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면 花麵
    건져 식힌 다음, 돌돌 말아서 가늘게 채썰어 오미자 즙에 넣고 잣을 띄운다. 화면·창면·수면 등은 봄철의 기호품이자 별미음식이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상용되는 요리는 아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삼짇날 후원에 나가서 번철을 걸고 진달래꽃으로 찹쌀전병을 부치고 화면을 만들어 잔치를 하며 즐겼다고 한다. 참고문헌
    성격 :
    음식, 국수, 음료
    유형 :
    물품
    재질 :
    오미자, 녹두가루, 꿀, 잣, 진달래꽃
    용도 :
    별미, 절식
    관련 의례 :
    중삼 세시풍속
    분야 :
    생활/식생활
  • 생선자반
    싸서 무거운 것으로 눌러 하룻밤 두었다가 채반에 널어 뒤집어가며 말린다. 4. 자반으로 만든 생선은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석쇠에 놓고 불에 직접 굽거나 번철에 구워 먹는다. 비교적 간단한 양념으로도 조리해 먹을 수 있으며, 양념 없이 그대로 이용하기도 한다. 꽁치 경북의 구룡포와 강원도의 속초에서는 더운...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연포탕 낙지가 없는 두부장국
    뜻이다. 조선 후기 문헌인 《고사십이집》에 지금의 낙지탕과 다른 본래의 연포탕에 대한 설명이 보이는데, 가늘게 자른 두부를 꼬챙이에 꿰어 프라이팬인 번철에다 지진 후 닭 국물을 넣고 끓인다고 했다. 홍만선의 《산림경제》에도 연포탕 끓이는 법이 적혀 있다. 두부를 잘게 썰어 꼬치에 서너 개를 꽂아 새우젓과...
    분류 :
    탕류
  • 볶음
    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의 양 볶는 법,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장볶이, 『시의전서(是議全書)』의 고추장볶이 등과 같이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강한 불로 단시간에 조리하는 방법도 있다. 『음식디미방』의 양 볶는 법은 “솥뚜껑을 불 위에 놓고 오래 달궈서 기름을 둘러 양을 넣고...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식생활
  • 우메기
    법은 다음과 같다. 찹쌀가루 10컵에 멥쌀가루 1컵을 섞고 탁주 1컵, 설탕 2분의 1컵을 넣어 말랑하게 반죽하여 지름 5㎝ 정도로 둥글게 빚어서 기름을 두른 번철에 노릇하게 지져낸다. 이것에 설탕 1컵, 물엿 2분의 1컵, 물 1컵을 붓고 끓여 식힌 조청에 재웠다가 먹는다. 지질 때 떡 위에 대추를 잘게 썰어 박기도 한다...
    성격 :
    음식, 향토음식, 떡
    유형 :
    물품
    재질 :
    찹쌀가루, 멥쌀가루, 막걸리, 대추
    용도 :
    간식용
    분야 :
    생활/식생활
  • 적기 炙器
    설명 산릉제례의 사시속절제四時俗節祭 때 적(炙)이나 병(餠)을 올려놓는 직사각형의 제기이다. 적(炙)은 어육∙채소 따위를 양념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번철에 지진 음식이다. 적기(炙器)는 이러한 적(炙)을 담는 데 사용되는 그릇이다. 일반적으로 대접과 비슷한 형태이며, 적을 물리는 데 사용하는 철적기(徹炙...
    분류 :
    유물 > 제구
    크기 :
    높이: 9.6cm, 세로: 25.7cm, 가로: 18.0cm
    재질 :
    놋쇠
  • 노티
    한다. 찹쌀가루에 엿기름을 섞어 물을 뿌린 다음 백설기 만들듯이 버무려 덩어리가 없게 비벼 찐다. 삭힌 반죽을 동글납작하게 빚어서 참기름을 두른 번철에 두 면이 노릇노릇하도록 지진다. 설탕을 넣지 않아도 달지만, 완전히 식힌 다음 설탕이나 꿀을 뿌려 단지에 넣었다가 며칠 지나서 노긋노긋해지면 먹는다. 불려...
    도서 위키백과
  • 누름적
    음식 정보 누름적(--炙) 또는 황적(黃炙)은 고기나 도라지 등을 꼬챙이에 꿴 뒤 달걀물을 씌워 번철이나 프라이팬 등에 지진 음식이다.웹 인용 가지누름적: 데친 가지를 잘게 쪼개서 달걀물을 씌워 지진 누름적이다. 당근누름적: 길쭉하게 썬 당근을 간장, 참기름, 후춧가루에 버무린 뒤, 꼬챙이에 꿰어 밀가루를 묻히고...
    도서 위키백과
  • 적 (음식) Jeok
    궁중요리에서는 제상에 오르는 다섯 가지 적인 소적, 육적, 어적, 봉적, 채소적을 오적(五炙)이라 불렀다. 고기나 도라지 등을 꼬챙이에 꿴 후 달걀물을 씌워 번철이나 프라이팬 등에 지진 적은 누름적이라 부르며, 쇠고기 등 고기와 다른 재료를 길길쭉길쭉하게 썰어 양념한 뒤 대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은 산적이라...
    도서 위키백과
  • 옥수수 토르티야 Corn tortilla
    고소한 맛이 난다. 옥수수 토르티야는 옥수수를 석회수에 담갔다가 분쇄해서 마사라는 반죽을 만든다. 이를 납작하게 눌러서, 뜨겁게 달군 번철에 데워서 만든다. (번철은 원래 점토를 평평하게 만든 것으로 이용했으나, 현대에는 얇은 금속제를 사용한다.) 밀가루 토르티야도 마사 대신 밀가루 반죽을 사용하는 거 외...
    도서 위키백과
  • 빵 목록 List of breads, 麵包列表
    찾아볼 수 있다. 감자는 갈린 감자가 쓰인다. 감자 팬케이크 팬케이크 반죽에 감자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 특징이며 만들어진 반죽은 얇게 펴진 뒤 번철이나 프라이팬에 구워진다. 양파가 들어가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감자빵 발효된 빵 많은 나라에서 볼 수 있으며 감자가 들어간다는 것이 특징이다. 발효 과정...
    도서 위키백과
  • 타바 (도구) Tava
    타바 또는 사지는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및 캅카스에 이르는 지역에서 쓰는 프라이팬이나 번철과 비슷한 조리 도구이다. 탄소강, 알루미늄, 주철 등으로 만들어, 납작빵 등을 굽거나 음식을 지지는 데 사용한다. 인도아리아어권 등에서는 주로 "타바(tava)"라 불린다. 어원은 페르시아어 "타베"이다. 터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번철
번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