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길란

다른 표기 언어 Gilan
요약 테이블
위치 이란 북서부, 카스피 해 남서부 연안 일대
인구 2,530,696명 (2016 추계)
면적 14,042㎢
언어 페르시아어
대륙 중동
국가 이란

요약 이란 북서부에 있는 주. 북으로는 카스피 해, 북동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과 맞닿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주, 남서쪽으로는 잔잔 주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7세기까지 차례로 아케메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인, 사산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그후 아랍인이 이란을 정복하자 지방 왕조들이 생겨났으며, 이때 독립을 획득하여 1567년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982년에 씌어진 〈세계의 지역들〉이라는 페르시아 지리책에도 기록되어 있다. 경작지 대부분에서는 쌀을 재배하며 그밖에 담배·과일·채소·차 같은 작물도 재배한다. 면적 14,042㎢, 인구 2,530,696(2016 추계).

길란(Gilan)

길란의 위치

ⓒ Nima Farid/wikipedia | CC BY-SA 3.0

개요

북으로는 카스피 해, 북동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과 맞닿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아자르바이잔에샤르키 주, 남서쪽으로는 잔잔 주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남쪽으로는 마르카지·테헤란 주, 동쪽으로는 마잔다란 주가 있다. 10개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7세기까지 차례로 아케메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파르티아인, 사산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그후 아랍인이 이란을 정복하자 지방 왕조들이 생겨났으며, 이때 독립을 획득하여 1567년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982년에 씌어진 〈세계의 지역들(The Regions of the World)〉이라는 페르시아 지리책에도 기록되어 있다.

셀주크 투르크의 3번째 술탄 말리크 샤가 통치하는 동안(1073~92) 셀주크 투르크에 대항하던 시아파 가운데 핵심을 이루는 이스마일파가 바로 이곳에서 만들어져 나중에 아사신파(→ 아사신)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3세기 투르크와 몽골이 쳐들어오자 인구가 별로 없던 이 지역에 카자르 일족을 비롯한 많은 난민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카자르 왕조). 카자르 일족은 16세기초 사파위 왕조가 권력을 잡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그후 1736년 아프가니스탄인에 의해 위기에 몰린 나디르 샤를 돕기도 했다. 이어서 잔드 왕조를 무너뜨리고 카자르 왕조를 세우기에 이르렀다. 18세기 여행가인 올레아리우스는 길란의 어업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19세기에는 이란에서 서로 경쟁하던 러시아와 영국이 경제적 간섭을 일삼았다. 몇 차례 전투에서 러시아에 진 이란은 길란에 대한 러시아의 경제 및 해군업무에 관련된 특혜 승인을 주내용으로 하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1813, 1828). 1907년 영국과 러시아의 세력재편 과정에서 이란은 3부분으로 나누어졌고, 길란 주를 비롯하여 북쪽 끝에 있는 지역은 러시아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런 일들이 계속되면서 민족주의 운동이 크게 일어나기 시작했다. 타브리즈·길란·이스파한 등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이 힘을 합쳐 테헤란을 해방시켰으며, 이에 따라 샤 모하마드 알리의 아들인 아마드 미르자가 통치자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고 얼마되지 않아 이란이 지배하고 있던 카스피 해 연안 대부분은 볼셰비키 군대의 손에 넘어갔다. 분리주의자들이 길란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지만 오래 지속되지는 못했다. 1921년에 맺은 조약에서 소련은 이란에 엔젤리 주변 지역을 돌려주고 카스피 해에서 항해할 수 있는 동등한 권리를 주었다.

자연환경/경제

지형은 넓은 사피드 강 삼각주를 비롯한 해안평야와 엘부르즈 산맥 인접지역으로 나누어진다. 낮은 평야를 따라 모래언덕과 습지가 펼쳐져 있으며, 토양은 기름진 롬(loam)으로 되어 있다. 밀림처럼 우거진 숲 군데군데 코카서스윙넛(호두나무의 일종) 같은 이 지방 특유의 나무들이 자라고 있으며 평야 일부는 자귀나무로 덮여 있다. 해변가에 사는 물새를 비롯하여 야생 멧돼지·스라소니·퓨마·하이에나·자칼·사슴 같은 동물들이 산다. 경작지 대부분에서는 쌀을 재배하며 그밖에 담배·과일·채소·차(논 위쪽의 산기슭에서) 같은 작물도 재배한다.

19세기 러시아인들이 발전시킨 이후 1953년부터 정부가 관할하고 있는 어업도 큰 몫을 하고 있다. 생선(철갑상어·연어·송어 등)은 대개 말리거나 통조림으로 만들어 수출하며, 캐비어는 1970년대 초반에 세계 생산량 가운데 약 1/5을 차지하기도 했다. 현대식 공장들이 몇 개 있어 주로 차와 쌀을 가공하고 있다. 만질에 있는 댐 또한 이 지역이 오늘날 현대식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주도(州都)이자 산업중심지인 라슈트에는 견직공장 및 대마 가공공장이 있으며 볏짚으로 된 깔개도 생산한다. 도로로 카즈빈·테헤란과 그밖의 다른 항구도시와 이어지며 공항도 있다. 소련으로 연결되는 천연가스 송유관이 지나가는 곳이기도 하다. 라슈트 외에 마히잔·랑가루드와 카스피 해에 있는 반다르에안잘리 등이 길란의 주요 경제중심지이다.

지도
길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길란(Gilan)


[Daum백과] 길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