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밀라노 Milano
    이탈리아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으며,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밀라노 대성당부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걸작 〈최후의 만찬〉까지 다양한 볼거리가 밀라노를 더욱 사랑스럽게 만들고 있다. 단순히 관광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패션의 도시를 거닐며 세계적인 명품도 둘러보고...
    도서 ENJOY 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세족례 洗足禮, washing of feet
    초기 교회는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날 최후의 만찬 때 제자들의 발을 씻겨준(요한 13 : 1~15) 그 겸손과 자기를 버린 사랑을 본받기 위해 이 의식을 도입했다. 이 의식은 본래 팔레스타인 가정에서 종이나 주인의 아내가 손님(샌들을 신고 먼지 많은 길을 걸어온)에게 행하는 환대의 행위였다. 사도 바울로는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말라카 그리스도 교회 네덜란드 벽돌로 만든 개신교 교회, Melaka Christ Chu..
    벽돌을 사용했다. 교회 정면에는 3개의 아치형 문이 있고 지붕은 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지붕 중앙에 작은 종탑을 두었다. 교회 내부에는 제단 뒤쪽에 〈최후의 만찬〉 벽화가 있을 뿐 이렇다 할 장식이 없다. 현재 교회 전면에서 볼 수 있는 ‘Christ Church Melaka 1753’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쓰인 것이라고 한다. 참고
    소재지 :
    Christ Church Melaka, Jalan Gereja, Melaka(전화: 06-284-8804)
    가격 :
    무료
    가는 법 :
    더치 광장에서 바로
    이용 시간 :
    09:00~17:00
  • 밀라노 이탈리아 경제와 패션의 중심지, Milano
    밀라노는 패션뿐만 아니라 음식, 오페라,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두오모 성당과 유럽 오페라의 중심인 스칼라 극장, 그리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으로도 유명하다. 한편으로, 밀라노는 쇼핑하지 않아도 쇼핑한 듯한 느낌을 주며, 뉴욕이나 도쿄와는 다른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도시다. 정치적인 색채...
  • 〈수난부터 부활까지의 이야기가 있는 십자가〉 외
    대화를 나누고 있고, 예수의 몸을 둘러싼 사각 판과 예수의 발치에는 예수의 수난과 부활에 관련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예수의 오른쪽 옆구리에는 최후의 만찬 직전 예수가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는 장면, 유다가 예수를 적에게 알려주기 위해 입을 맞추는 장면, 끌려온 예수가 병사들에게 고문당하는 장면이 있다. 화면...
    제작시기 :
    〈수난부터 부활까지의 이야기가 있는 십자가〉 12세기 말~13세기 초 제작〈수난의 여덟 장면이 있는 십자가상〉 1240~1245년경 제작보나벤투라 베를링기에리 〈십자가 처형〉 1255년경 제작
  • 완전수 完全數, perfect number
    있다. 가장 작은 완전수 6을 사용한 것이다. <시스티나 성모>에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르네상스 3대 거장 중 다른 한 명인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에서도 예수를 중심으로 제자들이 양쪽에 6명씩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완전수는 특별한 수로 인식되었다. 영화 <용의자X>에서도 완전수를 보여주는데, 사랑...
  • 조스트 Soest
    신학도서관이 있는 바로크 시청사(1713)와 인접해 있다. 고딕 양식의 비젠키르헤(1331~1430경)에는 유명한 스테인드 글라스 유리창인 〈베스트팔렌 최후의 만찬 Westphalian Last Supper〉(1525)이 있다. 다른 여러 주목할 만한 중세기 교회들이 복원되었다. 조스터뵈르데 지대를 위한 소 시장이 있으며, 경공업도...
    위치 :
    독일 서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북부, 리페 강 남쪽
    인구 :
    47,376명 (2017 추계)
    면적 :
    85.81㎢
    대륙 :
    유럽
    국가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독일
  • 소금 광산 비엘리치카 Wieliczka
    있는 성 킹카 성당은 비엘리치카의 하이라이트인 만큼 놀라움을 감출 수 없다. 30년 동안 2만여 톤의 암염을 치우고 난 자리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비롯해 기독교 성인들의 조각상, 샹들리에까지 소금으로 만들어졌는데, 보고 있어도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다. 특별한 날에는 지하 성당에서...
    소재지 :
    Daniłowicza 10, 32-020 Wieliczka(전화: 012-289-16-11)
    가격 :
    성인: 79zł / 학생: 64zł
    휴관일 :
    1월 1일, 부활 주일, 11월 1일, 12월 24~25일
    사이트 :
    www.wieliczka-saltmine.com
    좌표 :
    위도: 49.9833370(49° 59′ 0.01″ N) / 경도: 20.0559043(20° 3′ 21.26″ E)
    이용 시간 :
    4~10월: 07:30~19:30 / 11~3월: 08:00~17:00
    도서 ENJOY 동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글래스턴베리 Glastonbury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그 뼈들은 대수도원에 이장되었다. 13세기 중엽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초기 그리스도교도인 아리마디아의 성 요셉은 최후의 만찬 때 썼던 술잔 또는 십자가의 피를 담은 작은 병을 갖고 이 지역에 왔다고 한다. '성배 우물'(Chalice Well)은 16세기 초에 순례지가 되었다. 또...
    위치 :
    영국 잉글랜드 서머싯 주
    인구 :
    8,717명 (2015 추계)
    면적 :
    2.98㎢
    언어 :
    영어
    대륙 :
    유럽
    국가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생귄 sanguine
    사용되는 안료는 보통 일종의 산화철이 들어 있는 점토나 분필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최후의 만찬〉의 밑그림을 그릴 때 이 기법을 사용했음)와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안드레아 델 사르토와 같은 15, 16세기의 미술가들이 이 기법을 널리 사용했다. 생귄은 특히 양감이나 분위기의 효과를 나타낼 때 적합하기 때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시스티나 성당 측면 벽화
    기를란다요의 〈사도들을 부르심〉, 그리고 로셀리의 〈산상수훈〉, 그리고 다시 페루지노의 〈베드로에게 열쇠를 건네시는 예수〉, 또 로셀리의 〈최후의 만찬〉으로 이어진다. 모세의 일생이 담긴 남측 벽은 입구 쪽부터 보는 것이 연대기적 순서에 맞다. 우선 페루지노의 〈모세의 여행〉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 산 마르코 광장을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곳, Chiesa di..
    산 마르코 광장의 바다 건너편에 있는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은, 산 마르코 광장을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성당의 전망대 때문에 더욱 유명한 곳이다. 1559~1580년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건축한 것으로, 내부에 있는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참고
    위치 :
    바포레토 2, N번
    소재지 :
    Isola di S.Giorgio Maggiore(전화: 041-522-7827)
    요금 :
    종탑: €5
    좌표 :
    위도: 45.4294190(45° 25′ 45.91″ N) / 경도: 12.3432040(12° 20′ 35.53″ E)
    이용 시간 :
    09:30~12:30
    도서 ENJOY 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4건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석고에 템페라와 유채, 1495~98년경, 460×880cm, 이탈리아 밀라노 성 마리아 성당
〈최후의 만찬〉, 캔버스에 유채, 1955, 167×268cm, 미국 워싱턴 D.C. 국립 미술관
다 빈치, 〈최후의 만찬〉 중 '스푸마토 기법'으로 묘사된 부분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1495~1498
소금 광산 비엘리치카(Wieliczka)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The Last Supper)
최후의 만찬(The Last Supper)
〈최후의 만찬〉을 볼 수 있는 사무실 입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다 빈치, 〈최후의 만찬〉(1497)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