포는 정자가...
- 참고 :
-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은 난소 정세관의 틈에 있는 레이디히 세포에서 분비된다. 분비된 남성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운반된다.
-
유성생식의 일반적 특성세포적 수준 세포 수준에서 유성생식은 배수체의 핵상이 반감하는 감수분열과 반수체인 성세포가 융합해서 배수체가 되는 2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성세포인 배우자는 결합하여 접합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수배우자인 정자는 운동성이 있는 편모를 가지지만 암배우자인 난세포는 크고 비운동성이다. 그러나 이들 배우자가...
-
-
진점균류의 생활사와 분포점액은 주로 당단백질인데 피사룸속(Physarum) 당성분은 갈락토오스이다. 유영세포들간의 융합은 유성생식이며 이때부터 배수체 변형체가 시작된다. 감수분열은 포자생성시 포자 안에서 일어난다. 균핵(菌核) 만약 변형체가 갑자기 마르게 되면 생명력이 없는 뿔 같은 모양이 되고, 천천히 마르면 수축되어 밀랍 같은...
-
-
female pronucleus 자성전핵 난핵, 雌性前核감수분열이 끝난 이후 정자에 유래한 웅성전핵과 합일하기까지 다세포동물의 난세포 핵. 난세포 핵은 감수분열이 끝나기 전에는 난핵포라고 하며 크기도 크지만, 감수분열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작아지고 자성전핵으로 불리며 염색체수는 반수가 된다. ( ⇨ germ nucle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