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윤사로

다른 표기 언어 尹師路
요약 테이블
출생 1423(세종 5)
사망 1463(세조 9)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과옹·주옹. 아버지는 목사 은(垠)이며, 어머니는 예빈시판관 이수상(李守常)의 딸이다.

1436년(세종 18) 세종의 딸 정현옹주(貞顯翁主)와 결혼하여 영천군에 봉해졌다. 1452년(문종 2) 영천위로 개봉된 뒤 세종 능의 수릉관을 지냈다. 문종이 죽자 다시 문종 능의 수릉관, 빈전도감제조를 지냈다. 이어 숭덕대부에 가자되고, 다시 종1품 광덕대부가 되었다.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을 죽이고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유배, 사사시켜 집권하는 것을 도왔다.

1455년(세조 1)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 1등에 봉해졌다. 1456년 좌찬성으로 의금부제조를 겸직해 세조 집권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처벌하고, 영중추원사가 되었다. 1458년 영천부원군에 봉해졌다. 1461년 간경도감도제조로서 세조의 불전 국역사업을 도왔다. 이듬해 충훈부당상이 되었다. 세조연간에 불교를 다시 중흥시키는 일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시호는 충경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윤사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