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19년, 3・1운동, 의미와 영향있었다. 또한 타이완총독은 절반 이상이 민간인이었고, 육군 출신이 아니라 대부분 문관이거나 해군 출신이었다.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다 9월 6일,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됐다. 3・1운동을 거치며 한성(경성), 상하이, 블라디보스토크에 각각 세워졌던 임시정부가 통합한 것이다. 독립...
- 시대 :
- 1919년
- 국가/대륙 :
- 한국
-
이승만 우남(雩南), 李承晩안창호와 갈등을 빚었지만,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은 1919년 9월 6일 이승만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하여 1920년 12월부터 약 6개월 동안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그는 1921년 5월 워싱턴에서 개최될 군축회의(The Washington Disarmament Conference)에 참석을 목적으로 상해에서 미국으로...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미국, 유럽 측 대표기관으로, 주미한국대사관의 전신이다. 1919년 8월 25일 이승만이 미국 워싱턴 D.C.에 구미위원부를 설립했으며, 그해 9월 11일 전세계 임시정부가 통합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개편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도서 위키백과
-
안창호 독립운동가영자신문인 〈차이나 프레스〉에 한국의 진상을 연재하고, 임시정부 사료편찬회를 조직했으며 〈우리소식〉을 활판 인쇄로 발간하도록 했다.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뒤 안창호의 준비론, 이승만의 외교독립론, 이동휘의 무장독립론으로 나뉘어 있던 임시정부는 결국 이동휘가 1921년 1월 노령으로 떠나버림...
- 출생 :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 사망 :
- 1938. 3. 10, 서울
- 국적 :
- 한국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 호 :
- 도산(島山)
-
상하이의 관광 명소 상하이에서 꼭 가 봐야 할 곳잘 보여 준다.(‘예원’ 참고) 동방명주 진주가 옥 쟁반(황푸 강)에 떨어지는 모습을 형상화한 독특한 디자인의 타워다.(‘동방명주’ 참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일제 강점기 때 우리나라 독립 운동의 본거지가 되었던 곳이다.(‘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참고) 매원 일왕의 생일날 도시락 폭탄을 투척하여...
-
김철 (대한민국 임시정부)신석우(申錫雨), 조동호(趙東祜), 신규식(申圭植),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鎭敎) 등과 함께 상해시 보창로 프랑스 조계내에 대한독립임시사무소를 설치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1919년 4월 10일 제1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의정원 의원(전라도 대표)에 선임되었고, 같은 달 제2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도서 위키백과
-
일본과 중국에서의 독립항쟁이후 김구의 한국국민당, 조소앙의 한국독립당, 지청천의 조선혁명당 등 세 갈래로 나뉘어졌던 세력을 1938년 한국독립당으로 통합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힘을 실어주었다. 임시정부는 3당 통합으로 인적 기반이 확대되자 그해 9월 광복군을 창설하여 당(의정원), 정(임시정부), 군(광복군)의 국가체제를 갖추게...
- 시대 :
- 1919년~1945년
-
독립신문 獨立新聞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 프랑스 조계에서 발행하던 기관지다. 창간 당시 제호는 〈獨立〉이었는데 제22호부터 〈獨立新聞〉이라 고쳤고, 다시 1924년 1월부터 한글로 〈독립신문〉으로 바꿨다. 창간 당시에는 안창호, 이광수, 조동호가 주축이 되었으며, 박은식은 1925년부터 사장으로 일했다. 그해 11월까지 발행...
- 발생 :
- 1919년 08월 21일
- 종결 :
- 1943년 07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