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몬테코르비노

다른 표기 언어 Giovanni da Montecorvino
요약 테이블
출생 1247, 시칠리아 몬테코르비노
사망 1328, 베이징
국적 이탈리아

요약 프란체스코 수도회 소속의 이탈리아인 선교사.

인도와 중국에 가장 먼저 로마 가톨릭 선교회를 세웠고, 베이징[北京]의 첫 대주교가 되었다.

1272년 비잔틴 황제 미카일 8세 팔라이올로구스에 의해 사절로 임명되어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에게 가서 그리스 교회와 로마 교회의 재연합을 협상했다. 1280년경 아르메니아와 페르시아에서 선교활동을 시작했고, 1289년 교황 니콜라우스 4세의 사절로 페르시아의 일 칸을 만난 뒤 당시 서아시아의 주요도시였던 타브리즈에서 인도의 마드라스(지금의 첸나이) 지역으로 갔다. 그곳에서 역사상 코로만델 해안으로 알려진 인도 해안지역에 대해 서구인으로서 가장 일찍 주목할 만한 보고서를 썼으며, 1294년 칸발리크(베이징)에 갔다.

1305년과 1306년에 보낸 편지에서 그는 극동 지역에서의 로마 교회의 선교활동과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인들의 반대, 또 그가 인도에 세운 로마 가톨릭 공동체들에 대해 밝히고 있다.

1307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그를 베이징 대주교와 동양의 총대주교로 임명한 뒤 축성하고, 그를 돕기 위해 주교 7명을 보냈는데 그 가운데 3명만이 여행에서 살아남았다. 프란체스코 수도회에서 주장하는 바로는 1311년 몬테코르비노는 몽골의 3번째 대제인 카이샨 퀼뤽(1307~11 재위)과 그의 어머니에게 세례를 주었다고 한다. 이것이 사실인지는 의심스럽지만 그가 중국 북쪽과 동쪽 지방에서 성공적인 선교활동을 한 것은 분명하다.

중세 베이징에서 중국 사람들을 개종시킨 유럽인은 몬테코르비노뿐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그의 선교활동의 결과도 14세기에 몽골 제국이 몰락하면서 사라지고 말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몬테코르비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