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531년(중종 26) |
사망 | 1605년(선조 38) |
경력 | 풍기군수, 회덕현감 |
유형 | 인물 |
직업 | 학자, 시인 |
대표작 | 두곡집, 대학개정장, 도부, 탄시, 차기음, 두곡우음, 유감, 임인제야시 |
성별 | 남 |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안동(安東) |
요약 조선시대 『임인제야시』, 『두곡집』, 『탄시』, 『차기음』 등을 저술한 학자. 시인.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숙명(叔明), 호는 두곡(杜谷)·취병(翠屛). 아버지는 고몽담(高夢聃)이며, 어머니는 정세형(鄭世亨)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김범(金範)의 문인으로 1549년(명종 4)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고향에서 학문연구에 전심하여 『대학』·『주자혹문(朱子或問)』 등을 읽고 깨달은 바가 많았다.
둘째형이 당나라 한유(韓愈)의 문장을 읽기를 권하였으나, 성현의 글이 있는데 하필이면 한유의 문장을 배울 것이냐고 거절하였다. 여러 해 동안 『대학』을 탐독하였는데 심지어 식사까지 거르며 학문에 열중하여 마을사람들이 미친 사람처럼 여겼다.
156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함흥교수로 부임하였다가, 1563년 사직한 뒤 시골에 묻혀 도학을 연마하였다. 또한, 『대학』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들고, 사상을 시·부·가(歌)·곡(曲)으로 체계화하였다.
1595년 풍기군수에 이어 회덕현감(懷德縣監)·사성 등을 역임하고 다시 낙향하였다. 1605년 경주부윤에 부임하였으나, 곧 사직하였다. 1702년(숙종 28)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두곡집(杜谷集)』·『대학개정장(大學改正章)』이 있으며, 시조작품에는 「도부(道賦)」·「탄시(嘆詩)」·「차기음(差綦吟)」·「두곡우음(杜谷偶吟)」·「유감(有感)」·「임인제야시(壬寅除夜詩)」 등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두곡시조연구(杜谷時調硏究)」(김동욱, 『동방학지』 6, 연세대학교, 196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고응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