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물숭배 呪物崇拜
    저급한 종교문화의 행태라는 관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인간이 우주만물과 원초적으로 교감하는, 또는 그러한 교감을 느끼는 힘의 발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교감적 숭배의 대상에는 동식물, 금석류(金石類), 주문(呪文), 주부(呪符), 주약(呪藥), 주구(呪具) 우상과 상징물 등 주술적인 목적으로 몸에 지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고려율령 高麗律令
    그러나 율령체제를 도입한 것은 이미 삼국시대부터의 일로서, 당률을 참작하여 고려사회의 실정에 맞는 율령을 편찬하고 수정작업을 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실제 71조 중 옥관령은 영(令)으로, 당률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고려사〉에 율령편찬 기록이 보이며, 삽면형(鈒面刑:얼굴에 문신을 뜨는 형벌)과 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형법
  • 증인 證人, witness
    적격에 관해서는 의견이 대립되나 공범자인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을 부인하고 예외적으로 공범자 아닌 공동피고인에 대해서만 증인적격을 인정하는 입장이 타당하다. 증인은 형사소송법상 3가지 의무를 지는데, 출석의무·선서의무·증언의무가 그것이다. 출석의 의무를 위반한 때에는 구인이나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박지기법 剝地技法
    약 1∼3세기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상호 영향 관계를 말하기는 애매하다. 그보다는 오히려 분청사기의 백토 분장의 기법상 자연히 생겨났으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12세기에 발생한 상감 기법(象嵌技法)이 조선시대로 이어지며 특히 15세기 전반에는 면상감 기법(面象嵌技法)으로 발전하여 분청사기의 가장...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시루떡
    시루에 찌던 것이 지에밥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당시에 생산되던 곡물은 주로 기장·피·조·보리·밀과 같은 잡곡이었다. 따라서 떡이었으리라고 생각함이 타당하다. 당시에는 단순히 곡물을 가루 내어 쪘을 것이다. 그 뒤로 기술이 더해지고 발달되면서 곡류뿐 아니라 각종 과실과 식물들을 넣어서 다양한 종류의...
    성격 :
    음식, 떡
    유형 :
    물품
    용도 :
    의례용, 절식용
    관련 의례 :
    제사, 잔치
    분야 :
    생활/식생활
  • 하경룡장판 河慶龍藏板
    하경룡이 직접 판각한 것이 아니라 1870년에 전라 감영의 책판을 임대 · 소장했다가 자신의 이름을 넣어 출판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하경룡장판은 칠서방에서 간행한 목판본 중 하경룡이 칠서방을 운영했던 19세기 후반(1870년)에 만들어진 판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좁혀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式, mood
    삼단논법은 3개의 명제로 구성되며 각각의 명제는 4개의 형식을 취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64개의 삼단논법 유형(식)이 있다. 비록 전통적으로는 19개만이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사실상 64개의 가능한 식 중 24개의 식이 타당하다. 식들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서 기억하기 좋은 여러 가지 용어가 사용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삼본문답 三本問答
    때, 단행본으로 존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삼본문답은 하나의 고유한 저술이라기보다는 영세 예비자들을 위한 규정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1887년의 한국 교회 지도서(『한국교회 관례집』)에 의하면 영세·고해·성체 등 세 문답만이 영세조건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삼본...
    시대 :
    조선
    성격 :
    천주교서, 천주교문답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책임연령 責任年齡
    채택하여 소년이 법정형 장기 2년 이상의 유기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때는 그 법정형기의 범위 내에서 장기와 단기를 정하여 선고할 것으로 했다. 여기서 소년은 범행일시를 기준으로 할 것인가, 판결선고일시를 기준으로 할 것인가가 문제되는데, 형의 집행과 관련되는 것이므로 판결선고일을 기준으로 함이 타당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형법
  • 설총 총지(聰智), 薛聰
    풍요 風謠>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설총이 향찰(이두)을 창안한 것이 아니라 향찰을 집대성,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설총은 향찰의 권위자로 봄이 타당하다. 설총은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함으로써 한문을 국어화하고, 유학 또는 한학의 연구를 쉽게 그리고 빨리 발전시키는 데 공이 컸다. 또 관직에...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655년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용언 用言
    보조어간으로 다루어지던 피동·사동의 '-이-', '-히-', '-리-', '-기-' 등은 그 분포 면에서 선어말어미와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파생접미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선어말어미가 여러 개 같이 쓰일 때는 그 배열에 일정한 순서가 있다. '(보)-시-었-겠-사옵-더-이(다)'에서 보듯이 존경법이 가장 앞서고 그 다음에 시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공진흑원단 拱辰黑元丹
    녹여줌)하도록 하여 군약을 도와 진양을 보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토화작용(土化作用)을 돕는 제조와 경락(經絡)을 열어주고 제규(諸竅)를 통하도록 하는 작용을 가진 사향을 첨가한다. 이 처방은 이증(裡症)으로 열이 많은 사람에게 복용하는 것이 좋은데, 열은 실열(實熱)이 아닌 허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