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주시 교육과 문화있다. 주요민속놀이로는 7월 백중의 마을놀이인 호미씻이놀이와 어린이들의 놀이인 기와밟기놀이, 고니놀이 등이 있다. 유명한 설화로서 〈곰나루전설〉과 〈인절미설화〉가 이 지방의 역사성을 대변해주고 있으며, 노동요와 어희요가 대표적인 구전민요이다. 공주는 충청남도에서 천주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곳이며...
-
송편 설에는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얻어먹는다라는 우리나라 옛 속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가위는 곡식과 과일이 풍성한 때이므로 여러 가지 시절음식이 있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송편,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를 시절음식으로 꼽았는데, 송편에 꿀송편, 밤송편, 깨송편, 콩송편, 대추송편 따위가 있지요. 또 경상도 지방이나 충청도의 어느 산에서는 모시잎을...
-
-
진리 명나라 말기의 거리 풍경을 재현좋은 찻집과 바가 모여 있다. 뉘엿뉘엿 해가 지면 골목을 따라 홍등을 환하게 밝혀 더욱 운치 있다. [Travel TIP] 진리 분식 Best 5 1. 싼다파오(三大炮) : 인절미 맛의 찹쌀떡. 세 개를 담아 주는데 하나씩 담을 때마다 대포 터지는 소리를 내서 ‘3개의 대포’란 뜻의 이름이 붙었다. 2. 페이창펀(肥肠粉) : 일명 곱창...
- 위치 :
- 成都市 武侯区 武侯祠大街 231号
- 참고 :
- (028)8553-8914
- 가는 법 :
- 지하철 3호선 가오성차오(高升桥) 역 D 출구 도보 10분.
-
-
-
-
고물씻어 껍질을 벗겨 볶아서 소금을 넣고 거칠게 빻아 만든다. 콩고물은 콩을 씻어 물기를 뺀 뒤 볶아서 생강·마늘·소금과 함께 빻아 체로 친다. 고운 가루는 인절미에 쓰고 거친 가루는 시루떡의 고물에 사용한다. 녹두 고물은 거피 팥고물 만드는 법과 같다. 대추·밤·석이 고물은 가늘게 채썰어 사용한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웃기(고명)는 교태스럽게 올려라?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은 1670년 무렵 안동 장 씨가 한글로 쓴 요리서입니다. 이 책은 국수·만두 따위의 주식류, 국·찜·회·김치·구이 같은 부식류, 인절미·강정 같은 떡과 한과류, 오가피주·황금주·소곡주 같은 술 종류가 다양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 책이 나오기 이전의 음식 관련 책은 다 남성이 쓴 것...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두번째묶음) 절편풍요를 비는 뜻에서, 집안에서 팥시루떡을 쪄서 고사를 지냈다. 요즘에도 이사를 하면 시루떡을 하여 고사를 지내고 이웃집에 돌리며 정을 나누곤 한다. 인절미 찹쌀이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절구에 찧어 적당한 크기로 잘라 고물을 묻힌 떡이다. 묻혀내는 고물에 따라 맛의 차이가 있는데 보통 볶아놓은 콩을 여러...
- 발행일 :
- 2002.6.15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90원
- 디자인 :
- 절편
- 우표번호 :
- 2222
- 인면 :
- 37×27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4종연쇄)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40×30
- 디자이너 :
- 김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두번째묶음) 인절미한국의 전통음식 시리즈 두 번째 묶음으로 우리의 떡을 소개한다. 떡이란, 곡식가루를 반죽하여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으로, 삼국 시대 이전부터 있어왔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떡은 농경 문화의 정착과 그 역사를 함께 하는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 돌이나, 혼례, 회갑, 제례 등 중요한 행사나 명절 때면 꼭 상...
- 발행일 :
- 2002.6.15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4
- 액면가격 :
- 190원
- 디자인 :
- 인절미
- 우표번호 :
- 2224
- 인면 :
- 37×27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4종연쇄)
- 용지 :
- 그라비어 원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6도
- 우표크기 :
- 40×30
- 디자이너 :
- 김현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