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윤복, 〈미인도〉 진사와 등황조선 후기의 대표 화가 신윤복(申潤福, 1758~?)과 김홍도(金弘道, 1745~?)에 얽힌 미스터리를 다룬 이정명의 소설 『바람의 화원』을 영상으로 옮긴 드라마가 방영되고 영화도 만들어졌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얀 베르메르의 그림을 다룬 영화 〈진주 귀고리 소녀〉와 장인의 대결이 흥미로웠던 드라마 〈허준〉을 섞...
-
미인도 美人圖현부도(賢婦圖), 궁녀도(宮女圖), 귀비도(貴妃圖), 열녀도(烈女圖), 창녀도(娼女圖) 등 초상화의 성격을 띠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내용 동양화에 있어서 미인도는 중국 한나라 때 유향(劉向)이 쓴 『열녀전(烈女傳)』 을 후세 사람들이 그림으로 그린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현재 작품으로는 한나라 때의...
- 시대 :
- 조선
- 성격 :
- 인물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미인도 美人圖환상적인 천경자 특유의 여인상을 완성시켰다. 천경자의 작품은 그녀에 대한 대중적 인기를 증명하듯 몇 차례 위작사건에 휘말렸다. 그 중에 이 「미인도」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이라는 것 때문에 더욱 화제가 되었는데, 작가가 위작임을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정되지 않았던 특이한 사례였다. 사건의 발단은...
- 시대 :
- 현대
- 성격 :
- 동양화, 인물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29㎝, 가로 26㎝
- 권수/책수 :
- 1점
- 재질 :
- 종이 바탕에 채색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국립현대미술관
-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제작 배경 미인도는 인물화의 한 분야로 우리나라나 중국에서 오래전부터 그려졌다. 흔히 사녀화(仕女畵)라는 명칭으로 궁중의 여인상을 그리는 전통이 있었다. 고려시대의 인물화라고 전하는 작품으로부터, 윤두서 전칭작, 김홍도의 사녀화가 실물로 전하고, 문헌상으로는 상당수가 있다. 신윤복(申潤福, 1758경~1813...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미인도 美人圖구성 및 형식 「미인도」의 표제는 “悲劇小說 美人圖(비극소설 미인도)”이고 내제는 ‘슲은 소설 미인도(美人圖)’이며, 1913년 9월 회동서관에서 발행되었다. 활자본과 필사본이 존재하고 있는데, 활자본은 1913년 초판된 이래로 1924년까지 8판이 인쇄되었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필사본은 총 7종으로 회동서관...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
-
-
빙도 미인도(美人島), 氷島행정구역은 천북면에 속하지만, 실질적인 생활권은 오천면이다. 면적은 0.75㎢이고, 해안선 길이는 4㎞이다. 백제 때 도미의 부인이 배를 타고 왔다고 하여 미인도라 불렀는데 일제강점기에 빙도로 고쳤다. 작은 섬이지만 금광이 개발되기도 했다. 최고지점은 89m이고, 대체로 낮은 구릉성 지형을 이루고 있다. 섬의...
- 성격 :
- 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0.75㎢, 해안선 길이 4㎞
- 소재지 :
-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낙동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미인도」 美人圖[형태 및 구성] 「미인도(美人圖)」의 화폭 크기는 세로 129.5㎝, 가로 52.2㎝이며, 비단에 채색을 올렸다. 그림 속 여인은 오른손으로 치맛자락을 잡고 왼손으로 곱게 땋아 올린 머리를 만지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 산호 비녀로 쪽을 지었으며, 운두문(雲頭文)으로 장식된 연두색 저고리와 옅은 하늘색 치마를...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