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레이노 Eino Leino
    Sanomat〉에서 주로 문학과 연극에 대한 평론을 썼다. 남은 일생을 자유분방하게 보냈으며 단테의 〈신곡 Divina Commedia〉을 비롯한 많은 고전 작품들을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첫 시집인 〈3월의 노래 Maaliskuun lauluja〉(1896)에서는 명랑한 분위기와 자유롭고 리듬감있는 문체를 볼 수 있는데, 동료시인인 J. L...
    출생 :
    1878. 7. 6, 러시아령 핀란드 팔타모
    사망 :
    1926. 1. 10, 핀란드 투술라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장 시벨리우스 Jean Sibelius
    장 시벨리우스는 러시아 통치하의 핀란드에서 핀란드어로 가르치는 최초의 학교였던 핀란드 교원양성학교에서 공부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핀란드의 문학, 특히 그에게 있어 지속적인 영감의 근원이 되었던 핀란드의 신화적인 서사시 〈칼레발라 Kalevala〉를 접하게 되었다. 〈포횰라의 딸 Pohjola's Daughter〉·〈루온...
    출생 :
    1865. 12. 8, 핀란드 헤민린나
    사망 :
    1957. 9. 20, 에르벤페에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토펠리우스 Zacharias Topelius
    그 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5권의 서정시집을 출판했지만, 17~18세기의 스웨덴-핀란드 역사를 낭만적으로 묘사한 〈왕의 반지와 의사 이야기 Fältskärns berättelser〉(1853~67)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말년에 어린이들을 위해 핀란드 민화와 동화에 기초한 이야기를 썼으며, 전작품이 핀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출생 :
    1818. 1. 14, 러시아령 핀란드 카르나도
    사망 :
    1898. 3. 12, 헬싱키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노이아데 noiade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로 전해지고 있다. 노이아데란 말은 어원상 핀우골족이 그들의 전문적 종교인들에게 사용하는 다른 여러 용어들과 관련이 있다. 핀란드어 노이타(noita), 보굴어 나이트(nait), 에스토니아어 노이트(noit)는 언어학상 같은 계열에 속하며, BC 2500년 전 핀 우그릭 공용시대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팔름그렌 Selim Palmgren
    독일에서 페루초 부조니에게 배웠다. 1909년 핀란드 투르쿠에서 지휘자가 되었고, 그곳에서 자신의 오페라 〈Daniel Hjort〉(1910 스웨덴어로 초연, 1929 핀란드어로 공연)를 제작했다. 피아니스트이자 반주자로서 가수인 아내 마이키 파카리넨과 함께 세계 각 지를 순회공연했다. 1923~26년 뉴욕 로체스터의 이스트먼...
    출생 :
    1878. 2. 16, 핀란드 포리
    사망 :
    1951. 12. 13, 헬싱키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핀란드 정교회 Orthodox Church of Finland
    관할구역에 속하게 되었다. 핀란드 정교회 신도의 수는 약 6만 명으로, 루터교가 우세한 핀란드 전체 인구의 1%를 약간 넘는다. 부활절과 축일들의 날짜는 서방교회의 것을 따르고 전례용 언어로 핀란드어와 슬라브어를 사용한다. 3곳에 정교회 수도원이 있고, 쿠오피오에 대주교가, 헬싱키에 주교가 1명씩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솔만 (Per) August (Ferdinand) Sohlman
    성장에 맞서서 그는 스웨덴인들과 그 언어의 문화적·민족적 우수성을 강조했으며, 스웨덴어를 쓰는 핀란드 민족주의 운동 지도자들이 스웨덴어를 무시하고 핀란드어의 발전을 장려한다든지 러시아의 영향을 보존하려는 것은 핀란드 전체에 이롭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이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스웨덴...
    출생 :
    1824. 5. 24, 스웨덴 네르케
    사망 :
    1874. 7. 5, 스톡홀름
    국적 :
    스웨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웨이드-자일스식 로마자 표기법 Wade-Giles romanization
    비전문가들에게도 중국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음역법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노르웨이어·덴마크어·독일어·이탈리아어·스웨덴어·스페인어·터키어·핀란드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중국인들은 중국어로 씌어지지 않은 출판물을 위해 중국 현지의 언어를 옮겨 적는 여러 가지 표기법을 실험했지만, 이런 표기법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범우랄알타이주의 Pan-Turanianism
    즉 이란 북부에 걸친 지역)을 가리키는 페르시아 단어인 튜란에서 유래되었다. 이 운동은 주로 지식인들에게서 유행했으며, 터키어·몽골어·퉁구어·핀란드어·헝가리어 및 우랄알타이어 계통의 다른 언어들이 모두 동일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지금은 거의 폐기된 이론을 근거로 전개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핀란드 민요
    핀란드 민요는 풍요로웠고 폭넓은 형식을 지니고 있었다. 한 행이 강약격 4음절로 이루어진 운율은 핀란드어에 잘 어울렸고, 긴 절을 기억하는 데 적합했다. 대부분의 시는 서사적 연시(連詩)이거나 짧은 노래였다. 서사시들은 신화적 사건이나 영웅의 업적을 중점적으로 노래했다. 세계 창조에 관한 초기 시나 삼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모르도바어 Mordvin language
    우랄어족 가운데 헝가리어·핀란드어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언어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르도바 동부와 그 주변지역에서 쓰는 에르지아어와 모르도바 서부에서 쓰는 모크샤어의 2가지 주요방언군이 있다. 이 두 방언 모두 현재 문자가 있으며, 공식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모르도바어는 마리어와 아주 가까우며, 이 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종합어 綜合語, synthetic language
    라틴어는 굴절어에 해당하며 헝가리어와 핀란드어는 교착어이다. 한 문장 전체가 많은 접사를 포함하여 한 단어(주로 동사인 경우가 많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도의 종합어를 포합어라고 한다. 에스키모어와 많은 아메리카 인디언 언어들이 포합어에 해당한다.→ 교착, 굴절, 분석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