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Copernican principle 코페르니쿠스 원리, 哥白尼原則
    In physical cosmology, the Copernican principle, named after Nicolaus Copernicus, is a working assumption that arises from a modified cosmological extension of Copernicus' heliocentric universe. Under the modified Copernican principle neither the Sun nor the Earth are in a central, specially...
  • 망원경으로 지동설을 증명하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16세기 초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당시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지동설은 17세기에 이르러 몇 명의 뛰어난 과학자들에 의해 증명되고 보강되면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특히 그중에서도 이중 망원경을 발명해 직접 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별들의 움직임을 알아내는 직접 증명의 방법으로...
    출생 :
    1564년
    사망 :
    1642년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두 개의 주된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 《천계통보(The Starry Messenger)》, 《분석(Il Saggiatore)》 등
  • 천문학 天文學, astronomy
    주전원의 중심은 별들에 대한 행성의 관측적인 공전주기로 큰 원을 그리면서 동쪽으로 지구 주위를 움직인다. 16세기경에 폴란드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태양을 우주의 중심에 놓아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복잡성을 대부분 제거했다(코페르니쿠스 체계). 이러한 혁명적인 체계에서 달을 포함한 지구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학문
  • 갈릴레오 갈릴레이 Galileo Galilei
    전해 내려왔던 피사 사탑의 실험은 실제로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년기 및 지동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일찍부터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체계를 믿고 있었지만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를 꺼렸다. 1609년 봄 베네치아에서 망원경 발명의 소식을 접하고 파도바로 돌아와서 3배율...
    출생 :
    1564년 2월 15일, 이탈리아 피사
    사망 :
    1642년 1월 8일, 이탈리아 피렌체 근처 아르체트리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위대한 천문학자 갈릴레오
    따라 보이는 부분의 모양이 달라진다는 명백한 증거였다. 이를 계기로 17세기 초반에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 중심설을 포기하고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을 지지하게 된다. 갈릴레오의 업적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그는 토성의 고리(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는 없었지만)도 발견했다. 또한...
  • 천동설과 지동설 다시 ‘지구는 돈다’
    뮐러(라틴어로 레기오만투스(Regiomantus)라고도 불림)에 의해 지적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에 가장 강하게 대항한 사람은 폴란드의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이 이름은 라틴어 식으로 부른 것이고, 그의 실제 이름은 미콜라이 코페르니크(Mikolaj Kopernik)이다)로, 그는 관측 결과를 천동설에 억지로 끼워 맞추기...
  • 내행성의 위치관계
    진리로 믿는 로마 가톨릭 교회는 지동설을 금기시하여 박해했다.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aeos)의 굳건한 천동설에 대하여 폴란드의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1473~1543)는 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왔다. 당시 정황상 종교재판을 받아 사형당할 것이라는...
  • 요하네스 케플러 Johannes Kepler
    정책으로 케플러는 가난했지만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도움으로 1587년 케플러는 튀빙겐대학교에 다닐 수 있었고, 그곳에서 당시로는 유일하게 코페르니쿠스의 천문체계(지구는 하루에 1회씩 자전하며 1년에 1회씩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체계)를 옹호했던 교수 미하엘 매스트린 밑에서 천문학을 공부할 수...
    출생 :
    1571년 12월 27일, 뷔르템베르크 바일데어슈타트
    사망 :
    1630년 11월 15일, 레겐스부르크 제국자유도시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망원경의 발명이 가져온 것
    철학자, 연금술사이며 엘리자베스 1세의 궁정 점성술사였던 존 디에게 맡겨져 자라게 된다. 존 디의 서재에 있던 수많은 책을 접할 수 있게 된 토마스가 코페르니쿠스의 책을 읽게 된 것은 물론이다. 1576년, 아버지의 책 《불멸의 예언(Prognostication Everlasting)》의 개정판을 출판한 토마스는 태양이 우주의 중심...
  • 갈릴레오가 종교재판을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갈릴레오는 1613년 태양의 흑점에 관한 논문을 출간하면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옹호하며 지구가 다른 천체들과 마찬가지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갈릴레오의 주장은 천동설을 지지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입장과 상충되었고, 이로 인해 1616년 교황은 코페르니쿠스의 체계를 그릇된 것으로 부정...
    도서 누구나 세계사 | 태그 세계사
  • 과학의 역사
    그당시 많은 부(富)를 약속했기 때문에, 신대륙을 발견하기 위해서 수행된 항해는 수학의 발전을 고무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543년에 출판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는 과학혁명의 신호탄이 되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가 아닌 태양을 우주의 중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학문
  • 지동설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가택 연금을 당한 과학자는 누구인가?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는 코페르니쿠스 체계를 널리 알린 사람이다. 1632년에 그는 《두 체계에 관한 대화》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탈리아어로 쓴 이 책은 세 사람이 토론을 벌이는 형식이었다. 한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를 지지했고, 또 한 사람은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지지자였으며, 세 번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2건

코페르니쿠스
코페르니쿠스
코페르니쿠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