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민대표회의 國民代表會議1923년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의 대표회의. 개설 당시 임시정부는 내부적인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 개편이 필요했다. 그래서 1921년부터 각지의 국민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협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2년 동안의 준비 과정을 거쳐 1923년 1월 개최되었다. 경과 1921년 2월 국민대표회...
- 시대 :
- 근대
- 발생 :
- 1923년 1월
- 성격 :
- 회의, 대회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국민대표대회주비위원회, 북경군사통일회
- 관련 장소 :
- 중국 상하이(上海)
-
안창호 독립운동가따른 분열로 약화되어 독립운동의 영도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자, 독립운동진영이 분열되어 있는 상황을 극복하고 운동의 통일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하자는 요구가 곳곳에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22년 국민대표대회주비회(國民代表大會籌備會)가 다시 활동을 재개하자 5인으로 구성된 주비...
- 출생 :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 사망 :
- 1938. 3. 10, 서울
- 국적 :
- 한국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 호 :
- 도산(島山)
-
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大韓國民代表民主議院민족자주적 입장에서 해결하게 할 것”이라는 원칙이 민주의원과 비상국민회의 연석회의에서 합의를 봄으로써 반탁을 밀고 나가는 우익진영의 미소공동위원회...위원회는 공동성명 제5호에 관한 해석문제로 소련측 대표의 신탁을 반대하는 정당이나 단체대표를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 때문에 5월 8일 무기휴회로...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자문기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6년 2월 14일
- 폐지일 :
- 1948년 5월 29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비상국민회의 非常國民會議대책을 천명하였다. 즉, 임시정부가 1945년 9월 충칭(重慶)에서 발표한 임시정부 당면정책 제6항에 따라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국내외 각계각층 대표를 소집, 비상정치회의를 열어 과도정권을 수립한 뒤에 다시 국민대표대회를 소집하여 헌법을 제정, 정식정부를 수립하자는 것이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탁통치를 사실상...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1일
- 성격 :
- 정치회의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민주회복국민회의 民主回復國民會議경기공전의 김병걸 교수가 권고사직 되었다. 사립대학 소속의 안병무·문동환·박봉랑·서남동 교수 등에게도 경고가 내려졌다. 1975년 1월 17일 국민회의 대표위원 이병린 변호사가 간통 혐의로, 3월 22일에는 운영위원 한승헌 변호사가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고, 10월 21일 김윤식과 계훈제는 긴급조치 위반혐의...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74년 11월 27일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병린, 함석헌, 천관우, 김홍일, 강원룡, 이희승, 이태영
- 분야 :
- 역사/현대사
-
선거 選擧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유신체제로 대표되는 제4공화국이 막을 내리고 최규하대통령권한대행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6일 제10대 대통령선거가 실시되어 단독입후보한 최규하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압도적 지지를 얻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최규하는 당선 다음날 국무회의...
- 성격 :
- 용어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인도 국민회의 결성인사들이 캘커타에서 모여 인도 국민협의회 대회를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인도 민족의 정치적 역량을 하나로 결집하여 민중의 권익 증진을 위한 노력을 목적으로...1885년 72명의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봄베이에서 최초로 인도 국민회의가 개최되었다. 영국에 의해 주도된 인도 국민회의의 목적은 표면적으로는 각기...
-
인도국민회의 결성12월 28일, 인도의 영국 식민 당국은 식민 통치에 대한 불만을 가라앉히기 위해 인도인들의 대표 기관인 인도국민회의를 설치했다. 초기에는 지주, 상인, 지식인 등 상류층이 주로 참여해 영국의 식민 지배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이지만, 1905년 벵골분할령 이후에는 반영 민족 운동을 주도하게 된다. 참조
- 시대 :
- 1885년 12월 28일
- 국가/대륙 :
- 아시아
-
임시정부, 청년 외교활동가들, 이희경 ・ 나용균 ・ 황기환 李喜儆 ・ 羅容均 ・ 黃玘煥건강 증진을 위해 힘썼다. 그러던 중 1941년 6월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68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2・8독립선언과 국민대표회의의 든든한 조력자, 나용균 나용균(羅容均, 1895~1984)은 1895년 전라북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동에서 나도진의 8남 7녀 중 삼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 출생 :
- 이희경 1889년, 평남 순천나용균 1895년, 전북 정읍황기환 1886년, 평남 순천
- 사망 :
- 이희경 1941년나용균 1984년황기환 1923년
- 포상훈격 :
- 이희경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나용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황기환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