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스티야 Castilla
    결국 카스티야가 레온에 대한 정치적 지배권을 추구한 결과 이슬람교에 대항하는 그리스도교 세력의 전선이 약화되었다. 1230년 카스티야의 왕 페르난도 3세레온의 왕위를 계승하여 마침내 두 왕국은 카스티야의 주도하에 통일되었으며, 그보다 이른 1085년에 스페인 이슬람교 톨레도 왕국도 카스티야에 합병되어...
    위치 :
    스페인 중앙부, 메세타 고원 지역
    대륙 :
    유럽
    국가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알폰소 7세 Alfonso VII of León and Castile, アルフォンソ7世 ..
    결코 잠잠하지는 않았다. 알폰소는 포르투갈이 독립왕국(1140년)이 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었다. 또한 그는 스페인의 풍습에 따른 유언을 남겨 카스티야를 큰아들 산초 3세에게, 레온을 페르난도 2세에게 나누어주었다. 이러한 조치는 중세 스페인에서 통일 제국의 개념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전임후임레온의 군주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산초 3세 (카스티야) Sancho III of Castile, サンチョ3世..
    Barcelona)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가르시아 6세의 딸 블랑카 가르세스(Blanca Garcés de Pamplona)와 결혼해 알폰소 8세를 낳았다. 산초 3세에게는 카스티야와 톨레도 왕국을, 페르난도 2세에게는 레온 왕국을 그의 아버지 알폰소 7세에 의해 상속받았다. 카스티야 왕국 알폰소 7세 톨레도 왕국 전임후임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페르난도 1세 Fernando I
    확립했다. 그는 1035년 세상을 떠나면서 나바라를 맏아들(가르시아 3세)에게 물려주고, 카스티야는 둘째 아들 페르난도에게 물려주었다. 페르난도는 레온 황제 베르무도 3세의 누이이자 상속녀인 산차와 결혼했다. 페르난도의 카스티야 군대는 1037년 타마론에서 베르무도를 죽였으며, 페르난도는 1039년에 스스로 레온...
    출생 :
    1016/18
    사망 :
    1065. 12. 27, 레온 왕국 레온
    국적 :
    카스티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게르마노스 1세 Saint Germanus I
    포위(626)와 아랍 이슬람교도들의 침략(718)으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을 구원한 것에 대해 성모 마리아에게 감사하는 예배의식을 제정했다. 게르마노스의 저작들은 레온 3세가 모두 불에 태우도록 명령했기 때문에 극히 일부만이 남아 있다. 727년에 시작된 이사우리아인(人) 황제 레온 3세의 성상파괴운동에 대해 앞장서...
    출생 :
    콘스탄티노플, 634경
    사망 :
    732경, 아테네 근처 플라토니움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Louis the Blind, ルイ3世 (プロヴァン..
    카를 3세는 그를 양자로 삼고 상속권과 왕의 지위를 인정, 보호해 주었다. 또한 그에게 비엔나 백작의 작위도 내려주었다. 그러나 887년 11월 카를이 조카 아르눌프의 쿠데타로 실각하고, 888년 1월 카를이 죽자, 다시 카를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케른텐의 아르눌프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아르눌프는 그가 아르눌프의...
    도서 위키백과
  • 루도비코 3세 곤차가 Ludovico III Gonzaga, Marquis ..
    공공사업을 증가시키는 것이 그의 관심이였다. 도시에 초청한 유명한 인문주의자들 중에는 성 세바스티노 교회와 성 안드레아 교회를 도안한 피렌체 출신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있었다. 또한 1460년에 루도비코 3세는 안드레아 만테냐를 곤차가 가문의 궁정 예술가로 임명하기도 했다. 루도비코 3세는 필라...
    도서 위키백과
  • 미하일 3세 Michael III, ミカエル3世
    미하일 3세 메시소스는 842년부터 867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메시소스는 '술주정뱅이'라는 뜻이다. 어린 나이에 제위에 올라 그는 재위기간 중 여러 명의 섭정과 권력자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말년에는 술독에 빠져 주정뱅이 황제라는 오명까지 들었지만 그의 치세 동안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을 상대로 승리...
    도서 위키백과
  • 비잔티움 제국의 성상파괴운동
    경계를 그으려는 노력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성화상 공경의 관행은 692년 퀴니섹스트 공의회 이래로 더욱 강화되어왔으나 이에 대한 반대이론은 730년 레온 3세(717~741 재위)의 성상파괴칙령에 의해 불붙게 되었다. 성화상 공경론자나 성상파괴론자들은 다같이 그리스도교도가 성상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지 않으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테오도시오스 3세 Theodosius III, テオドシオス3世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716년 불가리아의 왕과 강화협정을 맺고, 아랍의 침입을 견제했다. 717년 아나톨리콘의 군사총독(스트라테고스) 레온이 반란을 일으켰고, 테오도시오스 3세의 아들을 니코메디아에서 격퇴하고 포로로 잡았다. 테오도시오스는 협상을 맺어 자신과 자신의 식솔의 안전을 보장받은 다음 3월 25일...
    도서 위키백과
  • 알폰수 5세 Alfonso V of León, アルフォンソ5世 (レオン王)
    알폰수 5세는 레온의 왕이였다. 그가 어렸을 때 왕위에 올라, 그의 어머니 엘비라 가르시아(Elvira García)가 섭정했다. 1028년 이슬람 세력이 차지한 비제우를...메넨데스(Elvira Menéndez)와 결혼해 산차(Sancha)와 베르무도 3세(Bermudo III)를 낳았다. 1022년 엘비라가 죽자 우라카 가르세스(Urraca Garcés)와...
    도서 위키백과
  • 성화상 논쟁
    성상이 생명을 갖고 있다는 미신적인 신앙을 내포하기도 했다. 이러한 관행들에 대해 특히 소아시아에서는 반발이 점차 거세졌다. 726년 동로마 황제 레온 3세는 공식적으로 성상에 반대하는 입장에 섰고, 730년 성상을 사용하는 일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 조치로 성화상을 공경하는 자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