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안국 후발해, 定安國
    받고 멸망한 뒤 그 유민들은 거란군이 되돌아가자 곧 각 지에서 조직적인 항거를 시작했는데, 그중 가장 체계적으로 움직이며 구심점이 되었던 세력은 압록강 일대를 거점으로 한 대씨정권(大氏政權)이었다. 그들은 광복운동의 거점으로 압록강 중류에서 하류에 걸치는 압록부 일대를 선정했다. 압록부의 지세는 북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발해
  • 기습과 매복으로 거란의 허를 찌르다, 귀주대첩 龜州大捷
    대장군 강민첨(姜民瞻)을 부관격인 부원수로 임명하고, 20만 8,000명의 군사를 청천강 남쪽의 영주(寧州, 평남 안주) 일대에 배치하였다. 1018년 12월, 압록강을 넘은 거란군은 흥화진의 삼교천(三橋川)에서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과 첫 전투를 벌였다. 삼교천은 흥화진성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이었다. 당시...
    시대 :
    1019년
  • 정안국 定安國
    거란의 지배권 밖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발해 멸망 직후부터 각지에서 일어났던 발해 유민의 저항과 활동은 더 격렬해졌다. 그 가운데 압록강 유역은 지세가 험난하고 압록강을 통한 외부와의 교통과 물자공급이 용이하여 부흥운동의 유력한 구심점이 되었다. 초기에 이 지역의 발해 유민 집단은 발해 왕족인 대씨...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지명
    분야 :
    역사/고대사
  • 용천평야 龍川平野
    개설 이 일대는 압록강과 삼교천(三橋川)에 의하여 이루어진 복합삼각주 지대로, 용천(龍川)군ㆍ신의주시ㆍ의주군에 걸쳐 있는 평탄하고 비옥한 평야이다. 자연환경 압록강은 토사의 퇴적이 심하고 수로의 변경이 심하여 강안에 넓은 범람원이 발달하며, 강구에는 신우평(信偶坪)ㆍ황초평(黃草坪)ㆍ유초도(柳草島)ㆍ동유...
    성격 :
    평야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450㎢
    소재지 :
    평안북도 용천군, 평안북도 신의주시, 평안북도 염주군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거란의 침입
    침입에 대비하여 30만의 광군(光軍)을 조직했고, 광종(光宗)은 서북지역에 여러 성을 쌓아 거란에 대한 경계를 엄하게 했다. 또한 이 무렵 발해의 유민들은 압록강 중류지역에 정안국(定安國)을 세우고 송(宋)·고려 등과 통교하면서 거란을 적대시했고, 송과 연합하여 거란을 협공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신도 薪島
    내용 용암포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17㎞ 떨어져있으며, 압록강 하구로부터 약 1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 6.77㎢, 해안선길이 15㎞이다. 일명 장자도(獐子島)라고도 한다. 압록강은 토사의 운반과 퇴적이 왕성하여 하구부근에 많은 하중도(河中島)를 형성하고 있다. 신도는 과거에 육지가 침수되어 이루어진...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6.77㎢, 해안선길이 15㎞
    소재지 :
    평안북도 용천군 신도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강동육주 江東六州
    龜州 : 지금의 龜城)·곽주(郭州 : 지금의 郭山) 등을 말한다. 내용 국초 고려의 영토는 서북 방면으로는 청천강과 박천강(博川江)선에 머물고 있어 그 북쪽 압록강 유역까지는 여진족이 잡거하고 있었다. 이처럼 고려의 북쪽 축성이 청천강·박천강 유역에 집중되었던 것은 북방민족의 침입으로부터 국경선을 수호...
    시대 :
    고려
    성격 :
    행정구역, 행정지명
    유형 :
    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혜산시 惠山市
    개설 혜산시의 동쪽은 운흥군, 서쪽은 삼수군, 남쪽은 갑산군, 북쪽은 보천군 및 압록강과 접해 있다. 동경 126°07′∼126°24′, 북위 37°50′∼38°05′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277.0㎢, 인구는 19만 2,680명(2008년 기준)이다. 명칭 유래 이 지방에는 혜산구자(惠山口子)라는 고을이 있었는데, 조선시대에 북방...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북한/정치·법제
  • 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압록강 유역의 여러 세력들 고구려 발상지인 압록강 중류 지역은 요동 지역이나 동해안으로 통하며, 남으로 대동강 유역의 평야지대, 북으로 송화강 유역의 평원지대로도 통할 수 있는 교통로상의 중요지점이다. 지리적 위치의 이점이 있었기에 고구려가 발전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먼저 고구려 최초의 발상지인...
  • 백두산정계비 건립 조선과 청나라의 경계를 확정하다
    일으키다. 1712년 청나라 강희제가 조선에 국경 조사단 파견을 통보하다. 설명 숙종 당시 청나라가 백두산 일대의 국경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나선 것은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에서 양국 백성들 사이에 분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1644년 명나라의 멸망으로 청나라는 수도를 만주 심양에서 연경(燕京, 북경)으로...
    시대 :
    1712년
  • 중강군 中江郡
    개설 동쪽으로 량강도(兩江道) 김형직군, 남쪽으로 자성군과 맞닿아 있는 중강군은 서쪽과 북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해 있다. 동경 126°37′∼127°08′, 북위 41°31′∼41°49′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668.7㎢, 인구는 4만 1,000여 명(2008년 기준)이다. 명칭 유래 지명은 1952년에 자강도 자성군...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한강 漢江
    중상류지방은 높은 산지로 되어 있어서 연강수량이 1,200~1,300㎜에 이르는 다우지이기 때문에 유량이 풍부하다. 유역면적은 2만 6,018㎢로 한반도에서 압록강·두만강 다음으로 넓고, 유로연장은 497.25㎢로 압록강·두만강·낙동강 다음으로 길다. 한강의 본류는 경기도 양평군의 양수리에서 비슷한 크기의 남한강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건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압록강 유람선 부두
압록강 철교 전경
압록강(鸭绿江)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철교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압록강 뗏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