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조 고려 1대왕, 太祖
    명분을 앞세워 무너뜨린 천년 왕국 신라. 그런 신라가 통일 시대 이후 불과 2세기 만에 바람 앞의 등불처럼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고려를 건국할 용의 후손, 왕건 고려를 창건한 태조 왕건(王建)은 신라 헌강왕 3년(877) 정월 14일 송악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송악 지방 호족인 용건(龍建, 나중에 왕융으로 개명...
  • 거란의 고려침입
    거란의 침입과 강조의 절개 제1차 침입 후 계속해서 고려를 침입할 구실을 찾던 거란은 강조가 목종을 죽이고 현종을 세우자 이것을 빌미로 삼아 드디어 대군을 일으켰다. 거란의 성종은 이미 마음속으로 고려를 칠 계획을 세우고 신하들을 떠보았다. “고려의 강조라는 자가 임금을 죽이고 어린 임금을 내세워 제멋대로...
  • 고려칸데사르탄플러스정 16/12.5mg Korea Candesartan Pl..
    이 약으로 전환하기 전에 먼저 칸데사르탄실렉세틸의 용량을 조절해 보아야 한다. 임상적으로 적절할 때에는 단일요법으로부터 이 약으로 직접적인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 항고혈압효과는 대부분 투여시작 4주 이내에 얻어진다. 2) 고령자 : 고령자에 대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3) 혈관내 유효혈액량...
    식약처 분류 :
    [02140]혈압강하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심혈관계 작용약 > 혈압 강하제 > 고혈압 2제 복합제 > ARB & Diuretic
    제조/수입사 :
    고려제약(주)
    급여정보 :
    급여
    임산부 금기 :
    2등급: 임신 2~3기중 투여시 태아 및 신생아 손상(저혈압, 신기능부전, 핍뇨 그리고/또는 무뇨, 양수과소증, 두개골발육부전, 자궁내 성장지체), 폐부전, 안면비정상, 사지연축 및 사망 가능성
    성상 :
    양면이 볼록한 연한 분홍색의 장방형 정제
    제형 :
    정제, 저작정
    모양 :
    장방형
    색상 :
    주황
    식별표기 :
    KDC, C분할선H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30℃이하 보관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조선의 도공이여, 고려청자의 비색을 재현하라
    일본에서 인기를 끌자, 인삼무역을 하려는 일본인들이 개성으로 몰려들었다. 그런데 개성에서 인삼밭을 찾아다니던 일본 상인들 중 눈 밝은 사람이 우연히 고려청자를 발견했던 모양이다. 그가 일본으로 인삼을 갖고 가면서 비취색 도자기를 함께 들고 갔다. 그것을 본 일본 골동품상들은 눈이 휘둥그레졌다. 고려청자는...
  • 고려칸데사르탄정 16mg KDC Candesartan Tab. 16mg
    mg으로 4주간 치료 후에도 혈압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경우, 최대 1일 1회 32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용량으로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다른 치료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치료개시 4주 이내에 최고효과가 발현된다. 2) 고령자 : 초기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3) 혈관내 유효혈액량 감소(Intravascular...
    식약처 분류 :
    [02140]혈압강하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심혈관계 작용약 > 혈압 강하제 > RAAS 길항제 >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제조/수입사 :
    고려제약(주)
    급여정보 :
    급여
    임산부 금기 :
    2등급: 임신 2~3기중 투여시 태아 및 신생아 손상(저혈압, 신기능부전, 핍뇨 그리고/또는 무뇨, 양수과소증, 두개골발육부전, 자궁내 성장지체), 폐부전, 안면비정상, 사지연축 및 사망 가능성
    성상 :
    분홍색의 원형 정제
    제형 :
    정제, 저작정
    모양 :
    원형
    색상 :
    분홍
    식별표기 :
    KDC, C분할선16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FDA 임산부 금기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D -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나타난 경우이나, 치료적 이득이 위험성을 상회할 수 있다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몽골의 고려침입
    몽골의 1, 2차 침입과 강화 천도 고려 희종 때 몽골 사막에서 일어난 칭기즈칸이 위력을 떨치면서 만주벌판의 판도가 변하여 그 영향이 고려에 미쳤다. 금나라 세력은 약해지고 금나라에 무릎을 꿇었던 거란족 가운데 야율유가가 옛 거란을 부흥시킨다며 융안에서 일어나 반기를 들었다. 그 후 야율유가는 칭기즈칸에게...
  • 고려의 건국과 정치사의 전개
    왕건은 궁예의 부하로 활동하며 커다란 군공을 세웠는데, 918년 궁예의 실정을 틈타 그를 축출하고 왕위에 올랐다.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여 나라 이름을 고려라 하고, 수도를 자신의 근거지인 개성으로 옮기고 내치(內治)에 힘쓰는 한편 외교와 군사작전을 통해 신라·후백제와 대결했다. 후백제의 압력에 견디다 못한...
  • 고려의 사회경제구조
    고려는 엄격한 신분제사회였다. 신분은 크게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되었다. 양인에는 관직을 가진 양반관료와 향리·서리·기술관·군인 등의 하급관리, 그리고 일반민이 속했고, 천인에는 노비와 화척(禾尺) 등이 속했다. 양반관료의 일부는 고위의 관직을 대대로 차지하여 문벌귀족으로 되었으며, 이들이 실제로 정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고려미술 高麗美術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의 송·요·금·원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양식과 특색을 형성하는 등 한국미술사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고려미술은 특히 귀족적 아취와 미의식을 배경으로 불교미술과 청자 등에서 뛰어난 기량과 창의성을 발휘했으며, 유교적 이념과 한문학적 교양을 갖춘 지식계층에 의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 11대 왕, 문종 고려 제11대 왕, 文宗
    대외관계에 있어서는 북편에 침입하는 동여진을 토벌했으나 나중에는 회유책을 썼다. 특히 송(宋)나라와는 국교를 열어 친선관계를 유지했다. 문종 재위기간에 고려의 문물제도는 크게 정비되었고, 불교·유교·미술·공예 등에 이르기까지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발전이 있었다. 학문을 좋아했으며, 서예에도 뛰어났다...
    출생 :
    1019(현종 10)
    사망 :
    1083(문종 37)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046년∼1083년
    시호 :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묘 :
    경릉(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려도자기 高麗陶磁器
    고려시대에는 선사시대부터 발전되어왔던 도기질(陶器質) 요업(窯業)과 9세기경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청자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한 자기질(磁器質) 요업이 확대되면서 요업은 도기질과 자기질로 양분되었다. 도기질은 연질도기와 경질도기로 구분된다. 연질도기는 약 800℃에서 불완전 번조(燔造)하여 기명(器皿)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의 대외관계
    중국대륙 및 북방의 여러 민족과 외교관계를 맺은 고려는 중국의 오대(五代)와 그를 통일한 송(宋)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문물을 수입했다. 그러나 국경을 마주한 북방민족과는 대체로 갈등관계를 유지했다. 10~11세기에는 고려-요(遼)-송이 정립한 상태에서 동북아시아의 질서가 유지되었다. 고려는 송과 우호관계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98건

고려
고려
고려
고려전(동국중보)
고려 혜종 순릉
고려 태조 현릉 전경
강화 고려 고종 홍릉 우측면
무신정권의 고려시대
강화 고려궁지와 강화유수부 좌측면
청구도 중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개풍 고려 공민왕릉 중 공민왕 현릉의 장명등 정면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판고 내부
공민왕의 영토 수복과 북방 개척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개성 선죽교 정측면
개성 나성 성벽
더보기