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응척 숙명(叔明), 高應陟1549년(명종 4)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고향에서 학문연구에 전심하여 『대학』·『주자혹문(朱子或問)』 등을 읽고 깨달은 바가 많았다. 둘째형이 당나라 한유(韓愈)의 문장을 읽기를 권하였으나, 성현의 글이 있는데 하필이면 한유의 문장을 배울 것이냐고 거절하였다. 여러 해 동안 『대학』을 탐독하였는데 심지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1년(중종 26)
- 사망 :
- 1605년(선조 38)
- 경력 :
- 풍기군수, 회덕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시인
- 대표작 :
- 두곡집, 대학개정장, 도부, 탄시, 차기음, 두곡우음, 유감, 임인제야시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안동(安東)
-
무하옹집 無何翁集藺相如)의 슬기로 구슬을 진(秦)나라에 빼앗기지는 않았는데, 이로 인해 진나라에게 멸망당한 것은 잘못이라고 논평한 것이다. 「선이조론(羨二鳥論)」은 한유(韓愈)가 백한(白鷴: 꿩과에 속한 새)과 백구(白鸜: 구욕새) 같은 새를 임금에게 바쳐 벼슬을 얻으려고 한 행위는 좋지 못하다고 세상 사람들이 말하고 있지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원손(李元孫)
- 창작/발표시기 :
- 175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의집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양현문직절기 양현문충효직절기(楊賢門忠孝直節記), 楊賢門直節記현종조에 복사시중 양상현은 세 아들을 두었는데, 그 중 셋째 아들 관이 가장 뛰어났다. 현종이 양귀비에게 빠져 있자 양 시중은 벼슬을 내놓는다. 동평장사 한유가 딸을 두고 양 공에게 청혼한다. 승상 이임보도 딸을 두고 양 공에게 청혼하지만, 양 공은 이미 한 공의 딸과 약혼하였음을 이유로 거절한다. 이에 이임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원 原개설 사물의 본질과 근원을 추구하는 글이다. ‘원’은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이전에는 보이지 않는다. 당대(唐代) 한유(韓愈)가 처음으로 「원도(原道)」·「원성(原性)」·「원인(原人)」·「원귀(原鬼)」·「원훼(原毁)」 등의 5원을 지음으로써 생긴 문체이다. 내용 및 평가 한유가 근본으로 한 것은 대개 회남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
-
-
-
-
중애일고 中厓逸稿이성은 제례의 큰 절차임을 강조하고 이성 자구에 대한 해석과 이성이 차지하는 비중과 의의를 설명하였다. 「논원도(論原道)」는 당대(唐代)의 학자 한유(韓愈)의 명저 『원도론』을 비평한 것으로, 한유가 널리 사랑하는 것이 인(仁)이 된다고 한 박애위인(博愛爲仁)을 부정하고, 인은 사랑의 원리가 되어도 박애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시경
- 창작/발표시기 :
- 192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조현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
글을 쓴 후 꼭 다시 읽어 봐야 하는 이유는?推, 밀 퇴)’를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敲, 두드릴 고)’로 고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렇게 고민하던 중 우연히 최고의 문장가로 알려져 있던 한유(韓愈)와 만났답니다. 가도의 사정을 들은 한유는 이렇게 말했어요. “내 보기엔 ‘퇴’보다는 ‘고’가 나을 것 같소!” 이때부터 사람들은 글을 고쳐...
- 분야 :
- 쓰기
- 교과단원 :
- 초등 2학년 1학기 〈느낌을 나타내어요〉, 초등 2학년 2학기 〈이야기를 꾸며요〉, 초등 4학년 1학기 〈문장을 알맞게〉, 초등 4학년 1학기 〈짜임새 있는 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