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길란 Gilan
    나누어졌고, 길란 주를 비롯하여 북쪽 끝에 있는 지역은 러시아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런 일들이 계속되면서 민족주의 운동이 크게 일어나기 시작했다. 타브리즈·길란·이스파한 등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이 힘을 합쳐 테헤란을 해방시켰으며, 이에 따라 샤 모하마드 알리의 아들인 아마드 미르자가 통치자 자리에...
    위치 :
    이란 북서부, 카스피 해 남서부 연안 일대
    인구 :
    2,530,696명 (2016 추계)
    면적 :
    14,042㎢
    언어 :
    페르시아어
    대륙 :
    중동
    국가 :
    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몬테코르비노 Giovanni da Montecorvino
    아르메니아와 페르시아에서 선교활동을 시작했고, 1289년 교황 니콜라우스 4세의 사절로 페르시아의 일 칸을 만난 뒤 당시 서아시아의 주요도시였던 타브리즈에서 인도의 마드라스(지금의 첸나이) 지역으로 갔다. 그곳에서 역사상 코로만델 해안으로 알려진 인도 해안지역에 대해 서구인으로서 가장 일찍 주목할 만한...
    출생 :
    1247, 시칠리아 몬테코르비노
    사망 :
    1328, 베이징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케르만 카펫 Kerman carpet
    무늬를 변화무쌍한 만화경처럼 잇따라 제시했다. 여기서 제작한 걸작들 중에는 프랑스 그림을 모방한 것, 이슬람교 사원과 뾰족탑이 있는 건축물, 카샨과 타브리즈에서 만든 것과 비슷한 상징적이고 인물을 주제로 한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어느 정도 프랑스 카펫 무늬에 기초를 둔 최근의 것에서는 대부분 테두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사파위 왕조 Safavid dynasty
    그밖에 불만을 품은 이교도 부족들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아 우즈베크의 투르크멘 연합국인 아크 코윤루(터키어로 '하얀 배'라는 뜻)로부터 타브리즈를 획득했다. 그리고 이스마일은 1501년 7월부터 아제르바이잔의 샤(국왕)로 왕위에 올랐으며 이듬해 5월경에는 이란의 샤가 되었다. 이후 10년 동안 그는 이란의 상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무자파르 알리 Muzaffar 'Ali
    활짝 꽃을 피운 사파위 왕조 시절에 활동했다. 그는 사파위 왕조의 화가인 하이다르 알리의 아들이자, 위대한 화가인 베자드의 친척이었다. 베자드는 타브리즈에서 무자파르 알리를 가르쳤다고 한다. 무자파르 알리는 타마스프 1세의 총애를 받는 화가였고, 카즈윈 유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다른 궁정 세밀화가들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카샨 카펫 Kashan carpet
    평가되는데, 날씬한 메달리온 무늬와 곡선, 꽃이 핀 포도덩굴, 꽃이 꽂힌 꽃병으로 이루어진 가장 세련된 디자인이 새겨진 것도 있다. 카샨은 케르만 및 타브리즈와 더불어 페르시아에서도 보기 힘든 특수한 물건들(인물이 그려진 융단, 상징적인 무늬로 된 융단, 장식이 요란한 기도용 융단 등)을 모으는 수집가들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공예
  • 후사인 1세 Shaikh Hussain Jalayir, フサイン1世 (ジャライル朝)
    출처 필요 후사인 1세이다. 그는 우웨이스 1세의 아들이었고 하산의 동생이었다. 1374년 형인 하산이 살해당하고 나서 타브리즈에서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다. 즉위한 지 얼마 안 되어 우웨이스 1세의 사위인 무자파르 왕조의 샤 마흐무트가 쳐들어왔다. 샤 마흐무트는 타브리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질병 때문에 그...
    도서 위키백과
  • 무하마디 Muhammadi
    태어났다. 아버지는 화가였으며 아들의 스승이기도 했다. 선의 대가인 무하마디(위대한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이렇게 부름)는 사파위 왕조의 수도가 아직 타브리즈에 있던 어린시절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은 1530~80년대에 제작된 것들인데, 이것은 이례적으로 긴 활동기간이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모자파르 왕조 Mozaffarid dynasty
    그 지역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1356년까지 몇 차례의 싸움을 겪은 뒤 모하마드는 이란 남부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통치자가 되었다. 1356년 그는 타브리즈를 공격, 점령했지만 보존하지는 못했다. 1358년에 두 아들 코트브 옷 딘 샤 마흐무드(1358~75 재위)와 잘랄 옷 딘 샤 쇼자(1358~84 재위)는 모하마드를 폐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카라예 융단 Karaje rug
    이란 타브리즈 북동쪽, 소련 국경 바로 남쪽에 있는 카레다흐(카라다흐) 지역의 카라예라는 마을과 그 주변에서 생산된 수직 바닥깔개. 가장 잘 알려진 무늬는 카프카스 융단과 약간 비슷한 3개의 기하학적 메달리언(원형돋을새김 무늬)이다. 중앙의 메달리언은 바깥 윤곽선에 걸쇠가 달려 있고, 8각형 별 모양의 나머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아흐마드 (자라이르 왕조) Ahmad Jalayir, アフマド (ジャライル朝)
    내부의 분쟁으로 점차 권력을 잃고 있었다. 이전부터 후사인 1세에 공개적으로 대립해왔던 아흐마드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1382년, 아흐마드는 타브리즈로 진격하여 후사인 1세를 손쉽게 붙잡아 처형하고 스스로 술탄의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아직 형제인 샤이흐 알리와 바야지트가 남아 있었다. 또한 유력한...
    도서 위키백과
  • 일 한국의 이란 통치
    패배만 맛보았다. 내정면에서 일한국의 군주들이 채용했던 정책 가운데 가장 건설적이었던 것은 아제르바이잔을 거쳐 흑해에 이르는 통상을 일으키고 타브리즈를 국제통상의 중심지로 만든 것이었다. 원래 몽골족은 대개 이슬람을 비롯해 그외 모든 종교집단에 대해 관용적이었다. 제3대 왕인 아흐마드 타크달(1281~8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타브리즈
타브리즈(Tabriz)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