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전조례 六典條例
    법전에 있는 내용을 중복해 수록하기도 했다. 수록한 조문은 모두 전거나 제정연대를 밝히지 않았다. 6전의 구성과 관청분포가 이전에는 종친부·의정부·충훈부·의빈부·돈녕부·이조·사헌부·승정원·사간원·상서원·내수사·내시부·액정서, 호전(戶典)에는 호조·선혜청·균역청·양향청·한성부·군자감·광흥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종부시등록 宗簿寺謄錄
    1책, 1755∼62년의 등록 1책,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소관제무 등에 관한 예규와 법전규정 1책, 1830(순조 30)∼64년(고종 1)의 등록 1책, 1906년(광무 10) 1월에서 1907년 11월까지의 등록 2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종부시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며, 종실과 충훈부를 연구하는 데에도 좋은 참고자료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육전조례 六典條例
    징계의 절차, 경비의 수입 · 지출에 관한 법규를 관청마다 상세히 수록하였다. 내용 각 전에 수록된 관청은 다음과 같다. ① 이전 : 종친부 · 의정부 · 충훈부 · 의빈부(儀賓府) · 돈녕부 · 이조〔문선사 · 고훈사(考勳司) · 고공사(考功司)〕 · 사헌부 · 승정원 · 사간원 · 사옹원 · 상서원 · 내수사...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윤사로 尹師路
    봉해졌다. 1456년 좌찬성으로 의금부제조를 겸직해 세조 집권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처벌하고, 영중추원사가 되었다. 1458년 영천부원군에 봉해졌다. 1461년 간경도감도제조로서 세조의 불전 국역사업을 도왔다. 이듬해 충훈부당상이 되었다. 세조연간에 불교를 다시 중흥시키는 일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시호는 충경...
    출생 :
    1423(세종 5)
    사망 :
    1463(세조 9)
    국적 :
    조선, 한국
  • 민치록 원덕(元德), 閔致祿
    낳았다. 1826년(순조 26) 문음(門蔭)으로 장릉참봉(章陵參奉)이 되었고, 그뒤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를 두루 거친 뒤 과천현감·임피현령(臨陂縣令) 등 지방수령으로 나가 활동하였다. 다시 상경하여 조지서별감(造紙署別監)·사옹원주부...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경아전 京衙前
    나장(羅將) 등이 있었는데, 그 중 상급 서리(上級胥吏)인 녹사와 하급 서리인 서리가 주종이었다. 녹사는 주로 의정부·중추부·육조·종친부·돈녕부·충훈부·의빈부(儀賓府)·기로소(耆老所) 등의 상급 관청에 배속되었다. 그리고 사만(仕滿 : 임기 만료) 514일에 품계가 올라 종6품에서 거관(去官 : 다른 관직으로...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표훈원 表勳院
    조선시대의 공신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충훈부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의정부 소속의 기공국으로 바뀌었다. 1899년 새로 포장·외국훈장의 수령, 패용에 관한 업무가 추가된 후 표훈원으로 승격·독립했고 그 기구로 표훈국과 제장국을 두었다. 관원으로 총재·부총재·의정관·참서관·주사·기사·기수 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덕수 사로(師魯), 여숙(汝淑), 李德洙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사로(師魯), 소자(小字)는 여숙(汝淑), 호는 이유당(怡愉堂).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 이언홍(李彦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이소(李沼)이다. 아버지는 이도(李濤)이며, 어머니는 성주 이씨로 이석명(李碩明)의 딸이다. 현감 이준(李浚)에게 입양되었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시대 :
    조선
    출생 :
    1577년(선조 10)
    사망 :
    1645년(인조 23)
    경력 :
    승문원정자, 부수찬, 우부승지, 승지, 좌부승지, 형조참의, 대사간, 강원감사, 이조참의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직재 무옥 사건, 인조반정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근수노 根隨奴
    7명, 3·4품 5명, 6품 4명, 7품 이하 3명으로 규정하였다. 또 ≪경국대전≫에는 중앙의 각 관서에 할당하는 근수노의 정수를 규정하였는데, 종친부 552명, 충훈부 130명, 중추부 93명, 내시부 37명, 의정부 36명, 사헌부 34명, 돈녕부 31명, 병조 22명, 형조 22명, 통례원 22명, 홍문관 21명, 호조 20명, 승정원 18...
    시대 :
    조선
    성격 :
    사회, 신분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윤형 尹泂
    뒤의 논공행상이 불공평하며 공신의 수가 너무 많다고 탄핵한 것이 크게 문제가 되었으나 성혼(成渾)의 변호로 파직되는 데 그쳤다. 그뒤 다시 등용되어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에 발탁되고, 종계변무의 공을 인정받아 광국공신 2등에 무릉부원군(茂陵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해군을 성천...
    출생 :
    1549(명종 4)
    사망 :
    1614(광해군 6)
    국적 :
    조선, 한국
  • 조례 早隷
    나장·제원과 같은 서반아전이 있었는데, 이중 조례는 나장과 함께 칠반천역에 속했으며, 관리의 호위·수행이나 형(刑)의 집행 등을 담당했다. 종친부·충훈부·중추부·의빈부·돈녕부 등 중앙의 27개 관청에 소속되었고, 종친이나 관리들에게 최고 4명까지 배속되었다. 조례는 나장과 비교할 때 부역조건이나 신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경력사 經歷司
    전곡출납에 부정을 저지르는 등 폐단을 자행하여 경력사가 이를 감독했다. 여기에는 3, 4품의 경력 1명과 5, 6품의 도사 1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어떻게 변모했는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충훈부·의금부·개성부 등의 관청에서 문서의 출납을 담당한 경력·도사 등은 이것의 변형으로 보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