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귀신사 국신사(國信寺), 歸信寺정밀 실측 조사와 해체 보수 조사를 하면서 사찰 건축이 파악되었다. 귀신사의 연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가장 이른 것은 최치원의 「법장화상전」이며, 조선시대의 상황을 전하는 자료로 1633년에 작성된 「낙성문」, 자수무경(子秀無竟)의 「전주무악산귀신사사적사인(全州毋岳山歸信寺事蹟詞引)」, 1823년 중수 후 작성...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범어사 梵魚寺이러한 사찰의 규모가 창건 당시에 다 갖추어진 것처럼 기록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이룩된 규모일 것이다. 고려시대 사찰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렸다. 그 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에 관선사(觀禪師)가 중건하였으나 곧 또다시 화재로 소실...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실상사 實相寺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828년(흥덕왕 3)에 홍척(洪陟)이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문(實相山門)을 개산(開山)하면서 창건하였다. 홍척은 도의(道義, 道儀)와 함께 당나라에 들어가 선법(禪法)을 깨우친 뒤 귀국하였다. 그 후 도의는 장흥 가지산에 들어가서 보림사(寶林寺)를 세웠고, 홍척은 이 절을 세운 뒤...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고려시대 개방적이며 활기에 찬 나라멀리 아라비아 상인들까지 왕래할 만큼 개방적이고 활기찬 나라였다. 고려는 남북국과 후삼국의 분열을 재통일하며 민족의 정체성을 구체화시켰다. 다양한 문화...불교문화와 대외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사회적 다양성이 확대된 시대로 평가된다. 신라가 경주라는 좁은 지역에서 진골 위주로 국정이 운영된 폐쇄적인...
-
토함산 석굴암 경주 석굴암 석굴, 吐含山 石窟庵불상은 그들이 연마한 정성에서 이룩되었다. 그것은 승화된 생활미학의 결정이며, 조국을 지키려는 강인한 민족정신의 발로였다. 석굴암의 역사 석굴암 변천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 속하는 자료들 뿐이다.『불국사고금창기 (佛國寺古今創記)』와 정시한(丁時翰)의 「산중일기(山中日記)」가 그 중 가장...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한국사의 시대 구분그 과정이 아무리 아시아적이라고 해도 사회구성의 내면적 발전법칙 그것은 전적으로 세계사적인 것으로서”라는 주장을 통해 고조선 이후 남북국 시대까지 한국의 역사는 씨족공산체에서 원시 부족국가(고조선 ~ 원삼국 시대)로 발전하고, 다시 노예국가(삼국 시대 ~ 남북국 시대)로 변천하였음을 논증하였다.백남운...도서 위키백과
-
팔공산 불굴사 八公山 佛窟寺자세한 역사는 전하지 않는데, 한창 때는 50여 동의 전각과 12개의 부속 암자, 8대의 물방아를 갖추고 쌀을 찧어 승려와 신도들의 공양미를 한 대사찰이었다. 1723년(경종 3)에 중창하였으나 1736년(영조 12)에 홍수로 인한 산사태로 퇴락되었다가, 순천 송광사의 한 노승이 현몽하여 이곳으로 와 중건하였다고 한다. 그...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경주 감은사 慶州 感恩寺찰주(擦柱)의 높이까지를 합하면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석탑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이 탑은 고선사(高仙寺)의 삼층 석탑, 나원리 오층 석탑 등과 함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탑파 양식을 따르고 있다. 쌍탑 중 서 삼층 석탑에서 왕이 타는 수레의 형태인 보련형(寶輦形) 사리함이 발견되었고, 1996년 동 삼층...
- 시대 :
- 고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지장산 반야사 地藏山 般若寺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신라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720년(성덕왕 19) 의상(義湘)의 십대제자 중 한 사람인 상원(相源)이 창건하였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그 뒤 수차례의 중수를 거쳐서 1464년(세조 10)세조의 허락을 얻어 크게 중창하였다. 세조는 속리산 복천사(福泉寺)에 들러 9일...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용봉사 마애불 龍鳳寺 磨崖佛만면한 미소를 띠고 있다. 더구나 눈을 가늘게 만들어 눈웃음을 짓게 한 표현과 더불어 파격적으로 미소 짓는 얼굴 모습을 이루게 하였다. 이로써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신체는 원통형인데 어깨는 비교적 자연스럽고 가슴은 양감 없이 밋밋하게 표현되었다. 하체의 처리 또한 상체와 비슷하여 두...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