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신 功臣
    전근대시대에 창업·평난(平難)·호군(護君)·적사(積仕) 등 정부에 특별한 공훈을 세웠다고 인정된 사람에게 주는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공신책록의 연원은 삼국시대에 이미 녹공이 있었다 하나 자세한 기록이 전하지 않아 내용을 잘 알 수 없다. 문헌상 구체적으로 공신제도가 시행된 것은 고려 개국공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공신 功臣
    공신은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이다. 크게 배향공신과 훈봉공신으로 구분되고, 훈봉공신은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나누어진다. 배향공신은 임금의 위패를 모신 종묘에 신주가 배향된 신하를 가리킨다. 조선시대 배향공신은 모두 94위이다. 훈봉공신은 훈호공신이라도...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공신
    다른 뜻 공신(功臣)은 나라에 공이 있는 자에게 군주가 등수를 내려 매기는 작호이다. 기록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의 개국공신이다. 왕건이 고려를 개국한 후 4인을 1등공신에 봉했고 고려 태조때 삼한통일에 공이 있는 자에게 삼한공신의 작호를 내렸다. 또한 삼한공신이 널리 퍼져 고려시대에 공신은 모두 삼한공신...
    도서 위키백과
  • 허욱 (동의어 공신) 許頊
    조선 중기의 문신.|본관은 양천. 자는 공신, 호는 부훤. 할아버지는 대사헌 항이며, 아버지는 응이다. 1572년(선조 5) 춘당대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1591년 공주목사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 유역을 굳게 지키고 영규·조헌(趙憲) 등과 함께 청주탈환작전에 성공하는 등 호서지역 방위...
    출생 :
    1548(명종 3)
    사망 :
    1618(광해군 10)
    국적 :
    조선, 한국
  • 광국공신 光國功臣
    조선 선조 때 중국에 잘못 기록된 태조 종계를 정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명.|조선은 명나라 〈대명회전 大明會典〉에 태조의 세계가 이인임(李仁任)의 후손으로 잘못 기록된 것을 발견하고, 여러 번 사신을 보내 그 개정을 요구하다가 마침내 선조 때 종계를 개정하는 데 성공하였다. 1590년(선조 2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아메리카 서부 개척의 일등 공신, 모피
    북아메리카의 모피사냥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에 정착하기 시작했을 때도 예외가 아니다. 동부에 정착하기 시작했던 유럽인들의 모피동물 사냥은 얼마 안 되어 동부 지역 모피동물들의 씨를 말리기 시작했다. 그들은 미시시피 너머 서부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모피사냥은 백인들이 서쪽으로 세력을 넓혀간 가장 중요...
  • 광해군 시대가 거부한 폭군 아닌 폭군
    아슬아슬하게 왕위에 오르다 광해군(1575~1641, 재위 1608~23) 부부의 무덤은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낮은 산비탈에 자리 잡고 있다. 왕릉답지 않게 규모가 초라하기 짝이 없고 비석에는 총탄 자국도 군데군데 있어서 보는 이들을 서글프게 한다. 그 언저리에 있는 단종의 왕비 송씨의 화려한 사릉과 너무나 대조가...
    출생 :
    1575년
    사망 :
    1641년
    재위 :
    1608년~1623년
  • 광해군 난세를 이끈 왕, 패륜의 멍에를 지다
    전란 중에 세자에 책봉되다 광해군은 1575년(선조 8)에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혼(琿)이다. 공빈 김씨는 임해군과 광해군 두 아들을 낳고 일찍 세상을 떠났다. 임해군과 광해군은 자식이 없던 의인왕후의 손에서 자랐다. 조정에서는 일찍부터 세자를 세우는 일이 논의되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1575년(선조 8)
    사망 :
    1641년(인조 19)
    본명 :
    이혼(李琿)
    본관 :
    전주(全州)
  • 광해군 조선 제 15대왕, 光海君
    무릇 한 나라가 누란의 위기에 처하면 그 백성들은 현명한 지도자와 충신을 그리워한다. 하지만 역사는 짓궂게도 우매한 암군과 간신을 등장시켜 현군과 충신을 핍박함으로써 격동과 고난의 시대상을 엮어내곤 한다. 선조에서 인조까지 이어지는 조선 중엽의 위기상황은 그렇듯 아이러니컬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 같다...
  • 원종공신 原從功臣
    내용 공신의 대부분이 정공신의 자제 및 사위 또는 그 수종자들에게 녹훈되었다. 본래는 원종공신(元從功臣)이라 했으나 명나라 태조인 주원장(朱元章)의 이름에 들어 있는 원(元)자를 피해 원(原)으로 고쳐 썼다. 공신을 크게 나누면, 왕이 죽은 뒤 종묘에 위패를 모실 때 공로가 큰 신하의 위패를 종묘에 배향하는...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브라이언 마이클 벤디스 마블 변혁의 1등 공신, Brian Michael Bendis
    누구나 그렇겠지만 미국 만화 작가들에게도 ‘가족’이란 특별하다. 슈퍼맨의 창작자인 제리 시겔은 아내인 조안 카터를 ‘로이스 레인’의 모델로 삼았다. 예술학교에 탈락하고 실의에 빠져있던 그랜트 모리슨은 아버지에게 격려 편지와 함께 타자기를 선물 받은 후 희망을 되찾고 스토리 작가의 길을 걸었다. 앨런...
  • 회군공신 무진회군공신, 回軍功臣
    개설 1390년(공양왕 2) 1차 책봉되었고, 조선 개국 후 다시 책봉되었다. 전자를 무진회군공신(戊辰回軍功臣)이라 하고, 후자를 태조조회군공신(太祖朝回軍功臣)이라 한다. 내용 위화도회군 이후 이성계 일파는 정권 장악을 위해 끊임없는 정치적 음모를 꾸미고 반대파에 대한 숙청을 감행해갔다. 이성계 일파에게 있어...
    시대 :
    고려후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9건

공신회맹록
정진개국원종공신녹권/정운경
녹훈도감의궤
공신회맹록
20공신회맹축
공신적장록
위성공신교서
공신적장록
임진란 창의공신 현충탑
유몽인위성공신교서
남송의 공신들
김교적개공신교서
수죽정공신도비
장말손 유품 - 6공신회맹록
정사진무양공신등록
선무원종공신염언상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