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충익부 忠翊府조선시대 원종공신(原從功臣)을 위하여 설치된 관서. 내용 원종공신은 이성계(李成桂)가 즉위하여 잠저(潛邸) 때 시종(侍從)의 공이 있던 문무양반·잡리(雜吏)·천례(賤隷) 등을 광범위하게 논공행상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원종공신 1등은 양반, 2·3등은 잡인(雜人)으로 구분하였으며, 태종 때에도 많은 원종공신...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66년(세조 12)
- 폐지일 :
- 1699년(숙종 25)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충익위 忠翊衛2) 원종공신과 자손을 우대하기 위한 관부(官府)로 충익사(忠翊司)가 설치된 바 있다. 이 관부는 공해전(公廨田)을 받아 수세(收稅)해 운영되었다. 1466년에 충익부(忠翊府)라 개칭되어 종2품 아문으로 승격하고 도사(都事) 2인을 두어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 충익부가 관장하는 일이 없다고 하여 1555년(명종 10) 공신...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군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56년(세조 2)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례 皂隷경비·사령 등 잡역에 종사하였다. 이들은 종친부(宗親府)·의정부·충훈부·중추원·의빈부(儀賓府)·돈녕부(敦寧府)·육조·한성부·사헌부·개성부·충익부(忠翊府)·승정원·장례원(掌隷院)·경연(經筵)·성균관·훈련원·상서원(尙瑞院)·종부시(宗簿寺) 등의 중앙관서와 종친 및 고위관리들에게 배속되어 있었으나...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방 吏房승정원은 육조(六曹)의 체제에 맞추어 6방으로 편성되었다. 그 중 이방은 이조 및 그 속아문(屬衙門 : 소속된 하급관서)의 경우『경국대전』에 따르면 충익부(忠翊府)·내시부(內侍府)·상서원(尙瑞院)·종부시(宗簿寺)·사옹원(司饔院)·내수사(內需司)·액정서(掖庭署)로서 이에 관계된 업무를 담당하였다. 『대전통편...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도사 都事때를 같이하여 두었다가, 1392년에 혁파되고 녹사(錄事)로 대치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종5품 관직으로 중앙의 충훈부(忠勳府)·의빈부(儀賓府)·충익부(忠翊府)·의금부(義禁府)·개성부에 두어 서무를 주관하도록 하였다. 또한 외관으로서 경력과 함께 수령관으로 통칭되면서 관찰사(觀察使)를 보좌하였다...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문종시기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조 선관, 吏曹이속(移屬) · 도태(淘汰)되었다. 그러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종부시 · 상서원 · 내시부 · 충훈부(忠勳府) · 사옹원 · 내수사(內需司) · 충익부(忠翊府)로 되었다. 운영면에서 조(曹)와 속사를 보면, 돌발사 · 중대사일 경우 판서 · 참판 · 참의가 속사를 지휘하면서 처리했다. 그리고 일상사는 속사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속아문 屬衙門都提調) · 제조 · 부제조(副提調) 등의 고위관이 있어 실무에 대한 자문구실을 하였다. 『경국대전』에 등재된 각 조의 속아문은 다음과 같다. ① 이조 : 충익부(忠翊府) · 내시부(內侍府) · 상서원(尙瑞院) · 종부시(宗簿寺) · 사옹원(司饔院) · 내수사(內需司) · 액정서(掖庭署). 뒤에 충익부는 폐지되었고...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