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너울질
    봉산탈춤에서는 제4마당에 노장춤이 있는데 그중 '불림' 동작은 마치 양주별산대의 너울질 모습과 흡사하다. 북청사자놀이 중 애원성 춤동작은 두 팔을 너울거리며 살짝 흔들면서 추는데 그 동작 역시 너울질 동작과 똑같다. 대체로 한국 민속춤에는 어느 지방의 춤이든 큰 동작, 또는 작은 동작의 너울질 동작이 많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쇄파 碎波, breaker
    심해에서 만들어진 너울이나 풍랑 등의 바다파가 천해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주기는 변하지 않으나 파장이 짧아지고, 파고는 높아진다. 이때, 대칭인 파형의 앞쪽이 점차 급경사가 되어 사빈해안의 근처나 암석 등에서 부서지는 파도를 쇄파라 한다. 쇄파는 수심이 파고의 1.28배보다 적고, 파형경사가 1/7보다 커졌을...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봄처녀
    을 통해서 발표하였다. 작곡자 자신의 말에 의하면 이은상의 시가 마음에 들어 작곡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봄처녀 제 오시네 새 풀 옷을 입으셨네 하얀 구름 너울쓰고 진주 이슬 신으셨네 꽃다발 가슴에 안고 뉘를 찾아오시는고 이처럼 가사에서는 새봄을 처녀같이 우아하게 표현하고 있다. 왈츠풍의 빠르기의 4분의 3...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은상, 홍난파
    창작/발표시기 :
    1932년
    성격 :
    가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동래학춤 東萊鶴춤
    꽹과리와 장구·징·북 등 농악편성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굿거리장단이다. 주된 춤사위는 학이 날개를 벌려 날아가는 것처럼 양손을 어깨 위로 올려 상하로 너울거리면서 가볍게 뛰어다니는 날아가는 사위, 학이 한 발 들고 조용히 서 있는 동작인 발 드는 사위, 학이 날개를 폈다가 오므리는 동작인 펴는 사위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내외법 內外法
    여성이 늘어난 개화기에도, 또한 8·15해방 이전까지도 살아 있었다. 엄격한 내외법은 당연히 여성의 외출을 제한했고, 여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장옷이나 너울이 발달한 것도 이와 관계가 있다. 상면이 허락되는 부득이한 촌수도 부모·형제·시부모·백부모·숙부모·고모·이모·삼촌·외삼촌 등이었다. 중간 정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전립(戰笠), 제복용으로는 굴건(屈巾)·상립(喪笠), 서민용으로는 초립·마미립(馬尾笠)·부죽립(付竹笠)·승결립(繩結笠), 부인용으로는 가리마·족두리·너울 등, 기타 특수용으로는 금관(金冠)·익선관(翼善冠)·통천관(通天冠)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관은 관복·예복을 입을 때 망건 또는 탕건(宕巾) 위에 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벌레잡이식물 pitcher plant
    젖게 만든다. 그후 곤충은 잎 안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소화된다. 사라세니아 푸르푸레아의 잎은 잎맥이 뚜렷하며 녹색에서 붉은색을 띠고, 가장자리가 너울거리며 항아리 모양인데, 억센 털이 밑으로 향해 나 있다. 꽃은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사라세니아 피스타키나의 잎은 작고 두꺼우며 붉은색의 맥이 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노송대설 老松戴雪
    상징으로 여겨졌던 소나무 한 그루의 기운이 충천하게 느껴진다. 화면 전체에 배경도 없이 소나무 한 그루만 그것도 밑 등걸을 빼고 세 개의 늘어뜨린 가지를 너울거리 듯 그렸다. 몸통은 오랜 세월을 견뎌온 연륜만큼이나 거칠고 당당하다. 나무 전체에 두껍게 내려 앉은 흰 눈은 하얀 분을 칠하여 덮었다. 늙은 소나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화 , 동양화 , 미술
  •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
    나누어 논술하고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어명고라기보다는 어류학이라고 함이 마땅할 것이다. ‘강어’에는 잉어〔鯉〕·숭어〔鯔〕·거억〔鱸〕·독너울이〔鱒〕·붕어〔鮒〕·납작어〔䲙〕·참피리〔鰷〕·모래무지〔鯊〕·잠마자[〔杜父魚〕·소갈어〔鱖〕·위어〔鱭〕·끼나리〔細魚〕·누치〔訥魚〕·모장이〔0...
    시대 :
    조선
    저작자 :
    서유구
    창작/발표시기 :
    1820년경
    성격 :
    연구서, 기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과학/동물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파도의 속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파도의 속도는 빨라진다. 바람에 의해 만들어진 잔물결처럼 작은 표면파는 파장이 짧아 매우 느린 속도로 전파된다. 일정하게 부는 바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너울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어 빠른 속도로 전파된다. 파도의 에너지는 파도 높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높은 파도가 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 문종심사 聞鍾尋寺
    홍문 밖까지 나와 반기는 것을 보니 꽤나 권력이 있는 집 여인인 듯하다. 여인의 신분을 말해주듯 점박이 말 위에 올라탄 여인은 고름과 소매 끝, 겨드랑이에 자주색 배색을 한 삼회장 저고리를 입었고, 머리에는 너울을 썼다. 각 인물들의 몸동작과 표정을 비롯한 배경 등을 뛰어난 소묘력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미술
  • 소고춤 小鼓춤
    배들이 추거나, 교방춤에서 입춤이나 교방춤 끝에 춘다. 농악에서 추는 소고춤은 고깔소고춤과 채상소고춤으로 나뉜다. 공히 판굿에서 뒷배를 받쳐주며, 판을 너울거리고 출렁거리게 한다. 고깔소고춤은 주로 전라우도 농악에서 볼 수 있다. 소고가 약간 크며, 손잡이가 달린 소고도 있고 끈이 달린 소고도 있다. 고깔을...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너울
너울 파도
여흥민씨 너울
가례도감의궤 중 너울을 쓴 상궁
가례도감의궤 / 너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